어제 귀농교육시간에 원주의 김용우님이 와서 강의하고 추천한책, 도서관에서 빌렸어요
몇일전 화요일에는 전희식님이 귀농공동대표중 한분인데 오셔서 강의가 있었다는데
다른일로 못들었음
ㅋ 안타까움, 막걸리를 새벽까지 마셨다는...
출판사 들녁, 제목 깨어나라 협동조합
저자 : 김기섭
저자 김기섭은 1963년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나 민주화운동과 생명운동을 이끌던 원주 캠프의 품 안에서 따뜻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82년 연세대학교에 입학했지만 교실보다는 잔디밭에서 온종일 보냈고, 덕분에 백양로를 나뒹굴던 최루탄 속에서, 스멀스멀 되살아난 원주의 기억을 삶의 방향으로 정했다. 1986년 구체적인 방향을 찾아 일본으로 가 고베대학에서 새로운 협동운동과 유기농업운동을 이끌던 은사로부터 사사했다. 역시나 연구실보다는 현장을 주유했고, 덕분에 협동조합에 관한 박사 학위보다 더 소중한 일본의 다양한 시민사회운동을 접했다. 1993년 생활협동조합중앙회에 입사해 전국 생협의 조직 정비와 사업 안정에 힘썼고, 97년에는 수도권의 생협들과 함께 ...두레생협연합회를 설립, 이후 십수 년 간 조합원이 주인인, 생산자와 함께 하는, 아시아 민중과 연대하는, 온 생명을 돌볼 수 있는 협동조합이 되기 위해 노력했다. 지금은 민중교역 회사 ‘에이피넷’에서 아시아 민중과의 연대에 일조하는 틈틈이 상지대학교에서 후학을 가르치고 있다. 언젠가 품어 안을 고요한 바다를 그리고 있다.
목차
1장. 협동조합을 넘어, 다시 협동조합을 향해
30년 내에 도래할 세 가지 위기
에너지와 식량 위기/ 저출산 고령화 위기/ 남북의 위기
협동에 대한 잘못된 생각
협동조합의 어원/ 협동은 사람만 한다?/ 협동은 동시대 힘없고 가난한 사람만 한다?
두레와 계를 통해 본 협동조합의 원리
두레와 계의 역사/ 두레=‘두르다’, 계자회야(契者會也)/ 두레=‘둘레’, 계자약야(契者約也)/ 두레=‘두루’, 계자합야(契者合也)/ 두레=제사+놀이+노동
2장. 협동조합의 역사: 로치데일에서 배운다
배경
사회 상황/ 협동조합의 아버지, 로버트 오언/ 로치데일의 전신(前身)
태동과 발전
동맹파업/ 대토론회/ 준비/ 개장식/ 위기와 극복/ 생산으로의 확장
로치데일이 의미하는 것
상호자조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소비의 조직화로부터 출발한다/ 조직된 소비의 힘으로 생산을 변화시킨다
조직된 소비와 변화한 생산으로 새로운 사회를 건설한다
3장. 협동조합의 정의, 가치, 원칙
협동조합의 정체성에 관한 ICA 성명
협동조합의 ‘정의’
협동조합의 본질/ 협동조합의 주체/ 협동조합의 목적/ 협동조합의 수단/ 협동조합의 ‘정의’를 있게 한 철학적 기초
협동조합의 ‘가치’
사업체로서의 협동조합이 지녀야 할 가치/ 결사체로서의 협동조합 조합원이 지녀야 할 가치/ 인(仁)의 관점에서 본 협동조합 조합원이 지녀야 할 가치
협동조합의 ‘원칙’
로치데일 원칙/ 1937년의 ICA 원칙/ 1966년의 ICA 원칙/ 1995년의 ICA 원칙/ 1995년 원칙에 대한 해설과 그 특징/ 협동조합 원칙의 역사적 변천이 지니는 의미
십우도를 통해 본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과제
소 찾아 나서기/ 저잣거리에 꽃피우기/ 곽암의 십우도
4장. 협동조합의 다양한 주체와 역할, 그리고 그 관계
주체란 무엇인가
주체의 정의/ 협동조합의 주체
주체 간의 관계
“조합원은 조합원이고, 직원은 직원이다”/ “조합원 안에 직원이 있다”/ “조합원 위에 직원이 있다”
주체의 노동과 역할
노동의 역사적 변천 과정/ 협동조합 내 노동의 변천 과정
협동조합 내 세 노동의 성격과 역할
조합원 활동과 직원 노동, 그 성격과 역할/ 조합원 노동의 성격/ 조합원 노동의 역할
5장. 생활협동조합과 함께 해온 지난 시간들
생협의 역사와 특징
생협의 태동/ 생협의 특징/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났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났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 생활재를 취급했다
생협이 지향하는 네 가지 순환
돈의 순환/ 재화의 순환/ 물질의 순환/ 에너지의 순환
생협과 공정무역
시장의 세계화와 자유무역/ 제3세계와의 세 가지 연대 방식/ 공정무역/ 필리핀 네그로스에서의 경험/ 설탕에 대한 두 가지 생각과 의미/ 교역을 넘어/ 공정한 무역을 넘어서
6장. 새로운 생협운동을 위하여
기본 방향
지난 생협운동의 의미와 당면한 과제/ ‘분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생협운동의 새로운 주체, 가치, 영역, 조직 방식
‘노동’의 재정립
임노동, 그림자 노동, 버내큘러/ 인간의 세 가지 선택지/ 새로운 노동의 가치와 기술/ 새로운 노동과 생협운동
‘노동’의 조직화
노동의 세 가지 조직 방식/ 결사체/ 노동자협동조합/ 몬드라곤 협동조합/ 노동자협동조합의 과제/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7장. 협동조합과 사회적 경제
사회적 경제에의 초대
성장과 복지 사이에서/ 사회적 경제란 무엇인가/ 사회적 경제의 교차 공간/ 사회적 경제와 사회운동, 연대의 경제/ 계(契)와 사회적 경제/ 사회적 경제로 새로운 시장을
상상력으로 사회적 경제 기획하기
첫 번째 상상력: 실제적이면서 형식적인 경제/ 두 번째 상상력: 생산요소에 대한 생명적 인식/ 세 번째 상상력: 호혜 안에 교환과 재분배 담기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