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의 처절함이 서린 "잊은터"
죽산마을은 조선시대에는 도호부로, 뒷산 비봉산 동북쪽에는 고려 때 몽고군과 임란 때 왜적을 물리친 죽주산성(竹州山城)이 있습니다. 이 죽산마을에서, 천주교의 4대 박해의 하나인 병인박해(1866년) 때에는 수많은 순교자들이 주님을 증거하며 생명을 바쳤습니다.
현재 "치명일기"와 "증언록"에 그 이름이 밝혀진 순교자만 하여도 25분이나 됩니다. 이 외에도 수많은 무명 순교자들이 주님을 증거하며 피를 흘리면서 현 "죽산 순교성지"인 사형장으로 끌려가 순교의 깃발을 올렸습니다. 그러면 과연 죽산 순교성지에서는 어떠한 분들이 어떻게 순교하였으며, 죽산 순교성지란 어떠한 곳인가? 수많은 무명의 순교자는 물론, 이름이 밝혀진 25분의 순교자에 관해 일일이 다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 순교자 '김 도미니코', '여기중', '여정문' 이야기는 참으로 애절합니다.
순교자 김 도미니코는 박해를 피해 깊은 산속에 숨어 평온히 주님께 의존하며 살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천주교 신자인 것을 안 마을 사람 10여 명이 찾아와 열일곱 살 난 그의 딸을 겁탈하려고 딸을 내놓으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힘이 센 김 도미니코의 둘째 아들이 누이동생을 데리고 산으로 피하며 따라오는 사람은 돌로 쳐 죽이겠다고 하였습니다. 그러자 그들은 순교자 김 도미니코에게 딸을 내놓지 않으면 포졸을 데리고 와서 너희 가족을 몰살하겠다고 위협하였습니다. 그래서 순교자 김 도미니코는 여러 가족을 생각하여 할 수 없이 피눈물을 흘리면서 딸을 그들 앞에 내어 주었습니다. 이렇게 인간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갖은 모욕과 고난을 다 당하면서도 신앙을 고수하다가 마침내는 순교의 길을 걸어간 것입니다.
또한 순교자 여기중은 한 가족 3대가 한 자리에서, 순교자 여정문은 아내와 어린 아들과 함께 한 날, 한 자리에서 순교하기도 하였습니다. 당시 국법으로도 부자를 한 날, 한 시, 한 장소에서 처형하는 것을 금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죽산 순교성지에서는 부자가, 부부가 한 날, 한 장소에서 처절하게 처형되었습니다.
이분들이 죽산 관아에서 심문을 받고 끌려가 처형된 장소가 죽산 순교성지입니다. 지금은 평평한 땅이지만 당시에는 노송이 우거지고 길에서 사람이 보이지 않는 후미진 골짜기였습니다. 이 골짜기는 고려 때 몽고군이 쳐들어와 송문주 장군이 지키고 있는 죽주산성을 공략하기 위해 진을 친 장소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랑캐가 진을 친 곳'이라 하여 "이진(夷陣)터"라고 불렀습니다. "이진터"에 진을 친 몽고군은 송문주 장군에게 패하여 "사리티 고개" 쪽으로 패주해 달아났습니다. 이러한 유래를 지닌 "이진터"가 병인박해 때, "거기로 끌려가면 죽은 사람이니 잊으라"하여, '잊은터'란 이름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교우들 사이에서는 순교의 처절함이 서린 "잊은터"로 가슴에 아로 새겨진 것입니다.
오늘날 한국의 천주교 성지를 되돌아보면, 순교의 사형장으로서의 성지는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그 중에는 두들겨 때려 반쯤 죽인 상태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게 한 순교성지는 죽산 순교성지가 유일한 곳입니다.
또한 죽산 순교성지 주변에는 "두둘기"라는 곳이 있습니다. 행정구역상 명칭으로는 삼죽면 덕산리인데, 죽산 읍내에서 15리쯤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지금은 삼죽면 면 소재지로 80여 호가 사는 큰 마을입니다만, 옛날에는 3, 4호밖에 안 되는 작은 주막거리였습니다. 두둘기는 지형이 조금 두둑하다하여 '두둘기'라고 불렸다고도 하며, 이곳이 진흙땅이어서 신바닥에 진흙이 떨어지지 않아 두들겨 털었다 하여 '두들기'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두둘기는 병인박해(1866년) 때, 교우들의 애절한 사연이 서린 한 많은 땅으로 변하였습니다. 용인, 안성, 원삼, 가칠암이 등에서 숨어살던 교우들을 포졸들이 잡아 가지고 돌아오다가 이곳에 오면 술을 마시고 쉬어갔습니다. 그러니까 이곳은 포졸이나 포졸 수하들의 집결지이기도 하였습니다. 이렇게 모여든 포졸들이 이곳에 당도하면, 잡혀온 교우들에게 "돈을 내라", "이제 너희들은 저 달거리 잔등만 넘으면 죽는다. 돈을 내면 풀어 주마" 하며 두들겨 때렸던 것입니다. 또한 뒤쫓아 온 가족들은 잡혀온 교우들이 두들겨 맞는 것을 보고 땅을 두드리며 원통해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두둘기는 이래저래 두들겨 맞던 곳으로, 교우들은 지금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죽산 순교성지는 순교를 향한 "두들기"와 "잊은터"로 알려짐은 순교자들의 주님을 향한 '아픈 사랑'을 잘 대변해 줍니다. 이처럼 주님의 아픈 사랑의 형장인 죽산 순교성지는 오늘을 사는 우리 교우들에게 주님을 향한 십자가의 어리석음의 교훈을 주며, 앞으로의 후손들에게는 그리스도의 향기가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 주리라 믿습니다. [출처 : 죽산 순교성지 리플렛]
※이곳은 천주교 순교자 성지 입니다.
식사.음식물 섭취 절대 금지, 쓰레기 가져가기(쓰레기통 없음), 반려동물 입장 안됨.
5월말~6월초가 장미가 만발해서 성지가 가장 아름다울 시기 입니다.
대성당 앞 성모님, 순례자도장은 초봉헌대에 있습니다.
죽산면 면사무소 입구, 옛 죽산도호부 감옥터 입니다. 감옥에서 많은 분들이 순교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