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가 오는 28일부터 1년간 경부선과 남해선 서영암 등 일부 구간에 번호판 인식방식의 무정차 통행료 결제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시범사업을 '스마트톨링'이라고 부르는데, 간단히 말해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는 차량도 번호판 영상인식을 거쳐 무정차로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참고로 시범사업 해당 구간은 경부선의 대왕판교 요금소와 남해선 8개 요금소(서영암·강진무위사·장흥·보성·벌교·고흥·남순천·순천만)입니다.
번호판 인식방식 차로를 이용한 차량의 통행료는 신용카드 사전등록 방식과 자진납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
자진납부는 고속도로 운행일 이후 15일 이내 전국 요금소 사무실이나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서 요금을 내면된다고 합니다.
하이패스 단말기가 부착되어 있다면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행료가 징수된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톨링 사업으로 인해 기존 하이패스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장수납을 위한 가감속과 하이패스와 현장수납 차로 간 차선변경으로 인한 교통체증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하이패스를 이용하지 운전자들의 경우,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현금 또는 지갑 등이 없어 통행료 납부를 못하고 이후 요금소 방문 또는 미납고지서 수취 후 납부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가 해소될 전망입니다.
한편 증시에서는 '스마트톨링'으로 인한 수혜를 누가 받을 것인가에 대해 주목되고 있습니다.
아직 스마트톨링 사업이 시범적으로 운영될 것이기에 정확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기존의 하이패스와 비슷한 형식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기에 관련주는 '에스트래픽', '에스디시스템'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에스트래픽의 경우 교통(도로/철도)관련 SI(System Integration)를 주요사업영역으로 하고 있는데, 유인 요금수납 시스템(TCS), 하이패스시스템(ETCS) 등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설치하여 도로 이용자들에게 스마트한 교통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에스디시스템은 도로교통관리 및 요금징수시스템을 기반으로하는 지능형교통체계(ITS) 전문기업으로 교통분야의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정밀한 차종분류의 차량통행요금징수시스템과 관련 제품인 하이패스단말기 및 차량용블랙박스 등을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