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소리에 대한 의미 ?
- 집속과 확산을 할수 있다
- 물체의 진동으로 생긴다
- 에너지가 파의 형태로 전달된다
(2) 음향변수 ?
- 음파가 전파하는데 있어 양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
- 음압 , 밀도 , 온도 , 입자운동
(3) 진단용으로 사용되는 초음파의 주파수 범위 ? 1 - 20 MHz
(4) abdomen의 검사시 주파수 범위 ? 3.5 MHz
(5) Thyroid gland 검사시 , probe의 주파수 ? 7.5 MHz
(6) 주파수(frequency)
- 1초간에 발생하는 cycle 수
- 단위 : Hz , kHz , MHz
- 주파수가 클수록 에너지가 크다
(7) 주기(㎲) = 1 / 주파수
(8) 파장 = 전파속도 / 주파수
(9) 투과심도(연부조직) = 3 / 주파수
(10) 파장이 짧으면 거리분해능 향상된다
(11) 주파수 ↑ , 에너지 ↓ , 파장 ↓
(12) 3 MHz의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에서의 음의 전파속도 ?
- 뼈 3183
- 근육 1581
- 연부조직 1540
- 공기 331
- 물 1498
(13) 파장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요소 ? 매질에서의 음속
(14) 전파속도를 결정하는 요소 ? 매질에서의 경도 , 밀도
(15) 소리의 속도가 가장 빠른 상태 ? 고체
(16)
경도 : 물질의 압력에 대한 저항
밀도 = 농도
(17) 음속의 변화와 관계 있는 것 ? 변영음영 (edge shadow)
(18) 음속을 결정하는 요인 ? 매질의 탄성 , 밀도 , 압축성 , 경도
(19) 음파의 강도 ?
음속의 면적에 대한 출력의 크기 단위 : W / ㎡
(20) 초음파의 강도와 관계있는 인자 ? 진폭
(21) 진폭(amplitude) ? 음향변수의 최대값
(22) 초음파 음속이 반사계면을 통과할 때 굴절이 일어났을 때 변하는
것 ? 음속
(23) 반사계수의 강도 또는 진폭을 결정하는 요인 ? 음향저항
(24) 초음파가 연부조직을 통과할 때 변하지 않는 것 ? 음속
(25) 초음파가 통과할 때 매질에서의 반사와 관계 없는 것 ? 점도
(26) 초음파 검사시 환자 피부에 젤리를 바르는 이유 ?
probe와 skin 사이에 음의 저항을 감소 시키기 위해
(27) 초음파의 lateral resolution ?
초음파 beam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있는 서로 다른 2개의 작은 물
체를 구별하는 능력
(28) 음속직경 ↓ , 측방 분해능 ↑
(29) 감약의 원인 ? 흡수 , 산란 , 반사
(30) 음의 감쇠단위 ? dB
(31) 감약 = 감쇠계수 × 통과거리 = 주파수 × 통과거리
(32) 연부조직에서의 감쇄계수 (dB / cm) = 주파수 (MHz)
(33) 연부조직의 조직이 두꺼워지면 초음파의 감약은 증가한다
(34) 탐촉자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요인 ? 진도자의 두께
(35) 탐촉자에 사용되는 전기 ? 교류
(36) 탐촉자에서 진동자로 사용되는 물질 ? 압전물질
(37) 탐촉자의 후방음을 흡수하는 물질 ? damping 층
(38) 깊이에 따른 감쇄를 보정해 주는 물질 ? TGC , DC
(39) TGC의 기능 ?
- 근거리에서의 echo를 억제한다
- 원거리에서의 echo를 상승 시킨다
(40) 2개 수직의 강한 계면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 ?
다중반사
(41) 낭성 구조물 뒤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 ? 음향증강
(42) 혜성꼬리현상(comet tail sign)과 관계 있는 것 ? 다중반사
(43) 초음파 beam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있는 서로 다른 2개의 작은
물체를 구별하는 능력 ? 측방향 분해능
(44) 측방향 분해능과 관계있는 것 ?
- beam의 폭
- 주파수
- 집속 (focusing)
- 변환기로부터의 거리
(45) 변조기의 환자 피부 사이에 음향저항을 젤리로 매칭 시켜주는 이
유 ? 방출된 펄스의 반사
(46) 주파수 ↑ , 반감두께 ↓ , 투과도 감쇄
(47) echo의 강도를 밝은색부터 어두운 색까지 배열하여 display 할수
있는 능력 ? gray scale
(48) 다초점을 작동 시킬때의 영향 ?
공간 분해능 ↑ , frame rate ↓
(49) gain의 기능 ?
- 잡음 , 분해능을 좌우한다
- 수신된 음을 증폭 시킨다
(50) liver를 좌 , 우로 나누는 기준 ? 겸상인대
(51) 간 좌엽의 중앙에 후방 음향 음영을 갖는 고에코(hyperechonic)
구조물 ? 간원삭
(52) Pancreas를 찾는 지표 ? Splenic Vein
(53) 초음파 영상에서 복강동맥(celiac artery)에서 보이는 혈관 ?
총간동맥 , 비동맥 , 좌위동맥 , 복대동맥
(54) 복강 내의 실질장기의 에코치 ? ( 고 > 저 )
췌장 > 간 > 비장 > 신장
(55) 지방간(fatty liver)의 초음파적 소견 ?
- liver 내의 혈관상의 불명료화
- diaphragm에서의 echo 저하
- bright liver
- high echo
(56) 간 경화로 내원한 환자의 초음파 소견 ?
- 간 표면이 불규칙하다
- 거친 간 실질에코가 관찰된다
- livwe가 수축되어 있다
- 다량의 복수 , 담낭이 위축되어 보인다
- Colorflow 영상에서 측부 혈행로의 관찰이 가능하다
(57) 전립선의 정상적인 영상 ? 낮고 균등한 echo
(58) 소화관 초음파 검사시 전처치 ?
환자에게 물을 먹인 후에 검사한다
(59)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의 범위 ?
자궁 외 임신 태아의 상태 자궁의 낭종 골반내 염증
(60) 담석과 가스가 있는 십이지장을 감별하는 방법 ?
물을 먹인다
(61) 자궁 외 임신에서의 초음파 영상 ?
태낭이 없고 자궁이 비대하게 보인다
(62) 분만후 임산부의 초음파 검사의 목적 ?
자궁 내의 임신 잔여물의 확인
(63) gallbradder를 찾는 방법 ?
right portal vein의 분기점을 이용해서 담낭와를 찾는다
(64) 좌측 횡격막 근처에서 가장 좋은 음창 ? spleen
(65) 낭종 (cyst)의 영상 ?
- 내부 에코가 없다
- 모양이 둥글다
- 윤곽이 뚜렷하다
- 매끈한 벽을 가진다
(66) 낭종은 후방음 증강이 있어 종양과 구별이 가능하다
(67) 림프절이 비후된 환자에게서 찾을수 있는 일반적인 초음파적 소
견 ? 무 에코
(68) 췌장이 위장의 가스에 가려져 있을 때 췌장을 찾는 방법 ?
위장에 물을 채눙 후에 검사한다
(69) 정상적인 태반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 ? 8 - 9주
(70) 태낭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 ? 4 - 5주
(71) 두둔길이(crown rump length)를 측정할수 있는 시기 ?
6 - 12주
(72) 음의 반사로 인해서 진단이 다소 어려운 장기 ? lung
(73) damping의 기능 ?
- 후방음을 흡수한다
- 펄스중 cycle 수를 감소 시킨다
- 거리 분해능을 개선한다
(74) 충격계수 = 1
(75) 초음파의 연속파의 이용범위 ? doppler mode
(76) 후방 음향증강이 생기는 원인 ? 감쇄가 약한 반사체
(77) 주파수를 높일 때 일어나는 현상 ? 분해능 ↑
(78) gain , 감쇄의 단위 ? dB
(79) 수신기의 기능 순서 ?
증폭 - 보상 - 압축 - 복조 - 제파
(80) 탐촉자의 거리 분해능을 증가 시키는 방법 ?
damping을 증가 시킨다
(81) 거리 분해능을 개선 시키는 방법 ?
- 음파의 길이를 짧게
- 펄스중 Cycle 수를 감소 시킨다
- damping 층을 증가 시킨다
- 주파수를 증가 시킨다
(82) 임피던스 = 밀도 × 전파속도
(83) 파장 = 전파속도 / 주파수
(84) 주기 = 1 / 주파수
(85) 음파가 통과하는 순서 ? 고체 > 액체 > 기체
(86) 전파속도의 변화인자 ? 매질의 밀도 , 경도
(87) 초음파 = 20 k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
(88) 의료용으로 이용되는 범위 ? 1 - 15 MHz
(89) 음향변수 ? 음압 , 밀도 , 온도 , 입자운동
(90) 연속파에 해당되는 것 ? 주파수
(91) 음파가 수직입사 할때 반사파의 강도 ?
음향 임피던스의 합 , 차
(92) 주파수 ↑ , 후방산란 ↑
(93) 탐촉자의 직경이 2배 , 근거리 음장 4배
(94) 주파수 2배 , 근거리 음장의 길이 2배
(95) 측방향 분해능의 개선방향과 관계있는 인자 ?
주파수 , 탐촉자 직경 , focusing , 탐촉자로부터의 거리
(96) 조직 중 음파의 투과를 향상 시킬수 있는 것 ? 결합층
(97) 압전물질과 피부간의 임피던스 차이를 감소 시키는 층 ?
결합층
(98) 2차원적으로 real time 화상을 표시할수 있는 mode ?
B mode
(99) 측방향 분해능에서 반사체를 표시할수 있는 최소의 값 ?
음속직경
(100) M mode에서 얻을수 있는 정보 ? 거리 , 움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