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HIS IS TOTAL WAR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정치/사회/이슈 약탈적 자본주의의 부활-역외. 현대 경제학통설은 죄다 거짓말.
무신론자 추천 2 조회 722 14.05.25 23:01 댓글 2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05.26 00:46

    첫댓글 솔직히 대통령이 되기 전까지의 노무현은 정말 나무랄 데 없는 사람이었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보고 대통령 당선에 표를 던졌구요. 하지만 대통령이 되고난 후에는 유학파 출신의 보좌진에 전적으로 기대며 국민들과 지지자들의 기대를 저버렸습니다. 흔히 하는 얘기로 좌측 깜박이 키고 우회전 하는 식의 정책. 이 부분에 대해서만큼은 노무현도 철저히 비판받을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 14.05.26 06:55

    잘 읽었습니다.

  • 14.05.26 07:12

    죄다 거짓말까지야 아니겠지만, 학문으로써 경제학과 경제이론은 기본적으로 (여느 학문과 마찬가지로) 현실을 설명하기 위한 간소화 된 모델(이것을 '추상화'라고 합죠)을 사용하는 것이고, 그 모델에서 소위 "순수한 경제이론" 이외의 것들은 배제되어 있음은 사실이죠. 뭐, 말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학문이 다 그러한 경향이 있긴 합니다만..

    문제는, 경제학은 사회 내 각 계급 사이의 경제적 관계 및 그 효과를 설명하여 "부"의 흐름을 관찰한다는 점에 있어 본질적으로는 현실의 권력이 굉장히 큰 관심사를 보이는 학문이라는 점입니다. 철학이나 역사학조차도 경제학 만큼 "부"와 "권력"이라는 현실의 요소에 민감하지는 못하죠.

  • 14.05.26 07:16

    그런데, 그 경제학이라는 것이 오늘날 세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에서 "순수한 경제이론에는 없거나 그에 반하지만, 현실에서는 실제로 존재하며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거죠. 발제문에 언급된 것처럼, "정통 경제이론"이나 "순수한 자본주의"에서는 배척되어야 하거나 대단히 꺼리는 종류의 행위 -- 현실의 권력의 작용, 부정/부패 같은 암적 요소, 불법은 아니라고 해도 심각한 모럴 해저드, 자본주의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경쟁"요소가 장려되기는 커녕 강제적으로 배제되고 억압되는 현실, 소수의 손에 권력과 부가 집적되고 독점화되는 것을 정당화하는 "공범"의 이론들 등등.. 이런 것들이 경제학

  • 14.05.26 07:19

    그 자체에 연구의 대상으로 녹아들어가 있지가 않거든요. (아니 뭐, 아예 연구가 없는 것은 아니고, 사실 연구가 없기는 커녕 그것에 굉장히 주목하는 사람들도 꽤 있긴 하지만, 문제는 이론의 차원에서 -- 예컨대, 우리는 "한계효용의 법칙" 같은 것들은 빠짐없이 만나게 되면서도, "정치와 유착한 재벌들이 만들어내는 금융 및 산업의 독점구조가 경제구조를 왜곡하는 현실"이라든지, "부의 집적을 통해 권력이 소수에 집중되어 현상유지를 강화하는 방식" 같은 것은 "좋지 않은 사례" 정도로만 배우지, 그것이 본질적으로 오늘날의 자본주의 시스템의 일환임을 인정하지는 않거든요.

  • 14.05.26 07:21

    근데 문제는 이게 상당히 이율배반적인 것이, 소련에서 퍼져나온 현실사회주의 -- "공산주의" -- 에 대해서는 구조적으로 그 시스템이 가진 문제라든지, 근본적으로 독점화된 권력이 부패하는 과정을 "공산주의 그 자체의 본질적인 한계"로 별 저항없이 설명하고 그러한 설명을 유포하면서, 자본주의에 대해서는 그런 식으로 자본주의의 생명인 "공정한 경쟁" 그 자체를 죽여버리는 행위는 "일부의 그릇된 행위이지 자본주의가 원래 그런 것은 아님"이라는 식으로 설명한다는 말입니다.

  • 14.05.26 07:23

    저는 요즘, 아마 오늘날 이 시점에서 "자본주의 비판"으로 시작한 맑스가 아직 의미가 있다면, 바로 그 부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본질을 명석하게 꿰뚫어봤다는데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즉, 맑스의 경제학 이론이니 그런 구체적인 수치적 학문의 내용은 오늘날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전되면서 오늘날 현실에 맞지 않거나 그것을 적절히 설명할 수 없는 "낡은 것"이 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그것만이 소위 "맑스주의"의 전부는 아니거든요. 맑스주의의 그 나머지 부분이라면, 자본주의라는 것이 (사회주의와 마찬가지로) 결국 단순히 경제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돌아간다는 단순한 경제적이론이 아니라, 실제로는 명백히 정치적이고

  • 14.05.26 07:26

    사회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하나의 "정치경제학적 체제"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는 점입니다. 즉, 한가한 관찰자의 입장에서 이리저리 "순진"하게 경제적 이론을 구상하고 검증하는 것과는 별도로, 실제 자본주의는 그런 이론에 따라 돌아가는 중립적 시스템이 아니라 부르주아라는 명백한 하나의 계급의 이익에 봉사하기 위한 권력독점의 체계라는 겁니다. "이론"이나 '원칙" 따위는 이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의 근본에 있는 그런 차원의 것이 아니라는거죠. 이런 원칙이나 이론 따위는 부르주아의 이익에 맞춰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재구성되고 재정의될 수 있는 도구에 불과합니다. 자본주의는 그 이름이 시사하듯, 말 그대로 "자본가"를

  • 14.05.26 07:28

    위한 경제적 시스템인 동시에 그 경제적 이득을 독점함으로써 나오는 권력이 다시 그 헤게모니를 공고히 만들고, 그 사회 내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그것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는 내부적 강압의 기재 또한 갖추고 있는 계급의 체제입니다. 그냥 뭔가 '자연의 상태'와 같은 보편적인 진리가 아니라 그 자체로 편향성과 정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거죠. (실제로 자본주의의 옹호자들이 "인간은 원래 이런거야"라는 식으로 이 세스템을 '자연화'하려는 시도가 얼마나 많았습니까?)

  • 14.05.26 07:31

    왜곡의 위험이 있을지라도 단순화를 하자면, 주류경제학은 경제적 이론에 대해 관심을 갖지만, 실재하는 권력이 그런 것을 어떤 식으로 자기 이익에 맞춰 굽히고 젖히느냐에 대해서는 대체로 무관심합니다. 자신들이 다룰 분야가 아니라는거죠. 반면, 맑스는 그 양자를 서로 분리하여 따로 연구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그 양자는 뗄래야 뗄 수가 없는 관계라는게 맑스주의의 입장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맑스주의는 근본적으로 자본주의라는 경제시스템을 "개혁"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고 얘기합니다. 애초에 그 경제적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사회관계에 따라 권력의 서열과 차별과 억압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이므로, 근본적으로

  • 14.05.26 07:34

    이 경제적 시스템을 부숴야 하며, 나아가 그것을 비호하는 정치적 권력을 까부숨으로써만이 그러한 혁파가 가능하다는 것을 얘기하기 위하여 곧 "혁명"을 얘기한거죠. 애초에 어떤 시스템이든 그 본질적인 정의를 위배하면서까지 개혁될 수는 없으니까요. 신분제와 전제군주제의 폐해를 개선하고 개혁하겠다는 사람은 죽어도 신분제와 전제군주제 그 자체의 폐기라는 결론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그냥 "시스템의 모순을 줄이고 좋은 계몽군주가 나오도록 열심히 하자"라는 애매한 단계가 한계니까요. 신분제와 전제군주제의 폐해를 근본적으로 고친다면 그것을 폐지시키는 공화주의로 나갈 수 밖에 없고, 그것은 "개혁가"는 할 수 없는 일이며

  • 14.05.26 07:36

    오직 "혁명가"만이 할 수 있는 일이거든요. 즉, 맑스는 자본주의에 대해서도 그런 얘기를 한겁니다. 자본주의가 아무리 개선되고 개혁되어도 소위 '경기가 나빠지는' 국면에 오면 결국 그 개혁과 개선사항은 폐지되고 다시 옛날의 것으로 되돌아갑니다. 사회적으로 정치와 경제에 있어서 공정하고 건전한 관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권력을 쥔 자본가들과 그 유착세력의 이익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니까요. 결국 상황이 나뻐지면 복지는 폐지되고, 노동-자본 사이의 합의는 깨집니다. 다시 야만적인 수탈관계로 되돌아갈지라도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은 그 본질적인 목적 -- 자본가의 이익 -- 을 거역할 수 없습니다.

  • 14.05.26 07:39

    그러니까,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그런 식으로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을 정치, 경제, 사회의 통합적 체제로써 그 본질적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 맑스의 자본주의 비판이고, 반면 주류경제학은 정치와 사회, 그리고 그 내부의 온갖 권력관계, 갈등, 모순이라는 변수는 걍 배제한 채 오로지 경제의 차원에서, "순수학문"의 시각에서 자본주의를 바라보고 해석합니다. 그게 과연 올바른 것인가... 에 대해서는 개개인이 내려야 할 결론이겠지요.

  • 14.05.26 07:41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위의 발제문에 어느 정도 납득이 가지요. 한국은 물론이고 소위 선진국이라는 곳들도 마찬가지지만, 그들이 정말로 순수한 자본주의적 이상에 걸맞는 공정하고 자유로운 시장경제를 원하는걸까요? 그 경제의 주체들은 아담 스미스가 꿈꾸던 그런 상인들과 같은 모럴리티를 가진 존재들일까요?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는데 저항감이 없다면, 위의 발제문을 나름대로 흥미롭게 읽을 수 있겠지요.

  • 14.05.26 12:17

    동감하는 바가 많습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14.05.26 11:24

    그거 암호아니에요?ㅋㅋㅋㅋ
    강의 내내 눈만뜨고있는 강의....ㅜㅜ

  • 14.05.26 11:49

    그래서 경제학은 (맑시즘이건 다른것이건 뭐건간에) 경제활동에서 정치의 역량까지 고려하는 '정치경제학'으로써 기능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 주류는 그점이 미진해서 아쉬운것 같습니다.

  • 14.05.26 12:15

    TED에서도 지적이 나왔던 기억이..

  • 14.05.26 20:17

    한국이 금융시장을 개방한 건 미국의 압력 탓이 컸지만, 쉽고 빠른 해외차입을 원한 국내 재벌들의 요구도 컸다고 아는데 그럼 진정한 목적이 이 글대로라면 진짜 ㄷㄷ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