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미량은 조선초까지 주심포양식의 건물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다포양식이나 익공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목조건축의 부재는 직선부재이지만
우미량은 곡선부재로 소꼬리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졌습니다.
보처럼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우미량은 크기도 작으며 상하의 도리
즉 위에있는 도리에서 아래있는 도리를 연결하는 부재입니다.
아래의 사진은 가장 유명한 수덕사 대웅전과 대웅전측면의 우미량입니다.
양쪽에 3개씩 6개의 우미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관세음보살()()()
사랑합니다~!!~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사랑합니다~!!~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사랑합니다~!!~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관세음보살()()()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거운 하루


()()()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관세음보살()()()
감사 합니다 관세음 보살. ()()()
감사합니다...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관세음보살()()()
이해를 잘못하고 계십니다. 아래 사진은 우미량과 무관한 정면사진으로 기둥 평방위의 공포이구요. 위의 측면사진에서 길게 뻗어 나온 도리와 도리 사이에 소꼬리 처럼 보이는 부재가 우미량입니다. 답글로 사진을 올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사진 2장 중에서 위의 사진은 우미량을 보여주는 측면 사진이고 밑에 사진은 주심포 양식의 공포 모양이 소 혓바닥입니다()
관세음보살 ()()()


보살도 회향 부처님
고맙습니다...
행복한 마음으로 관세음보살~~~
고맙습니다...
행복한 마음으로 관세음보살~~~
대단하신 우리의 역사선생님 감사합니다.^^
담에 가면..꼭.. 함 보고 싶어요.. ^^
부팀장님 덕분에 역사공부 잘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