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필사나를 다시 꿈꾸게 하는 명시 따라 쓰기 손으로 생각하기 1 고두현 지음 | 토트 | 2015년 06월 17일 출간
사각사각 연필로, 잉크를 넣은 만년필로, 부드러운 볼펜으로 쓰는 나만의 필체로 만나는 멋진 글들. 온몸으로 좋은 시와 명문장을 따라 쓰다 보면 어느새 우리 몸과 마음도 함께 맑아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어떤 펜이든 좋습니다. 손에 익숙한 펜 한자루면 됩니다.
스마트폰에 빠진 디지털 시대, 아날로그를 그리워하는 당신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손으로 생각하기 시리즈 첫번째. 나를 다시 꿈꾸게 하는 명시 따라쓰기 '마음필사' 입니다.
마음필사 자세히 보러가기 (▼ 클릭요)
출판사 서평
“필사는 여행이다. 시와 함께 떠나는 이 기쁜 여행 속에 내 인생이 걸어가야 할 사랑의 길이 보인다.” - 정호승(시인)
총 91편의 시와 명문장, 에세이, 마음을 따뜻하게 감싸는 20여 장의 사진 수록
필사는 잊고 있던 ‘나’를 새롭게 발견하는 일이다. 어둠 속에서 자신의 얼굴을 더듬는 일, 빛을 향해 고개를 드는 일이다. 손으로 쓰고 손으로 생각하는 동안 우리의 삶은 새로운 지평을 맞이한다.
■ 고두현 시인이 오랫동안 마음에 품어온 시와 명문장 그리고 호소력 짙은 에세이
『나를 다시 꿈꾸게 하는 명시 따라 쓰기 - 마음필사』는 서정과 서사의 깊이를 함께 아우르는 시인 고두현이 오랫동안 마음에 품어온 시와 명문장 중에서 독자들과 나누고픈 편린들을 골라 모았다. 시를 사랑하는 데야 나이와 성별이 따로 있을까만 세월의 정점에 서 있는 시인의 감성은 삶의 질곡과 깊이를 아는 이들의 마음을 더욱 따뜻하게 어루만진다.
고단한 삶의 한 귀퉁이에 쪼그리고 앉아 있지만 다시 꿈을 찾아 날아오르기 위해, 시간이 지나도 퇴색되지 않는 옛사랑을 기억하며, 자신을 돌아보고 이웃을 살피는 마음, 그리고 삶의 애환과 이별 그 너머까지, 시인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라임을 만들고 생각의 고리를 엮어간다.
시인은 필사를 “잊고 있던 나를 새롭게 발견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필사는 어둠 속에서 자신의 얼굴을 더듬는 일, 빛을 향해 고개를 드는 일이다. 손으로 쓰고 손으로 생각하는 동안 우리의 삶은 새로운 지평을 맞이한다.
■ 소장욕구 자극하는 미려한 디자인과 감성 넘치는 20여 장의 사진
보통의 필사 책이 글이나 문장에만 집중하고 있는 데서 벗어나 이 책은 시각적인 요소 하나하나에 심혈을 기울였다. 부드럽게 연마한 은가루를 뿌린 듯 미려한 라인과 은은하게 광택이 도는 시크한 감성의 사진들은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지며 힐링의 순간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해준다.
면면이 따라 써야 하는 부담도 없고, 읽다가, 보다가, 마음이 내키면 연필이 닿는 곳 어디에나 쓸 수 있도록 에세이와 사진과 시, 명문장들을 버무려 다채롭게 구성했다. 필사의 매력은 수도 없이 많지만 필사 자체가 스트레스나 숙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분명한 책이다.
이 책은 본디 필사 책이지만 다 따라 쓰지 않아도 좋다. 그냥 소장하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진다. 그러다 누군가 마음을 나눠주고 싶은 사람이 있거든 말없이 건네도 그 마음을 전하는 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 좋은 글 따라 쓰는 ‘손으로 생각하기’ 시리즈
필사는 잊고 있던 ‘나’를 새롭게 발견하는 일이다. 손으로 생각하고 마음으로 쓰는 과정에서 한층 더 성숙해진 나를 만나게 된다. 맛의 장인에게 레시피만으로는 담아낼 수 없는 특유의 손맛이 있듯이, 오감을 동원해 사각사각 써내려가는 육필의 질감에서 우리는 깊이 있는 글의 참맛과 오래된 사색의 숙성미를 함께 체득할 수 있다.
■ 저자 서문 중에서 ■■■■
쓰는 시간만큼은 온전히 나를 위한 사색과 성찰의 시간으로 비워두라. 그렇게 석 달이나 대여섯 달쯤 지나면 한층 깊어진 생각의 단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빈 페이지를 하나씩 채워간 사유의 나이테에서 우리 삶의 비밀스런 정원을 만날 수도 있다. 그렇게 조금씩 빈 곳을 채우다보면 스스로 완성한 책 한 권을 갖게 되는 행복까지 누릴 수 있다.
베껴 쓴다는 것은 단순히 글자를 옮겨 적는 의미가 아니다. 연필심이나 펜촉이 종이에 글자를 그리는 그 시간의 결을 따라 문장 속에 감춰진 내밀한 의미가 우리 가슴에 전해진다. 행간에 숨은 뜻도 하나씩 드러난다. 여기에서 교감과 공감의 울림이 시작된다.
리듬을 타면서 몸과 마음이 움직이는 대로 써보라. 은은하게 소리를 내면서 쓰는 글은 우리 몸을 완전한 공명체로 만들어준다.
■ 필사에 대한 단상 ■■■■
필사는 여행이다. 시와 함께 떠나는 이 기쁜 여행 속에 내 인생이 걸어가야 할 사랑의 길이 보인다. - 정호승(시인)
필사는 애무다. 저자가 품은 그리움의 숨결이 뼛속까지 스며들어 독자와 혼연일체가 되는 한바탕의 뜨거운 격정이다. 향기로운 그 몸짓과 함께 한 줄씩 따라 쓰다 보면 어느새 나는 그 속으로 젖어들고 그는 내 속으로 들어와 요동친다. - 유영만(한양대 교수)
생각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쓴다. 생각의 속도가 필사의 속도와 보조를 맞추면 비로소 숨통이 트인다. 필사는 내게 숨고르기다. - 홍동원(글씨미디어 대표)
필사란 그가 밤새 그린 악보를 내가 아침에 흥얼거리는 것. 내가 그의 노래를 부르면 그의 새들은 내게 깃을 친다. - 주철환(아주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