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developer-diary/victoria-3-dev-diary-10-infrastructure.1485696/
기반시설(Infrastructure)은 상품의 운송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산업화에도 많은 도움을 줌.
기반시설에는 시장 접근성을 결정하는 기반시설 사용량(Infrastructure Usage)이라는 수치가 있음. 기반시설의 규모가 클수록 사용량도 증가함. 다만 사용량이 가용치를 초과하면 사용하지 못 하는 기반시설의 값에 따라 시장 접근성이 감소함. 예를 들어 어느 지역의 기반시설의 합이 45인데 사용량이 90이라면 그 지역의 시장 접근성은 50%가 된다는 얘기.
시장 접근성에 대해서는 지난 시간에 소개했지만, 간단히 설명하자면 시장 접근성이 낮을수록 해당 지역이 자국 시장에 온전히 접근하지 못 하므로 상품의 공급에 차질이 생겨 가격 형성이 불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
민스크는 기반시설 사용량이 가용치를 살짝 초과했지만 인구가 많고 생필품 또한 잘 공급되고 있으므로 철도가 놓이지 않아도 한동안은 괜찮을듯
이러한 불균형은 양뱡향성을 띔. 예를 들어 빵을 생산하는 지역과 철을 생산하는 지역이 있는데, 두 지역의 시장 접근성이 100%라면 양쪽 지역의 곡물(빵의 원료)과 철의 가격은 같을 것임. 그러나 철을 생산하는 지역의 시장 접근성이 감소한다면 그 지역의 철 가격이 급락하지만 빵을 생산하는 지역의 철 가격은 오를 것임. 추가로 철을 생산하는 지역은 곡물을 많이 확보하지 못 해 곡물 가격 또한 오르겠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조금 감소할 것임.
소비와 생산량이 일치한다면 팝들에게 필요한 생필품을 생산하는 농촌 지역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임. 그러나 보다 복합적인 공산품을 생산하려 한다면 같은 시장 내에서 수급하든 해외에서 수입해오든 그 상품의 원료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함. 이런 상품들은 수익성이 좋긴 하나 반드시 구매 수요가 있어야 함. 사치품을 암만 찍어낸들 그걸 살 사람이 없으면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이니까.
기반시설 사용량은 한 지역에 존재하는 건물들의 종류와 레벨에 따라 결정됨. 보통 도시형 건물이거나 용도가 특수한 경우 건물레벨 당 사용량이 증가함. 즉 같은 레벨이라도 중공업에 해당하는 건물이 경공업에 해당하는 건물보다 기반시설 사용량이 많음.
민스크의 기반시설 사용현황. 도시형 건물(1~3번째)들이 나머지 두 건물에 비해 사용량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음. 참고로 자급농장이나 도심지는 기반시설을 사용하지 않는데, 전자는 생산량의 거의 전부를 자체적으로 소비하고 후자는 기반시설의 존재 자체가 그 건물에 필요한 사용량을 상쇄시키기 때문
기반시설을 건설하고, 그에 변동치를 부여하는 방법은 아주 많음. 기본적으로 기술의 발전 정도나 통합된 주인지의 여부(식민지는 통합된 주보다 기반시설이 열악함)에 따라 다르지만, 기반시설의 가장 중요한 점은 철도망의 크기에 있음. 철도는 무형의 자원인 '교통'을 생산하는 동시에 기반시설의 핵심이기도 함.
산업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단순히 공장을 짓고 노동력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서 각 공장들이 기반시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게다가 철도를 운영하려면 팝들을 고용해야 하며 석탄과 엔진같은 상품도 필요함. 권위(여기 참고)를 사용하는 도로 정비에 관한 포고령 반포가 단기적 대안이 될 수는 있지만, 이런 방법으로는 대규모 산업화를 이루기에 턱없이 부족함. 물론 철도도 시간이 지나면서 디젤이나 전기 등 효율적인 동력원을 갖춤으로써 레벨 당 접근 가능한 건물의 수가 늘어남.
초기형 철도는 공장 노동자(Machinist)들에게 있어 최고의 직장 중 하나이지만, 민스크에는 그런 팝들이 얼마 없어 생산량이 완전고용을 이루었을 경우에 비해 그리 높지는 않음. 그러나 승차권은 불티나게 팔리는 중
철도가 유용하게 쓰이기 위해서는 시장 중심지와 직접 통하거나 그 곳으로 통하는 항구로 향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의도임. 즉 어떤 철도든 시장 중심지와 연결되는 한도 내에서만 기반시설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얘기임.
지리적 요소 또한 지역 특성(State Traits)을 통해 기반시설에 중요한 역할을 함. 지역 특성은 지역의 지리적 특징이나 온도 등에 따라 해당 지역에 특정한 효과를 부여함. 지역 특성이 주는 효과는 다양하지만 특정 자원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거나 기반시설에 대해 변동치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임.
민스크의 목재 수입에 큰 도움을 주는 러시아의 삼림. 물론 목재를 필요한 지역에 공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 있을 때 얘기지만
거대한 강은 기반시설의 가용치를 크게 증가시켜 산업화 초기에 큰 도움을 줌
마지막으로, 기반시설은 시장 접근성 뿐만 아니라 병참이나 이주 등과도 연관이 있으며, 또한 육상에서의 물자 운송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짚고 넘어가고자 함. 이에 대한 자세한 얘기는 다음에 하기로 하고, 다음 시간에는 고용과 자격(팝이 특정 직업을 얻기 위한 조건)에 대해 살펴보겠음.
+개발자 답변
Q1. 기반시설 맵모드는 없음?
A. 각 지역의 시장 접근성을 나타내는 맵모드는 있음. 필요하다면 나중에라도 관련 맵모드를 별도로 추가할 예정.
Q2. 기반시설은 국제 무역에도 영향을 미침? 아니면 국내에서만 영향을 미침?
A. 국제 무역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설명하겠음.
Q3. 다 좋은데, 다른 주제(외교라든가)를 다룬 개발일지는 언제 올라옴?
A. 지금은 경제와 정치 영역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서 그렇지 조금만 기다리면 다른 주제를 다룬 개발일지도 볼 수 있음.
Q4. 시장 중심지를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음? 옮기는데 비용도 필요함?
A. 시장 중심지는 그 나라의 수도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옮기는 것도 가능함. 미국을 예로 들면 수도는 워싱턴 DC이지만 시장 중심지는 뉴욕에 있음. 비용은 따로 없지만 시장 환경의 급변으로 인한 페널티는 있음.
Q5. 전쟁 시 적군이 기반시설을 사용하지 못 하게 하여 그들의 항복을 종용할 수 있음?
A. 기반시설을 전쟁에도 활용할 수 있게 만들 의향이 있다고만 말해두겠음.
Q6. 모든 지역의 시장 접근성을 100%로 만드는 것은 얼마나 어려움?
A. 기반시설 유지에 지출하는 비용에 대비한 산업화의 진척도에 따라 다름. 모든 지역에 같은 레벨의 철도를 건설하는 것보다 더 좋은 대안은 별도의 수송이 필요없는 상품을 생산하는 지역과 공업이 고도로 발달한 지역을 구분하여 철도망을 구축하는 것임.
Q7. 마이너한 운하(ex: 이리 운하)가 여러모로 쓸모없어서 넣을 생각이 없다고 말한 걸로 아는데, 만약 시작일을 1821년으로 앞당기는 DLC를 낸다면 그 때는 넣을 생각 있음?
A. 마이너한 운하를 아예 안 넣겠다는게 아니라 운하가 철도와 똑같은 기능을 하기를 원치 않는다고 했던 것임. 그런 운하들을 넣는다면 시작일을 앞당기는 징조나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더욱 저렴한 대안이 되겠지만, 지금으로써는 시작일을 앞당길 생각이 없음.
Q8. 호이4의 보급 매커니즘처럼 병목현상도 일어남?
A. 예를 들어 40의 철도가 있는데 시장 중심지에 도달하기까지 10의 철도만 사용한다면 나머지 30의 철도는 사용되지 않은채 낭비되고 사용되는 10의 철도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함.
Q9. 같은 지역에서 생산한 상품을 사용하는 건물은 기반시설 사용량이 적음?
A. 건물에 필요한 상품을 현지에서 얼마나 많이 수급하는가에 따른 비용 감소는 적용할 수 있지만, 현재로써는 개별 상품이 이동한 경로를 추적하는 효과까지는 없음. 한 번 고려해보겠음.
첫댓글 아 올해가 너무 길다...
이걸완벽히 이해하고플레이할수 있으려나?
읽어보면 참 재미난 요소긴한데 개발일지 전혀 안 읽고 플레이한 임롬 할 때 떠올려보면 왜 이 지역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건지 이해 못하겠다로 귀결되던데 말이졈.
한글없으면 게임 못하겠다 얘는..
확실히 복잡한 시스템이긴 하지만 그걸 정복하고 이해했을때 의도대로 움직이는 판이 나온다면 쾌감 쩔거 같네요 ㅋㅋㅋㅋ
두 지역의 시장 접근성이 100%라면 곡물과 철의 가격은 같은 것임. <- 이부분 해석이 오해의 여지가 좀 있을 것 같습니다.
원문에서 the price of iron and grain will be the same in both. 의 의미는 철가격과 곡물가격이 서로 다른 시장에서 같을 것이라는 의미지만 여기서는 곡물가격과 철가격이 같다. 라는 의미같네요.
A시장 철 : 20원 빵 5원 이면 B시장 철 :20원 빵 5원 이렇게 그대로라는 의미입니다.
in both를 제대로 못 봤네요; 지적해주신대로 수정했습니다
매번 잘 보고 갑니다!
그만! 이미 갓겜인데 더 좋아지면 안돼요! 이러다 마그나 문....!
이제는 이걸 정말 게임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싶을 정도네요.
대체 얼마나 갓겜을 만들려고 그러는거야 ㄷㄷ
이런 복잡한 시스템을 오류나 과부화 없이 연산시킬수 있을까 라는 걱정도 ㅠ 하지만 나와만 주십쇼 dlc란 dlc는 다 사겠습니다!!
아앗,,,, 시작일을 앞당길 생각이 없다니 아쉽.... 다만 저런 질문이 나온단 얘긴 양놈들도 연도 앞당기는데 관심있다니까 좋은 소식인듯 ㅎㅎ
인프라가 미래다
일정 인구수 이상이면 지옥이겠는데요. 맬서스 트랩 작동할거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