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능력에 감춰져서 혹은 노력형이라는 이미지가 강해서 그렇지 처음으로 올대 발탁된것도 중앙선 드리블 돌파로 허정무 감독을 사로 잡았고, 02년도 월드컵만 봐도 드리블로 상대 뚫어내는 장면도 박지성이 가장 많았다고 보고요. psv시절 경기를 많이 챙겨보진 못했지만 한경기 볼터치 영상만봐도 유럽선수들 상대로 과감한 드리블로 상대를 벗겨내는 장면을 수도 없이 보여주죠. 또한 월드컵에서 한국 최초로 드리블로 인한 골을 기록한것도 박지성이고요. 차범근 위원님은 경기 뛰는걸 저가 못봐서 모르겠지만 한국 최고 재능이라 불리는 이천수 선수 보다도 드리블 능력이 뛰어나다고 보거든요. 안정환 선수는 화려한 턴동작으로 슛각을 열거나 패스각을 여는 기술에 능하다면 드리블 돌파는 박지성 선수가 역대 저가 본 한국 선수 중에 최고라고 생각드네요. 맨유라는 당대 최고 클럽에서 뛰게 되면서 조력자 역할을 했기에(무릎 수술도 있었죠)개인 전술을 많이 선보이진 않았지만 국대에선 말그대로 크랙 자체가 박지성 선수였다고 봅니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맨유에서나 기술이 부족해보였던거죠 나니, 긱스, 호날두, 루니, 베르바토프등등 이런 선수들이 있었으니ㅋㅋ 그리고 무릎부상전에 경기만봐도 진짜 우리나라에서 세계레벨 선수들을 상대로 드리블치는 선수가 나타났구나 생각했었던 기억이 나네요.뭐 그러니 국대에서는 말할 필요가 없죠ㅋㅋ 진짜 국대에서는 육각형이였음...
첫댓글 맞습니다 볼운반하는 능력이 탁월했던 선수였죠. 이천수는 알려진 이미지와는 달리 1on1이나 드리블보다는 킥력이 좋은 선수였구요
맞아요.
이천수하면 돌파력 좋다생각하는데 제가볼때만 유독 그런지 몰라도 앞에 선수 쉽게 제치면서 다니는걸 못봤음
좀 투박해서 그렇지 드리블 능력도 뛰어났다고 봐요
투박한거도 맨유에서 수비적인 롤때문이라.. 국대에서 뛸때는 최고의 테크니션에 우아하기까지 하드라구요 ㄷㄷ
ㅇㅈ
저는 전성기 이청용보다 잘한다고 생각해여
무릎 부상전 박지성은 말이 필요없죠
부상 이후에 스피드는 많이 죽었으나 공의 스피드를 살리면서 볼운반하는건 지렸죠
무릎부상만 아니었으면 정말 어마무시했을거에요
드리블 뿐만 아니라 패스도 좋죠. 못하는게 없음 국대에선 제공권 빼고 육각형 ㅋㅋ
굳이 따지면 골 숫자가 별로인데 그나마도 큰경기 중요경기에서 결정적인골을 계-속 넣다보니 오히려 좋아보일정도죠.
당시 세계 1, 2위 클럽을 다투던 맨유에서나 수비형 윙어였지, 국대에서는 크랙이었죠.
레전드 ..
그렇죠 볼줄기를 살리면서 기관차같은 전방 드리볼...
최고였죠
세계적 선수들 바글바글한 맨유에서나 공격력이 아쉽단 소리가 나오지 절대적인 공격력으로 평가하면 상당히 좋은 선수
진짜 (한국기준)드리블 좋은선수입니다 드리블 후 골도 박지성이 월드컵 그리스전 최초 아닌가요?? 이건 어느정도 지성팍본인이 드리블 돌파에 자신감이 있단소리임
권창훈이 이런스타일로 드리블 하던대
psv 맨유 초반엔 드리블이 젤 장점같이 보이던..
막짤ㄷㄷ
권창훈이 박지성스타일같음ㅋ 우당탕탕 돌격대장임
Psv,맨유 첫시즌만 해도 저돌성이 장점일정도로 공잡으면 드리블도 잘했습니다 그놈에 무릎부상덕에 플레이스타일 바꿨지만 무릎부상 이후에도 국대만 오면 드리블마저도 언터처블이었죠
개인적인 생각으로 볼을 이쁘게 차는 스타일은 아니었던것 같음. 그래서 그냥 보기엔 다소 투박해보이기도 하는데 드리블 성공률은 꽤 좋았다고 생각함. 그러니 맨유까지 가서도 성공한거고
맨유에서나 기술이 부족해보였던거죠 나니, 긱스, 호날두, 루니, 베르바토프등등 이런 선수들이 있었으니ㅋㅋ 그리고 무릎부상전에 경기만봐도 진짜 우리나라에서 세계레벨 선수들을 상대로 드리블치는 선수가 나타났구나 생각했었던 기억이 나네요.뭐 그러니 국대에서는 말할 필요가 없죠ㅋㅋ 진짜 국대에서는 육각형이였음...
2010년 4위 우루과이가 박지성을 막아라 특명 내릴정도였으니 뭐...
박지성은 과감한 드리블이 좋았었죠 ㅋㅋ 그런 드리블도 적재적소에 맞게끔 쳤음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