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풀리고 기분이 좋아진다’는 말이 있다. 매운맛이 들어가는 순간 후끈하게 열을 발산하게 되고 뒤이어 그 열이 식으면서 후련함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우리 몸에서는 엔도르핀의 분비를 촉진시킨다니 기분이 좋아지는 건 당연한 생리 현상인 셈. 사정이 이러니 불경기에 매운 음식이 잘 팔리는 것도 당연지사.
매운 맛을 내는 향신료는 생각보다 많다. 고추와 마늘을 비롯해 산초, 생강, 후추, 파, 양파, 고추냉이, 겨자, 무 등. 한식 재료 중에도 맛내기에 쓰이는 대부분의 재료다. 그중에서도 고추와 마늘은 고유의 자극적인 냄새와 맛에도 중독성을 일으킬 만큼 우리 입맛을 당긴다. 보통 단 음식은 몸에 해롭다지만 고추와 마늘요리는 오히려 몸을 보호해 주는 기능이 강하다. 항균 작용은 기본이고 엔도르핀 형성을 돕는다거나 허한 기력을 보충해 주는 강장제 역할까지 도맡아 하는 것이다. 물론 그 이면엔 최근의 웰빙 트렌드도 작용했다.
이미 일본에선 몇 년 전부터 다이어트에 좋다고 해 고춧가루 통을 휴대하고 다닐 정도로 인기를 끌었으며, 실제로 근거가 될 만한 학계 연구가 잇따르고 있다. 마늘 또한 마찬가지. 고추는 ‘매운 맛’이라는 하나의 장르에 매이게 마련인데 마늘은 웰빙 트렌드를 타고 마늘피자, 마늘스파게티, 마늘삼겹살, 마늘국수 등 독특한 아이템으로 최근 유명 레스토랑의 인기 메뉴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그러나 간과할 수 없는 말도 있다. 의학 전문가는 ‘매운 음식에 지나치게 열광하는 것은 피하라’고 한다. 고추나 마늘의 지나친 자극은 위나 장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 특히 임신부나 평소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태아나 다른 장기에 열기가 미쳐 해를 입을 수도 있다.
|
첫댓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