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초가사랑
 
 
 
카페 게시글
전공 질문게시판 토양학 잠산도 질문입니다.
토티 추천 0 조회 398 20.01.16 22:11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0.01.17 11:00

    첫댓글 ① 잠산도는 교환성산도와 잔류산도를 모두 합한 산도입니다.
    활산도는 토양 용액 중의 H+ 이온의 농도이며, 실제 pH meter로 측정되는 토양 pH입니다. 교환성산도와 잔류산도는 pH meter로는 측정되지 않지만 토양 산도에 양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산도이므로 이들을 합쳐 잠산도(reserve acidity 또는 potential acidity)라고 합니다.

    ② 토양입자에 교환성 양이온으로 흡착되어 있는 수소와 알루미늄에 의한 산도는 교환성 산도이며, 잠산도의 일부입니다.

  • 20.01.17 11:01

    ③ 교환성 산도는 대개 1 M KCl 용액으로 추출하는데, KCl 용액은 증류수로 제조하므로 완충능이 없는 용액입니다. 1 M KCl 용액에 토양을 넣고 잘 혼합해두면, 향문사 교재 206 페이지의 그림과 같이 토양입자에 흡착되어 있던 교환성 H+와 Al3+ 이온이 K+ 이온과 교환되어 토양 용액에 추출됩니다.

    잔류산도는 점토와 부식에 결합된 수소와 알루미늄에 의한 산도인데, 주로 점토광물과 부식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작용기에 결합되어 있는 수소에 기인합니다. 첨부한 그림과 같이 pH가 낮을수록 작용기에 수소가 결합하며, pH가 높아지면 H+ 이온 형태로 용액 중으로 해리됩니다.

  • 20.01.17 11:02

    잔류산도는 토양의 pH를 7.0 또는 8.3까지 높였을 때 해리되어 나오는 H+ 이온의 양을 측정하여 결정합니다. 토양 pH를 높이기 위해 해당 pH의 완충용액을 사용합니다. pH 7의 경우에는 ammonium acetate 완충용액을 사용합니다.

    ④ Al 이온은 첨부한 그림과 같이 용액 중에서 물과 반응하여 H+ 이온을 생성합니다.

  • 작성자 20.01.17 11:46

    감사합니다!!!
    그런데 Al이온의 이 반응이 항상 오른쪽으로만 일어나나요?? 토양 내에 Al이온과 수소이온이 있다면 저 반응이 평형상태를 이루고 있다는 건데 알루미늄이온을 pH에서 같이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20.01.17 12:48

    @토티 예, 당연히 각 반응은 용액 pH의 영향을 받습니다.
    pH가 3-4 이하이면, 알루미늄은 거의 대부분 Al3+ 형태로 존재합니다.
    pH 5-7 범위에서 Al(OH)2^+, Al(OH)3 형태가 많이 존재합니다.

  • 작성자 20.01.17 13:56

    @soilman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