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보험회사 판매채널 영업효율 및 감독방향 |
□’23년말 기준 보험설계사는 60만 6,353명으로 전년(58만 9,509명) 대비 1만 6,844명(2.9%) 증가
□채널별 판매비중(초회보험료 기준)은 생보의 경우 방카(62.6%), 직급(25.4%), 전속(6.5%), 대리점(5.1%) 順이며,
◦손보는 대리점(30.5%), 직급(27.1%), CM(18.4%), 전속(7.3%) 順
※ 보험계약 유지율 : 과거 체결된 계약 중 정상 유지되고 있는 계약의 보험료 비율 |
□(현황) ’23년 보험계약 유지율은 1년(13회차) 84.4%, 2년(25회차) 65.4%이며, 5년(61회차) 유지율은 41.5%에 불과
※ ’21년 이후 고금리 기조로 인한 저금리 저축성보험의 해지 증가 등으로 인해 저축성보험 비중이 높은 생보의 유지율이 특히 저조
□(채널별) 전속과 GA 채널의 경우 보험계약 초기(1년) 유지율은 각각 86.0%, 87.9%로 높은 수준이나,
◦수당 환수기간(2년 이내) 이후 계약해지 증가 등의 영향으로 2년(25회차) 이후 유지율이 크게 하락
◦한편, 방카는 他채널 대비 유지율이 가장 저조하고, 저축성보험 해지 등으로 2년 이후 유지율은 50% 미만으로 하락
※ 보험설계사 정착률 : 신규 등록된 전속설계사 중 1년이 경과한 후에도 정상적으로 모집활동에 종사하는 비율 |
□’23년 보험회사 전속설계사 정착률(1년)은 47.3%로 전년(47.4%) 대비 소폭 하락(0.1%p)
◦생보(36.9%)는 전속설계사의 GA 이동 등에 따라 전년(39.0%) 대비 하락한 반면, 손보(53.2%)는 전년(52.2%) 대비 소폭 상승
4 |
| 보험설계사 생산성(1인당 월평균 소득 및 수입보험료) |
□’23년 보험회사 전속설계사의 1인당 월평균 소득은 304만원으로 전년(275만원) 보다 29만원(10.5%) 증가한 반면,
◦1인당 월평균 수입보험료는 2,402만원으로 전년(2,509만원) 보다 107만원(4.3%) 감소
◈판매채널의 장기 완전판매 지표인 계약유지율 및 설계사 정착률은 다소 악화되었으나, 불완전판매비율은 개선
◦다만, 보험권의 단기실적 중심의 과당경쟁 등 불건전 영업 유발 요인이 방치될 경우 소비자 피해 우려* 지속
* 단기납 종신보험 환급률 경쟁, 특정 담보의 보장한도 증액 등 불합리한 상품 판매 및 과당경쟁 심화로 소비자 피해 우려[’24.3월 소비자경보 발령]
⇨ 불완전판매 등 소비자 피해 방지 및 잠재리스크 요인에 대한 선제적 차단을 위해 감독ㆍ검사 강화 |
유지율 저조 보험회사 집중 관리
◦유지율 개선계획을 징구하고, 개선여부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
불건전 영업행위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보험회사 검사시 영업조직(자회사 GA)에 대해 연계검사를 실시하고, 부당한 계약전환(승환) 등 소비자 피해 가능성이 높은 경우 현장검사 실시
◦보험 모집조직의 위법행위는 무관용으로 강력 조치하는 한편, 보험회사에 대해서는 내부통제 책임과 연계하여 관리책임 부과
단기 실적주의 개선 등을 위한 제도개선
◦단기실적 중심의 불건전 영업관행 근절 및 소비자 중심의 판매문화 정착을 위해 근본적인 제도개선 추진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