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타자핀vs 보티옥세틴
정신신경계질환
미르타자핀(Mirtazapine)과 보티옥세틴(Vortioxetine)을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두 약물은 어떤 질환에 사용하나요?
두 약물은 비정형 항우울제로 주요우울증(주요우울장애)에 사용되는 약입니다. 우울증은 큰 슬픔을 느끼거나 이전에 즐겨하던 활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이 감소하는 것으로, 기능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심한 경우 장애가 됩니다. 최근의 상실이나 가슴 아픈 사건 이후에 일어나지만, 이 사건에 비해 과하게 일어나고 적절한 기간을 초과하여 지속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정형 항우울제로는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와 삼환계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 TCA) 등이 있으며, 이들 약물은 뛰어난 작용에도 불구하고 이상반응 또한 다양하여 이러한 이상반응을 보완하고자 비정형방식으로 작용하는 항우울제가 다수 개발되어 있습니다.
비정형 항우울제 또한 신경 전달 물질(dopamine, serotonin, norepinephrine)에 영향을 주어 우울증을 완화하며 대부분의 항우울제와 마찬가지로 궁극적으로는 기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뇌 신경 세포 회로의 뇌 화학 및 소통에 영향을 주어 우울증을 완화시킵니다.
두 약물의 작용 방식은 무엇인가요?
1. Mirtazapine
주요우울장애 치료를 위한 미르타자핀의 정확한 작용기전은 불분명하나 노르에피네프린(NE)의 재흡수를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중추 전시냅스의 α2 길항작용(presynaptic alpha-2-adrenergic inhibitory autoreceptors와 heteroreceptor) 으로 NE가 계속 분비되도록 촉진하는 작용을 하며, 중추적으로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5-HT)의 활성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Mirtazapine은 세로토닌 수용체 아형 5-HT2 및 5-HT3, 히스타민 수용체 아형 H1, 말초 알파-1 수용체 및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합니다. 세로토닌성 신경전달의 증가는 5-HT1 수용체를 통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Mirtazapine이 5-HT2 및 5-HT3 수용체는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2. Vortioxetine
세로토닌 수용체에 대한 직접적인 조절과 세로토닌의 재흡수 억제를 통해 세로토닌을 활성화하며, 다양한 신경전달 물질의 조절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HT1D, 5-HT3 및 5-HT7 수용체는 차단하며, 5-HT1A 수용체에는 효능제로, 5-HT1B 수용체에는 부분효능제로 작용합니다.
두 약물의 용법·용량은 무엇인가요?
1. Mirtazapine(레메론정 15, 30mg, 레메론솔탭정 15, 30mg)
- 초기용량 1일 15mg, 유효용량 1일 15~45mg
2. Vortioxetine(브린텔릭스정 5, 10, 20mg)
- 초기용량 및 권장용량 1일 1회 10mg
· 환자의 반응에 따라 5~20mg으로 감량 또는 증량 가능
·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 가능
두 약물 모두 정신질환치료를 위한 MAO저해제 투약을 중단하고 이 약으로 치료를 시작할 경우 적어도 14일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하고, 반대로 MAO저해제 투여 시작 시 이약 중단 후 적어도 14일이 경과해야 함.
두 약물의 특징과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1. Mirtazapine
- 고용량보다 저용량에서 진정작용(졸음)이 더 일어날 수 있음
- 식욕증가와 체중증가가 흔하나 성기능 장애의 위험성은 낮음
- 기타 이상반응으로는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변비, 구갈, 말초부종, 어지러움 등이 있음
- 주요 약물상호작용은 드묾
- 타 항우울제와 병용이 흔함
- Serotonin에 대한 mirtazapine의 효과로 인해 드물지만 serotonin syndrome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2. Vortioxetine
- 식사와 관계없이 하루 한 번 복용
-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구역, 변비, 구토
- 체중에 영향이 없고, 성기능 이상반응이 낮음
- CYP2D6가 주배설경로이며, 느린대사자(poor metabolizer)의 경우 약물농도가 올라갈 수 있음
주요우울장애 치료에 쓰이는 약물은 어떤 것이 있나요?
주요우울장애에 있어 항우울제의 선택은 경도 및 중등도 또는 중증 삽화인지, 정신병적 양상이 동반됐는지, 임상 아형(멜랑꼴리아 양상, 비전형적양상), 불안 동반 여부에 따라 1차선택약제와 2차선택약제 등이 달라지게 됩니다. 주요우울장애에 적응증을 가진 약물은 <표1>과 같습니다.
약물에 대한 이상반응을 고려할 때 항우울제의 선택은 어떻게 되나요?
약물이상반응을 고려한 항우울제의 선택은 <표2>와 같습니다. 발기부전이나 성욕감퇴 등 성기능장애를 고려하여 선택할 경우, bupropion이 1차 약물이며, 2차 및 3차 약물로는 mirtazapine과 vortioxetine을 권고합니다. 불면증 등의 수면장애가 있을 경우나 구역·구토가 있는 경우 mirtazapine이 1차 약물로 권고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