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16:19-31 부자의 뼈아픈 실수.
이렇게 극적으로 운명이 바뀐 경우는 흔치 않는 일입니다.
부자는= 금수저로 태어났습니다. 다복한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로얄 패밀리로 살았습니다.
나사로를 형제들에게 보내달라는 말을 보면 당당했고 성공했고 화제의 중심에 있었고 사람들의 부러움을 샀습니다. 부자는 명품인 자색 옷에 가는 베옷을 입고 호화롭게 잔치하며 살았습니다.
그런데 그는 음부에서 불꽃가운데 고민합니다. 그에게는 물 한 방울의 소유도 없습니다.
나사로는=평생거지였습니다. 돌봐주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실패한 인생이었습니다. 심지어 동물들에게도 멸시를 당했습니다. 25절에 나사로는 고난을 받았다는 아브라함의 말은 그가 얼마나 몸과 마음이 찢어지는 고통을 겪었는지 말해줍니다. 세상에서 밀려난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나사로는 낙원에 있습니다. 위로를 받습니다. 아브라함의 품에서 사랑을 받습니다.
부자가 이렇게 운명이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는 이 땅에 살면서 뼈아픈 실수를 했기 때문입니다. 누구나 실수할 수 있지만 운명이 바뀌는 실수를 하지 않기를 주님이 바라시기에 오늘 말씀을 우리에게 전해 주십니다.
여러분도 동일한 실수를 하고 계신 것은 아니가 하는 것을 점검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본문에 나오는 부자의 가장 뼈아픈 실수는 무엇일까요?
이 땅의 환경이 천국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부자는 이 땅에서 넉넉하게 살아온 것처럼 당연하게 죽어서도 그렇게 되리라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은 자신의 형제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부자는 나중에 나사로를 세상에 보내달라며 아브라함에게 말합니다. 천국은 전혀 다른 기준이 적용됩니다. 이 땅과 그 나라는 완전히 색깔이 다릅니다. 주님은 마가복음에10장에서 제자들이 서로 누가 큰가를 다툴 때 천국은 그렇지 않다고 하시는 말씀을 통해 천국의 기준과 평가가 세상과 다르다는 것을 이야기 해줍니다.
이 땅의 부자가 하늘의 부자로, 이 땅의 유명한 자가 하늘의 유명한 자로, 이 땅의 풍부한 자가 하늘의 풍부한 자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이 땅의 부는 세습이 되고 배경이 세습이 되지만 하늘나라는 세습도 불가능하고 나 자신도 이 땅의 상항을 가지고 갈수가 없습니다.
본문에 나오는 부자의 가장 뼈아픈 실수는 무엇일까요?
세상의 성공이 성공의 전부라고 생각한 것입니다.
이 세상의 성공은 화려합니다. 박수가 쏟아집니다. 사람이 몰려듭니다. 높은 곳에 올라가게 됩니다. [잠28:11] 부자는 자기를 지혜롭게 여긴다는 말처럼 자기가 기준이 됩니다.
너무도 위험한 상황입니다. [마4:8]에 마귀가 또 예수님을 데리고 지극히 높은 산으로 가서 천하만국과 그 영광을 보여주며 시험했던 것처럼 그것은 마귀의 전략일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이 땅을 살면서 도움이 될 도구는 되겠지만 그것이 열매는 아닌 것입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하나님 앞에서 열매가 있는지 돌아보아야 부자가 한 뼈아픈 실수를 하지 않을 것입니다. 섯다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는 말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하늘로 돌아갈 사람들입니다. 사람이 죽으면 돌아가셨다고 말하지 않습니까?
[롬11:36]은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 아멘이라고 선포합니다. 조심해야 합니다.
거꾸로 세상에서 대단하지 못했다고 여러분의 인생이 다 실패한 것은 아닙니다.
세상은 자기들이 기준을 정해놓고 거기에 맞지 않으면 실패자라고 루저라고 낙인을 찍습니다.
그리고 왕따 시킵니다.
우리는 그런 사람들의 눈초리 앞에 “당연해 나는 패배자야 나를 봐 무어 좋은 일이 있어 앞으로 도 별 반 다르지 않을 것 같아” 그렇게 생각합니다. “희망이 없어∽ 살고 싶지 않아∼ 될대로 되라지∽” 라며 자포자기 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습니다. 반드시 세상의 성공의 인생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성공과 실패는 하나님의 기준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성품의 사람 하나님의 형상회복입니다.
나이가 들어가면 건강도 물질도 권력도 성공도 다 흩어져 갑니다. 마치 화장하고 뼈 가루를 바다네 날리듯이 진정한 모습은 아우라입니다. 신령한 포스입니다. 존경할만한 신의 품격입니다.
거룩함은 하나님의 특성입니다. 하나님의 자녀의 특성입니다. 명예입니다.
본문에 나오는 부자의 가장 뼈아픈 실수는 무엇일까요?
마음과 육체가 원하는 대로 살아가도 된다고 생각한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진노를 쌓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살리고 세우는 일에 실패한 것입니다.
우리의 존재 목적은 주변에 가난한 사람 어려운 사람 혼자 살아가기에 지친사람의 이웃이 되는 것입니다. [신15:11] 땅에는 언제든지 가난한 자가 그치지 아니하겠으므로 내가 네게 명하여 이르노니 너는 반드시 네 경내 네 형제의 곤란한 자와 궁핍한 자에게 네 손을 펼지니라
참 신앙은 [사58:7] 또 주린 자에게 네 식물을 나눠 주며 유리하는 빈민을 네 집에 들이며 벗은 자를 보면 입히며 또 네 골육을 피하여 스스로 숨지 아니하는 것이며 [사58:10] 주린 자에게 네 심정을 동하며 괴로워하는 자의 마음을 만족케 하라고 하십니다.
능력주의는 굉장히 위험한 것입니다. 나는 고생 할 만큼 했어, 내가 노력하고 수고해서 얻은 것이야 라는 능력주의는 다른 사람을 멸시합니다. 다른 사람을 게으르다고 능력 없다고 질책합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도 나름대로 이유와 말 못할 상황이 있습니다.
물론 수고와 땀 흘림을 존경하지 않고 다 똑같이 나누자는 사회주의는 더 문제가 심각합니다.
섬김이 주님의 본성임을 부자는 망각한 것입니다.
믿으면서 분노하고 내가 이런 왜 이런 대접을 받나 그렇지만 내가 믿으니까 참는다. 예수님 보고 참는다. -------아닙니다. 그것이 가치이고 보람이고 행복이고 당연한 것입니다.
성도여러분! 하나님 나라의 기준은 다르기에 이 땅이 그대로 이어진다는 생각을 조심하시기를 바랍니다. 열심히 사는 것은 아름다운 것입니다. 땀은 배신하지 않는 다는 말도 맞는 말입니다. 그러나 오늘 부자처럼 여러분이 세상의 기준에서 성공했다고 그것이 하나님 앞에 그대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내가 지금 하나님의 계획안에 세워진 열매인가?를 돌아보셔야 합니다. 무엇보다 욕망을 따라 모든 자산을 허비하지 말고 이웃을 위한 긍휼로 하늘의 보화를 쌓아 가시기를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