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기획취재부 1급 정보] ○…미국 교육평가원(ETS) 시행 영어능력평가인 토익(TOEIC) 시험이 듣기와 읽기의 지문이 길어진다. 사진묘사 문항이 줄어들고 틀린 문장을 고치는 문항은 사라지는 새 형태로 바뀐다.
ETS는 이 같이 새로 개정된 형태의 토익을 내년 5월 정기시험부터 한국과 일본에서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ETS에 따르면 다양한 표준영어를 반영하기 위해 미국 뿐 아니라 영국,캐나다,호주 뉴질랜드등의 액센트를 포함했으며 사진묘사 문항을 대폭 줄이고 읽기 영역에 2개의 지문을 읽고 문제를 푸는 새 유형을 도입했다. ETS는 이밖에 말하기와 쓰기 등도 시험항목에 추가하는 것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새 형태의 토익에서도 점수체계와 지필고사 형태,문항수(200문항)와 듣기 45분,읽기 75분 등 2시간 동안 치러지는 시험시간은 그대로 유지된다. 새 형태의 토익은 2006년 5월부터 우선 한국과 일본에서 시행되며 기업체와 학교 요청으로 수시로 시행되는 특별시험은 2007년부터 전세계적으로 실시된다. 크리스타 매튜스 ETS 국제부 팀장은 “새 형태의 시험은 최근 언어능력 이론들을 반영해 더욱 실제 상황에 맞는 내용으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1979년 처음 시행된 토익은 지난해 전세계 60개국에서 400만명 이상이 응시했고 한국에서만 183만여명이 응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듣기=대화문의 수가 90여개에서 60개로 줄어드는 대신 대화문의 길이가 늘어난다. 사진묘사(PartⅠ)가 20문항에서 10문항으로 줄어드는 대신 설명문(Part Ⅳ)이 10문항 늘어난다. 질의응답(Part Ⅱ)은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출제된다. 짧은 대화(Part Ⅲ)는 하나의 대화문을 들려준 뒤 한 문항을 풀도록 하는 방식에서 하나의 지문을 듣고 3문항을 푸는 형태로 바뀐다. 즉 30개의 대화문과 30문항이 출제됐지만 새 토익에서는 10개의 대화문과 30문항이 출제된다. 설명문(Part Ⅳ)은 10문항이 늘어난 30문항이 출제된다. 하나의 지문을 듣고 2∼3개 문항을 푸는 방식에서 하나의 지문을 듣고 3문항을 푸는 방식으로 바뀐다. 지문의 수는 줄어들지만 지문의 길이는 늘어난다. 이와 함께 다양한 표준영어를 반영하기 위해 미국 뿐 아니라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발음도 포함되는 것도 특징이다. ◇읽기=짧은 문장의 빈 칸을 채우는 형태의 Part Ⅴ는 출제형태가 유지된다. 문장에서 틀린 부분을 찾아 고치는 형태로 출제되던 Part Ⅵ는 사라진다. 대신 Part Ⅵ는 비교적 긴 지문의 빈 칸을 채우는 문제로 치러진다. 20문항이 출제되던 Part Ⅵ는 12문항이 출제되며 3개의 긴 지문이 주어지고 하나의 지문에 대해 4문항을 푸는 형태로 출제된다. 독해(Part Ⅶ)는 지문의 길이가 늘어나며 문항 수도 40문항에서 48문항으로 늘어난다. Part Ⅶ은 출제형태도 이원화돼 2개의 서로 연관된 지문을 읽고 두 지문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을 묻는 문제들이 새로 포함돼 20문항이 출제된다. 새 유형의 Part Ⅶ은 2개의 지문을 묶은 4개의 제시문이 출제되며 하나의 제시문을 읽고 5문항을 풀도록 출제된다. 기존 시험처럼 1개의 지문을 읽고 2∼4개의 문항에 답하는 형태의 문제는 7∼10개의 지문과 함께 28문항이 출제된다. ◇새 토익도 점수의 의미는 같아=TOEIC의 유형이 일부 바뀌기는 하지만 난이도에 대한 검증을 거친데다 현행 TOEIC처럼 난이도에 따라 결정되는 점수 환산표에 의해 성적이 결정되는 만큼 현행 토익 점수와 새 토익의 점수는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ETS는 설명했다. 새 토익에서도 현행 토익처럼 860점 이상이면 영어를 쓰지 않는 나라 출신이면서도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새 토익 샘플테스트와 관련된 문항과 음성파일은 토익 시험을 주관하는 국제교류진흥회 홈페이지(www.toeic.co.kr)를 통해 참고할 수 있다. 신창호 유병석기자 bsyoo@kmib.co.kr .................................................................................................................................... ![]() 1. ETS New TOEIC 시험 내용 정리 Part 1 사진문제 : 10문항. 기존 Part 1의 형식 유지 ☞ 다른 Part에 비해 비교적 쉽게 점수를 딸 수 있었던 Part였는데 문항 수가 줄어들어서 수험자에게 불리함. Part 2 질의응답 : 30문항. 기존의 형식 그대로 유지 Part 3 회화 문제 : 30문항. ① 기존 대화 방식인 A-B-A 에서의 대화보다 더 대화 내용이 길어지고, A-B-A가 아니라, A-B-A-B처럼 대화 수가 늘어난 것도 있음. ② 기존에는 1개의 대화에 1문제씩 출제하여 총 30개의 대화로 구성되었으나 이제는 10개의 대화에 각각 3문항씩 출제한다. ③ 기존에는 문제를 읽어주지 않았는데, 문제지에 있는 문제를 읽어줌. 보기 (A), (B), (C), (D)는 읽지 않음. 유형 1 A : ________________________ B : ________________________ A : ________________________ 유형 2 A : ________________________ B : ________________________ A : ________________________ B : ________________________ ☞ 대화의 내용이 길어진 만큼 듣고 기억해야 하는 양이 많아졌다. Part 4 설명문 문제 : 30문항. ① 기존 20문항에서 10문항이 늘어나 30문항이 되었다. ② 총 10개의 지문에 각각 3문항씩 출제한다. ③ 지문의 내용은 길지만 속도는 비교적 느림. ④ 시험지에 나와 있는 질문을 읽어줌. Part 3와 마찬가지로 보기는 읽지 않음. L/C 총평: 듣기 문제에서는 쉬운 사진 묘사문제가 줄어들었고, 대신 대화와 지문을 듣고 푸는 문제에서 대화가 길어지고 문항 수가 늘어 난 것이 특징. ![]() Part 5 : 40문항 출제. 빈칸에 적절한 어휘나 표현을 넣는 문제 형식. 기존의 Part 5 문법/어휘 문제와 같은 형식이지만 샘플에 나와 있는 문제처럼 비교적 까다로운 문법 문제와 어휘의 용례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가 많아짐. Part 6 : 12문항 출제. 새로운 유형으로서 기존의 Part 6형태인 Error Recognition (밑줄 친 표현 중 틀린 것 고르기)형 문제가 없어지고 편지, 메일, 팩스 등의 긴 지문에 있는 빈칸에 알맞은 어휘 넣기 문제. 단순히 알맞은 어휘를 고르는 문제 뿐만아니라 전체 지문의 맥락을 파악해야 고를 수 있는 문제도 있음. 1개의 지문에 4문항씩 출제함. Part 7 : 48문항 출제. ① 기존의 Part 7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 문제가 28문항이고 새로운 유형, 2개의 지문을 보고 푸는 문제가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음. ② 한 페이지에는 지문 나머지 한 페이지에는 선택지로 출제. ③ 선택지는 한 지문당 최소 3문제에서 4문제까지 출제 ④ 복합형 지문(두개의 연관된 지문을 비교하여 문제 풀이)은 평균 5문항이 출제되고 있음 예를 들어 지문이 2개가 연관을 짓고 나오는데 광고지문이 나오고 그 광고지문과 연관성이 있는 편지글이 나온다거나 서로 주고받는 두개의 편지글이 나와서 두개의 편지글의 내용을 비교해서 답을 고르는 질문으로 출제함. R/C총평: 문법부분의 문항 수가 줄어들었지만 문법문제가 난이도가 올라갔으며, 대신 어휘와 독해가 많이 강화되었다. ![]() 2. 총평 "기존문제를 축소하고, 유지하고, 통합하고, 없애고, 늘린 보완 시험." Q-1. 어떻게 TOEIC 시험이 바뀌었나? L/C 문제에서는 쉬운 사진 묘사문제가 줄어들었고, 대신 대화를 듣고 푸는 문제에서 대화가 길어지고 문항 수가 늘어 난 것이 특징이고 R/C인 문법과 독해에서는 단순한 문법 상식을 묻는 부분이 줄고, 그 대신 어휘와 독해가 많이 강화되었다. Q-2. 왜 바뀌었나? 토익시험 목적은 Business English였으나 기출문제가 반복출제, 편법으로 고득점이 가능하게 되어 점수만큼 영어구사를 못하게 되어 신뢰를 잃어갔다. 난이도문제, 변별력 문제 등이 끊임없이 제기 되었으며, 토익 채택 기업도 줄어들게 되어 거듭나려는 자구책으로 ETS 는 시험형식을 바꾼 것 같다. Q-3 얼마나 바뀌었나? 많이 바뀌지 않았다. 기존과 별 차이 없다고 봐도 된다. 다만 긴 대화문이나 장문의 설명문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많이 요구하고 있고, 어휘의 용례를 알고 있는지, 그리고 독해 지문의 전체적인 이해를 요구하는 부분이 늘어났다. Q-4. 그렇다면 어떻게 바뀌었어야 했나? 말하기와 쓰기가 반드시 포함 되었어야 했다. Speaking 과 Writing이 빠진 영어시험으로는 제대로 영어능력을 시험하기 힘들다. 그 점이 아쉽다. Q-5. TOEIC 시험 대비책은 ? 긴 설명문과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긴 대화문과 지문을 듣고 큰소리로 따라하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하고, 어휘도 뜻을 암기하는 것 뿐만아니라 그 단어의 정확한 용례를 많이 익히는데, 집중해야한다. 또한 독해도 세부 사항 뿐만아니라 전체 글의 맥락과 논리를 파악하는데도 신경을 쓰면서 공부해야 한다. |
첫댓글 궁금한 건 여기에 물어 보세요. ^^
그다지 많이 바뀌진 않네요. ^^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