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연구진
“가족력 없고 첫 검사서 이상 없으면
15년마다 해도 큰 문제 없어”
대장암 일러스트레이션./게티이미지 뱅크
대장암 가족력이 없고 첫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문제가 없으면 다음 내시경 검사는 15년 뒤에 받아도 큰 문제가 없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독일 암 연구 센터 마흐디 팔라 박사가 이끄는 다국적 연구진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미국의학협회 종양학 학술지(JAMA Oncology)를 통해 공개했다.
대장암은 폐암·유방암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3대 암’이다.
현재 많은 나라에선 첫 대장내시경 때 별다른 이상이 없으면 ‘10년 뒤 재검사’를 권장하는 경우가 많고,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는 ‘50세 이후부터 5년마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권고한다.
팔라 박사 등 연구진은 스웨덴 국가 등록 데이터를 통해 첫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대장암 음성 결과가 나온 11만74명을 최대 29년까지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음성 판정 후 10년마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사람과 15년 뒤 검사를 받은 사람이 추후 대장암 진단을 받거나 대장암으로 사망할 위험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팔라 박사는 “대장내시경 주기를 10년에서 15년으로 늘릴 경우, 1000명당 2명이 조기 발견 사례를 놓치고 1000명당 1명이 사망 위험에 노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가족력이 없는 사람은 첫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별다른 이상이 없으면 15년 뒤 재검사를 받아도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했다.
하지만 개인별 식습관 등에 따라 검사 권고 주기는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빠르게 서구화된 식습관과 음주·비만 등으로 20~40대 대장암 발생률이 크게 높아졌다.
미 콜로라도대 연구팀이 2022년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20~49세 대장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12.9명으로 조사 대상 42국 중 1위였다.
이우용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장(대장항문외과)은 “미국·유럽은 대체로 병원 접근성이 떨어지고 대장내시경 비용이 비싸서 우리나라보다 받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며
“변비, 혈변, 빈혈, 가늘어진 변 등 여러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면 대장암을 의심해보고, 가족력이 있으면 40세부터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했다.
v.daum.net
최승규 한마디
위 내시경 몇번 받았으나...
대장 내시경 받은적 없읍니다.
왜?
위는 속쓰리고.소화에 문제 있고.
70대까지 2년마다 건강검진때 마다 받다가 2020년 이후 위 내시경도 받지 않읍니다
100% 발효효소 하루 5cc 정도 머금기를 지속적으로 하니 소화기가 철벽처럼 튼튼 가벼워져 30~40대 보다 더 좋으듯 합니다
누구나 100% 발효 만들어 사용한다면 최승규 처럼 되리라 확신 합니다
첫댓글 선천성 유전으로 대장암 발병 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따로 있습니다
그런 체질은 대장내시경 검사할 때
용종제거술을 2~3년 걸쳐 5회 이상 받아야 완치됩니다
참고로 카페 올린글을 통해 알게 된
협원선생님께서는 칠십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새벽 운동와 먹거리 선별하여 자연식 식단을 해오셨습니다
보통 사람들 생각으로 어설프게
대장암 검진을 놓치지 않기를 지적합니다
대장이상 전조 증상 중 하나를 살펴보면
대변에 출혈이 보입니다 ㆍ
대장 내시경은 3년에 한번 정도가 정상인 줄 압니다 게재글은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