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문화정치
9반 전명수
조선 제21대왕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가 낳은 아들 산은 1752년 혜빈 홍씨의 자식이다. 1759년 8세의 나이로 세손에 책봉되었고 1762년 아버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자 영조의 맏아들 효창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어 제왕수업을 하게 되었다. 1775년 영조가 나이82 세로 연로하여 대리청정을 하게 되었고 이듬해인 1776년 3월 영조가 죽자 25세의 나이로 등극하니 조선 제22대왕 정조이다. 왕위에 등극하기 이전의 정조는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항상 죽음의 위협에 시달리며 세손시절을 보내게 되었고 홍국양의 도움 가운데 가까스로 목숨을 지켜나갔으며 철저하게 내면을 숨기고 살아왔었다. 그래서 ‘개유와’라는 도서실을 마련하여 청의 건륭문화에 열중하면서 정치적인 발언은 일체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왕위에 등극하자 그의 태도는 달라졌다.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을 목격하였던 11살 이후 가슴앓이 하였던 복수를 하는 한편 파당을 배격하고 새로운 인물을 등용하여 친위세력을 형성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즉위하자 우선 규장각을 설치하여 문화정치를 표방하는 한편 그의 즉위 방해인물이었던 정후겸, 홍인한, 홍상간, 윤양로 등을 제거하고 세손시절부터 그를 경호하여 오던 홍국영을 동부승지에 등용하고 도승지에 승격시켰으며 왕궁을 호위하는 숙위소를 창설하고는 숙위대장을 겸직시켰다. 정조의 신임을 받은 홍국영은 실권을 장악하게 되자 모든 인사권을 총괄하였으니 백관과 팔도감사는 물론 수령들까지 그에게 머리를 숙였다. 그의 누이동생을 정조의 후궁이 되게 하여 정권을 한손에 쥐었고 모든 관리들은 그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게 되어 이른바 세도(勢道)라는 말이 생겨나게 되었다. 누이동생 원빈이 입궁한지 얼마 되지 않아 죽었고 정조는 권력이 홍국영에게 집중되는 것을 경계하여 스스로 물러날 것을 권고하였으나 듣지 않고 오히려 정권을 독점하고자 왕비 효의왕후를 독살 계획을 하다가 발각되어 집권4년 만에 가산을 몰수당하고 전리로 방출되었다. 정조는 홍국영이 4년간 세도정치를 하는 동안 규장각을 확대하고 우수한 젊은 인재를 끌어 모았다. 즉 신하들의 눈이 홍국영에게 집중시키게 하고는 정조 자신은 앞으로 펼칠 문화정치를 위하여 치밀하게 준비를 하였던 것이다. 규장각을 통하여 인재를 모아 외척과 환관들의 역모와 횡포를 억제하고 혁신정치를 펴고자 하였다. 규장각의 규모가 급속도로 확대되어 새로운 활자 개발, 편서, 간서를 출판케 하였으며 검사관의 배치와 박재가 등의 서얼출신 학자를 배치하였다. 사회 분위기를 집안과 당파 위주가 아닌 능력과 학식중심으로 이끌고 나가게 되었다. 그리고 당하관의 소장관원 중 우수한 인재를 대상으로 매월 시험을 실시하여 상벌을 내렸으며 1780년에는 친정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느끼고 홍국영을 방출시킨 후 본격적인 규장각 확대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다. 1781년에는 강화사고 별고를 신축하여 외규장각으로 삼았으며 내규장각의 부설 장서각으로 조선본 보관소인 서고(西庫)와 중국본을 보관하는 열고관을 세워 내외도서를 정리하여 보관하였다. 이 때 규장각의 2대 명분으로 학문중심의 정치라는 뜻인 ‘우문지치(右文之治)’와 만들어 내는 것을 통하여 발전을 꾀하게 하는 ‘작성지화(作成之化)’를 앞세워 문화정치와 인재를 양성한 것이다. 정조의 규장각중심 정치는 영조의 탕평책을 이어받았는데 사색당파의 당쟁에서 시파와 벽파의 갈등이 새롭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는 외척중심의 노론은 당론을 고수하며 시류를 무시한다는 벽파(辟派)와 시류에 영합하고 정조의 정치노선에 찬성하며 형성하였던 소론과 일부의 노론들의 시파(時派)가 그것이다.
정조가 등용하였던 대표적인 인물은 남인계열의 채제공, 실학자 정약용, 이가환, 북학파 박재가, 유득공, 이덕무 등이다. 이처럼 남인의 실학파와 노론의 북학파 등 모든 학파의 정점을 수용하여 정권을 이끌어가고자 하였으니 이것은 시파(時派) 중심의 정권운영인 것이다. 1791년에는 천주교의 수용여부 논란 끝에 수용불가로 결정되자 신해박해가 일어나게 되었고 1975년 중국인 신부 주문모의 밀입국 사건으로 벽파가 기세를 떨치게 되었다. 실학자 정약용이 외직으로 나가고 채제공의 입지도 약해졌으며 1799년 채제공이 죽자 남인세력은 완전히 위축되었고 1800년 정조가 죽자 남인세력은 거의 축출되어 버렸다.
이렇게 하여 24년간 정조의 문화정치는 막을 내리게 되었는데 수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다. 규장각 중심으로 임진자, 정유자, 한구자, 생생자, 정리자, 춘추관자 등 새로운 활자를 만들었으며 문물정비작업도 완료되었다. 이때 편찬된 책들은 속오례의, 증보동국문헌비고, 국조보감, 대전통보, 문원보불, 동문휘고, 규정전운, 오륜행실 등이다. 그리고 그의 문화정치는 중인이하 평민들도 한문학의 사단에 참여하여 ‘오계시사’라는 독자적인 시사를 결성하고 공동시집인 ‘풍요속선’을 발간하게 하는 등 문화적 발전을 도모하였다. 정조 시대는 양반, 중인, 서얼, 평민층 모두가 문화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킨 문예 부흥기였던 것이다. 이것은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 사상이 사라지고 민족주의가 고개를 들어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하여 나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자긍심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문예부흥의 선봉에 서 있었던 정조는 1800년 유월, 49세의 일기로 재위 24년3개월 만에 지병인 종기의 악화로 일생을 마감하였다. 그는 효의왕후를 비롯한 5명의 부인과 2남 2녀의 자녀를 두었다. 그의 능은 건릉으로 경기도 수원시에 있다.
첫댓글 정조 하면 드라마 [이산]이 생각납니다 재미있게 본것 같읍니다 정조임금도 아픔이 많았던 분으로 그아품을 문예부흥쪽으로 승화 시킨겄 같아 존경스럽네요 송하님 감사합니다
정조가 등그하던 날 일성이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라고 포효하였던 바 한 차례 피바람이 불기도 하였지요.
문예부흥의 업적을 남겨 좋은 인상을 주는 임금입니다.
수원화성을 둘러보면서 정조가 자기 아버지 사도세자를 생각하는 마음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당파 싸움에 희생된 자기 아버지의 릉을 우리나라에서 최고 좋은 명당인 수원으로 옮기는 효를 볼 수가 있었습니다. 정조의 24년 문화 정치를 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송하님, 좋은 역사적 사실을 올려 주셔서 잘 보고 갑니다. 행복하세요.
정조 임금 만큼만 정치를 하였더라면 조선도 엄청 부강했을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항상 행복하게 지내십시오()()
정조가 등극하여 수만은 문화 업적을 남긴 사래가 돗보이며 오게사라는 독자적인 공동 시집 풍요
속선을 발간하여 양반 중인 평민층 모두가 문화에 관심을 집중 시킨 큰 사레가 대엇군요 풍부한
역사 시술 공부잘하고 나갑니다 늘 건강하십시요
정조 임금은 문화발전을 위하여 애쓴 모습이 많아 보입니다.
읽어 주시어 고맙습니다. 건강하게 지내십시오.
역사을 새로배웁니다. 정조와 정약용 그리고 많은 사건들 역사는 돌고 도는 가봅니다. 잘 일고 나갑니다. 환절기에 감기 조심하세요
찾아주시어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게 지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