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cafe.naver.com/godnjf12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Å日月眞人 明 선생님Ω
♧마지막 구세주(救世主) 황발(黃髮: 明 선생님)♧
【인천(仁川) 중앙동(中央洞) 자유공원 작은 정자 옆에 있는 큰 정자(大亭:석정루石汀樓) 黃宮】
【鄭道令(明 선생님)은 1946년 병술년(丙戌年)(음력 12월 대한민국 수도 서울 용산(龍山)에서)
해월(海月) 황 여일(黃 汝一) 선생 후손(後孫)으로 재림(再臨)하셨다】
Ω 李土亭秘訣 (이토정비결)
休(京死) 江原道(生東) 全羅道(傷死) 黃海道(杜亡) 慶尙道(京吉) 平安道(死亡) 咸鏡道(驚死) 忠淸道(開吉)
휴(경사) 강원도(생동) 전라도(상사) 황해도(두망) 경상도(경길) 평안도(사망) 함경도(경사) 충청도(개길)
箕尾(一), 心房(二), 底亢角(三), 壁室(四), 危虛(五), 女牛斗(六), 參觜(七), 畢昻(八), 胃婁奎(九), 軫翼(十), 張星(十一), 柳鬼井(十二)
기미(1), 심방(2), 저항각(3), 벽실(4), 위허(5), 여우두(6), 참자(7), 필앙(8), 위루규(9), 진익(10), 장성(11), 유귀정(12)
二十八宿是也(이십팔숙시야)
壬戌 [水狗, 京心] 醇俗一變 悖類群起
임술 [수구, 경심] 순속일변 패류군기
傷 <畢> 非兵非飢 積尸載路 休 <胃> 山中古家 天命寓屬 休 <斗> 三政思革 四民俱困
상 필 비병비기 적시재로 휴 위 산중고가 천명우속 휴 두 삼정사혁 사민구곤
癸亥 [黑猪, 驚角] 古月云亡 害及魚羊
계해 [흑저, 경각] 고월운망 해급어양
景 <壁> 赤壁江山 臥龍初起 休 <婁> 日暮風急 猶爭要津 休 <井> 野兎登城 山鼠入宮
경 벽 적벽강산 와룡초기 휴 루 일모풍급 유쟁요진 휴 정 야토등성 산서입궁
甲子 [靑鼠, 休角] 陰風揚沙 衰李亂花
갑자 [청서, 휴각] 음풍양사 쇄이난화
休 <婁> 舊染何如 滿城魚肉 休 <奎> 狐鳴古祠 愚弄一世 傷 <翼> 陰霧一變 遷入騈首
휴 루 구염가여 만성어육 휴 규 호명고사 우롱일세 상 익 음무일변 천입변수
乙丑 [木牛, 休底] 重恢舊業 中外騷擾
을축 〔목우, 휴저〕 중회구업 중외소요
驚 <畢> 西人熾學 害及池魚 景 <參> 三夜狂風 萬舶東飛 驚 <軫> 鐵嶺以北 胡馬嘶風
경 필 서인치학 해급지어 경 참 삼야광풍 만박동비 경 진 철령이북 호마시풍
丙寅 [朱虎, 休箕] 明年杜飯 有誰同喫
병인 [주호, 휴기] 명년두반 유수동끽
開 <昻> 雖有小驚 村里安知 傷 <柳> 島夷搆釁 綠林群聚 休 <井> 弓矢斯張 武夫登社
개 앙 유수소경 촌리안지 상 유 도이구흔 녹림군취 휴 정 궁시사장 무부등사
丁卯 [大兎, 死角] 紅旗影動 腥塵乍起
정묘 [대토, 사각] 홍기영동 성진사기
開 <奎> 家家松燈 融融和氣 休 <軫> 干戈○陽 人心難戠 休 <星> 襁褓人君 片舟蒼茫
개 규 가가송등 융융화기 휴 진 간과유양 인심난시 휴 성 강보인군 편주창황
戊辰 [黃龍, 死心] 檀箕故都 胡馬踏尸
무진〔황룡 사심〕 단기고도 호마답시
景 <室> 樵淚感舊 芽屋祭昭 開 <斗> 興義之人 自南扶顚 生 <畢> 海島長尾 庫揆脫殼
경 실 초루감구 아옥제소 개 두 흥의지인 자남부전 생 필 해도장미 고규탈각
己巳 [土蛇, 景房] 世世將家 復立楚懷
기사 [토사, 경방] 세세장가 복립초회
杜 <危> 島夷假勢 野氓何罪 開 <斗> 天命奎化 義旗先倡 開 <危> 春睡初覺 達人長嘯
두 위 도이가세 야맹하죄 개 두 천명규화 의기선창 개 위 춘수초각 달인장소
庚午 [白馬, 休房] 衰年短祚 仍藿扶持
경오 [백마, 휴방] 쇠년단조 잉곽부지
開 <角> 靑華洞天 吉人受祚 生 <危> 一夫狂呼 空谷震響 像 <星> 黑子孤城 白首人君
개 각 청화동천 길인수조 생 위 일부광호 공곡진향 상 성 흑자고성 백수인군
辛未 [金羊, 傷牛] 一遇龜玆 朝暮苟活
신미 [금양, 상우] 일우구자 조모구활
休 <觜> 誰過殷虛 爲唱聚油 景 <婁> 靈芝古洞 德星復聚 休 <鬼> 誰有忠貞 竟作冤魂
휴 자 수과은허 위창취유 경 루 영지고동 덕성복취 휴 귀 수유충정 경작원혼
壬申 [玄猿, 休尾] 歲星南渡 天命中絶
임신 [현원, 휴미] 세성남도 천명중절
京 <亢> 氛梫未靜 島夷合勢 傷 <女> 八域唱師 錦城疲弊 景 <翼> 正陽之月 民始下山
경 항 분침미정 도이합세 상 녀 팔역창사 금성피폐 경 익 정양지월 민시하산
癸酉 [一鷄, 開尾] 絃誦載路 桑痲翳野
계유 [일계, 개미] 현송재로 상마예야
開 <軫> 眞人臨御 文武感賓 開 <張> 南北歸爭 九島來貢 景 <柳> 忠臣義士 纏骨兵場
개 진 진인림어 문무감빈 개 장 남북귀쟁 구도래공 경 류 충신의사 전골병장
甲戌 [三狗, 生心] 三江沼流 人烟超起
갑술 [삼구, 생심] 삼강소류 인연초기
傷 <斗> 天命己定 又何覬覦 休 <參> 南北相爭 中外奔濆 休 <鬼> 諸葛己死 阿斗卽位
상 <두> 천명기정 우하기유 휴 <참> 남북상쟁 중와분분 휴 <귀> 제갈기사 아두즉위
乙亥 [靑猪, 傷兎] 更始括虎 范增疽背
을해 [청저, 상토] 갱시괄호 범증저배
開 <底> 天命人歸 土木經始 景 <危> 杜宇以南 始添兩露 景 <柳> 田橫乘傳 竇融遣使
개 저 천명인귀 토목경시 경 위 두우이남 시첨량로 경 류 전횡승전 두융견사
丙子 [靑鼠, 傷心] 瑯瑯渡江 晉宗不絶
병자 [청서, 상심] 낭랑도강 진종부절
傷 <虛> 羊祜守邊 殷民丕化 傷 <張> 子嬰係頸 越裳獻雉 開 <鬼> 白石名山 誰人種德
상 <허> 양호수변 은민비화 상 <장> 자영계경 월상헌치 개 <귀> 백석명산 수인종덕
一蛇兩頭月 釋氏帶佳容 十月寒氣早 或者國城中 二牛一角時 傘一無兩人 魚王出首尾 戌卒負水火
일사량두월 석씨대가용 십월한기조 혹자국성중 이우일각시 산일무량인 어왕출수미 술졸부수화
欲免期塗炭 石井非難知 亥馬上下路 吉運有轉 宜求石井崑 寺畓七斗落 正是石井崑 醇風不變 ***
욕면기도탄 석정비난지 해마상하로 길운유전 의구석정곤 사답칠두락 정시석정곤 순풍불변
種財可畏 東土雖佳 入峽雖良 勿貪財貨 莫務深邃 種德堪誇 不如南州 何如路傍 禍在目前 變出慮外
종재가외 동토수가 입협수량 물탐재화 막무심수 종덕심과 불여남주 하여로방 화재목전 변출려외
朴古之鄕 膏膄之士 嗟我子孫 村村瑞色 在在火災 吁其戎哉 智異德裕之 南谷谷 吉運 嗟我後生 鷄龍俗离之間 村村旺氣
박고지향 고수지사 차아자손 촌촌서색 재재화재 우기융재 지리덕유지 남곡곡 길운 차아후생 계룡속리지간 촌촌왕기
不離此間 十世辛酉 骨肉未保杞國 動有若亂 壬癸之間 鴻罹之綱 甲乙之間 奸臣弄權 虎陷之穽 丙寅 丁卯 三傅市虎一驚
불리차간십세신유 골육미보기국 동유약난 임계지간 홍리지강 갑을지간 간신롱권 호함지정 병인 정묘 삼부시호일경
戊辰 己巳之間慧星 經南旱災傷人 雨順風調 之致卒當凶荒 流離塡壑十居一 二庚午辛末之間 慧經天自已抵亥 越若壬寅之間
무진 기사지간혜성 경남한재상인 우순풍조 지치졸당흉황 유리전학십거일 이경오신말지간 혜경천자이저해 월약임인지간
西禍南 自朝及野人才 沽渴鼠竊狗偸 不足爲憂而 風飛星散 莫知措防幸賴 一將之力 可以制焉 然而禍根 莫去災患 可虞
서화남 자조급야인재 고갈서절구투 부족위우이 풍비성산 막지조방행뢰 일장지력 가이제언 연이화근 막거재환 가우
甲戌 乙亥之間 旱災特甚 人生到此 死者過半 上無救恤之策 下無賑活之計 國事蒼荒 其勢如縷 丁戊之間 水旱交作 汎濫之間
갑술 을해지간 한재특심 인생도차 사자과반 상무구휼지책 하무진활지계 국사창황 기세여루 정무지간 수한교작 범람지간
患亦可應九年 平陽堯民尙在一 甁邇天獵 馬猶生 壬癸之間 旱災特甚 溝壑之患 尙亦可慮七年 華陽民不飽五月 岐陽宋
환역가응구년 평양요민상재일 병이천렵 마유생 임계지간 한재특심 구학지환 상역가려칠년 화양민불포오월 기양송
麥新芽若 夫至續之下 使至寃至窮得伸 仁恤之澤可占 民蘇之作 豈無均豊之期平 天災日生 陰鬼時聞 怪氣干人 陰毒中病死者
맥신아약 부지속지하 사지원지궁득신 인휼지택가점 민소지작 개무균풍지기평 천재일생 음귀시문 괴기간인 음독중병사자
相連 哭聲相接此 則末葉世運 之固然也 愛太乙始制于 已在末時 怪事錯亂詳見 太乙年譜 甲申以後 風雨以時 稼穡登豊
상연 곡성상접차 칙말엽세운 지고연야 애태을시제우 이재말시 괴사착란상견 태을년보 갑신이후 풍우이시 가색등풍
靑猿入宮以 白爲變 當此之時 賴得一片 福州安靜處 以居彗又 南見若非 積善知道之士焉 能知避乎 庚寅之間 金甌墜玉 玉牒生塵
청원입궁이 백위변 당차지시 뢰득일편 복주안정처 이거혜우 남견약비 적선지도지사언 능지피호 경인지간 금구추옥 옥첩생진
辛卯之間 將軍御世 君子在位 小人遠逐 檀君之化 箕子治到 此可見期會 怳惚唐唐 紅腐貫朽之 富彷彿文景
신묘지간 장군어세 군자재위 소인원축 단군지화 기자치도 차가견기회 황홀당당 홍부관후지 부방불문경
甲午汾水 秋風牛山 落照自此 以後 時事多亂 無年無兵 無歲無病 人民常無 臥席之寢而 兵火歲蒼生 多有傷明之 歡貧窮富
갑오분수 추풍우산 낙조자차 이후 시사다난 무년무병 무세무병 인민상무 와석지침이 병화세창생 다유상명지 환빈궁부
樵不以生焉 貴逐以死 爲榮有智君子 何不於 寅卯之間 入于卯辰之山也
초불이생언 귀축이사 위영유지군자 하불어 인묘지간 입우묘진지산야
勿憚黃冠入于 此等名山 可以種子孫 可以係宗嗣 此則太乙 旋紀之運 入後逆生之 末而得官 四金都免於 孕大運之故也. ***
물탄황관입우 차등명산 가이종자손 가이계종사 차칙태을 선기지운 입후역생지 말이득관 사금도면어 잉대운지고야
詳見太乙 年譜十八世 乙未之間 宮中之事 外人莫知 宦官主焉 孀妃與焉 三更燭下 玉璽來往 五月川邊 金魚出沒 兩西驛運
상견태을 년보십팔세 을미지간 궁중지사 외인막지 환관주언 상비여언 삼경촉하 옥새래왕 오월천변 금어출몰 양서역운
二南火起 敦能制焉 自此以後 兵火不息 此其大亂之年 女上加一 地邊去土也 ***
이남화기 돈능제언 자차이후 병화불식 차기대난지년 여상가일 지변거토야
十九世 丁酉之間 妖姬垂簾 奸黨擅權 宮中萬機 外人莫知 戊戌之間 寶座三動 大駕一遷 朝野人情 莫不疑懼 當此之時
십구세 정유지간 요희수렴 간당천권 궁중만기 외인막지 무술지간 보좌삼동 대가일천 조야인정 막불의구 당차지시
明哲保身之計 莫如弓弓之間也 ***
명철보신지계 막여궁궁지간야
先動者還 中動者生 末動者不及 何謂先動 壬申前 庚午 辛未也 何謂中動指 庚寅前三後三也
선동자환 중동자생 말동자불급 하위선동 임신전 경오 신미야 하위중동지 경인전삼후삼야
黃衫道七 所謂 奇語人間知道士 須從白免 走靑林 又 黃牛東奔 白虎 在南其以是故也 ―【※】
황삼도칠 소위 기어인간지도사 수종백토 주청림 우 황우동분 백호 재남기이시고야
何謂末動 指甲午 乙未謂也 當此始禍之時 法令交嚴禁人 入山自多 滅族之患 卽黃杉道士 所謂 過黑龍人 何去更逢
하위말동 지갑오 을미위야 당차시화지시 법령교엄금인 입산자다 멸족지환 즉황삼도사 소위 과흑룡인 하거갱봉
它尾必殘亡 以其時也 而雖欲往矣 無可奈何 指此之謂也 有知君子 身不離扶桑之境 足不蹈 咸池之方 又不離 之下又不蹈光羅之地
타미필잔망 이기시야 이수욕왕의 무가내하 지차지위야 유지군자 신불리부상지경 족불도 함지지방 우불리 지하우부도광라지지
可以傅子孫 餘見太乙年 譜己亥之間 西北並爭 忠臣烈士 纏骨於兵場 玉妃貴戚泣 咽秋城 鳴呼獻公子之 九人重耳
가이부자손 여견태을년 보기해지간 서북병쟁 충신렬사 전골어병장 옥비귀척읍 인추성 명호헌공자지 구인중이
惟在漢家之玉妃貴戚泣 咽秋城 鳴呼獻公子之 九人重耳 惟在漢家之 危十世 光武尙存 兄亡弟及 此其時也
유재한가지옥비귀척읍 인추성 명호헌공자지 구인중이 유재한가지 위십세 광무상존 형망제급 차기시야
二十世庚戌間 王孫立極 勇將旋馬
이십세경술간 왕손입극 용장선마
古月亡於 魚羊海島 長尾庫雉脫 殼降于奠乃黃背之 赤兜白馬 鞍之 靑衣詳見 太乙年譜 然此其 所謂 由坤而七百里 百官難免
고월망어 어양해도 장미고치탈 각강우전내황배지 적두백마 안지 청의상견 태을년보 연차기 소위 유곤이칠백리 백관난면
餓死之患 由艮三百五十里 石妃被辱堪痛者 當然此時也
아사지환 유간삼백오십리 석비피욕감통자 당연차시야
若壬癸之間 南起靑頭 西起白眉 仁富之間 夜泊千艘 完未之間 日行百馬 八域偏邦 錦城瘦瘉此 所謂 蜀漢之益州也
약임계지간 남기청두 서기백미 인부지간 야박천소 완미지간 일행백마 팔역편방 금성수유차 소위 촉한지익주야
一方之 三國共食 人相食盜數起 有智君子 愼之愼之 避人生城之方 辰卯之山 不然難免 召穆之災 今丈之患矣 至若甲乙之間
일방지 삼국공식 인상식도수기 유지군자 신지신지 피인생성지방 진묘지산 불연난면 소목지재 금장지환의 지약갑을지간
母岳山 頭金佛能言 天冠山 邊琴人奉玉一雷 渡海三軍 墮淚 黑子孤城 白首君王鳴呼 魏武之時 昭烈寓蜀漢 社不絶劉 聰之時
모악산 두금불능언 천관산 변금인봉옥일뢰 도해삼군 타루 흑자고성 백수군왕명호 위무지시 소열우촉한 사부절류 총지시
瑯臨江 晋宗猶存此則 其入島之時也
랑임강 진종유존차칙 기입도지시야
自此十年之後 牛馬繁殖 戶口增益 爲耽羅國 千里水路 兵革不則然而 越王句踐終 有十年之恥 齊襄不復 九世之讐
자차십년지후 우마번식 호구증익 위탐라국 천리수로 병혁불칙연이 월왕구천종 유십년지치 제양불복 구세지수
可勝痛哉至 若乙卯之間 社稷燦復明 文武官員 燦然起僅過 數十年而 海上綠林 遇雷霆而 自焚鳴呼 惜哉 己亥自太祖 ―【※】
가승통재지 약을묘지간 사직찬복명 문무관원 찬연기근과 수십년이 해상록림 우뢰정이 자분명호 석재 기해자태조
壬申至 辰巳之末 而享國 四百五十四年 蓋起太乙璇璣之末 而得氛數三千一百四千二萬三千八百 六千當以 四七四五爲 ***
임신지 진사지말 이향국 사백오십사년 개기태을선기지말 이득분수삼천일백사천이만삼천팔백 육천당이 사칠사오위
本係之宜襄 行年乙巳孕 水運之故也.
본계지의양 행년을사잉 수운지고야.
【만사이황발(萬事已黃髮) 잔생수백구(殘生隨白鷗)】
해월종택(海月軒): 봉황이 알을 품는 형국으로 풍수학상 강릉 이남 최고의 명당(明堂)
경북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433 (해월헌길70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