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국치비가(國恥悲歌) _ 이정환의 시조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병자호란의 국치를 비분강개(悲憤慷慨)한 심정으로 읊으면서 충의(忠義)를 노래한 총 10수의 연시조이다.
병자호란으로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이 볼모로 잡혀 가고 여러 대신들도 함께 잡혀갔다. 이에 대한 비분강개(悲憤慷慨)의 심정과 왕세자를 비롯해 잡혀간 사람들의 안위를 걱정하는 한편, 잡혀간 왕세자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담은 내용의 노래이다.
◆핵심 정리
갈래 : 평시조, 연시조(전 10수)
성격 : 우국적
주제 : 국치(國恥)에 대한 비분강개(悲憤慷慨)와 왕세자에 대한 그리움.
특장 : 인간(지식인)과 자연(풀)의 대조
① 전 10수의 연시조로 병자호란을 겪은 후의 비분강한 심정을 노래함.
② 도치법을 사용하여 독자의 관심을 유도함.
③ 자연과 인간을 대비하여 비통한 심정을 부각함.
출전 : <송암유고>
(나) 이희승 <딸깍발이>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남산골 샌님의 별명인 ‘딸깍발이’를 예로 들어, 우리 고유의 선비 정신과 현대인이 배워야 할 딸깍발이 정신을 계승하자는 내용의 수필로, 한문투의 강건하고 논리적인 문체와 다양한 역사적 사례나 일화를 통해 딸각발이의 내면에 담긴 의기와 강직, 청렴의 미덕을 부각시키고 있다.
딸깍발이는 실생활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청렴 결백한 지조, 자존심과 꼬장꼬장함을 생활 신조로 삼았던 전형적인 선비들로,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유지해 온 인물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딸깍발이가 지니는 가치와 의의는, 앞을 멀리 내다보지 못한 채 눈앞의 이익에만 집착하는 현대인의 이기적인 모습과의 대조 속에서 더욱 부각된다. 그러면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떠한 삶의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인지에 대한 깨달음을 주고 있다 ‘
그러나 작가가 딸깍발이에 대해 우호적 태도만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딸깍발이의 궁상스런 모습과 인간상을 독특하면서 해학적으로 그리기도 하고, 그들의 태도 중에서 부분적으로 비판적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
◆핵심 정리
갈래 : 중수필
성격 : 교훈적, 비판적, 해학적, 설득적
제재 : 딸깍발이
주제 : 딸깍발이의 의기와 강직과 청렴한 미덕 계승의 필요성
출전 : <벙어리 냉가슴> 1956
특징
① 한문투의 표현 ② 해학적인 표현 ③ 적절한 예시의 구사
◆ 작품 연구실 : 딸깍발이와 현대인의 대조적 속성
① 딸깍발이 : 겉모습(초라하고 궁상맞음, 생활력이 없음) 속성 (의기, 강직, 청렴 결백)
② 현 대 인 : 겉모습(약고 현명함) 속성 : 근시안적, 극단적 이기지주으
그러나 작가는 딸깍발이에 대해 우호적 태도만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딸깍발이의 궁상스러운 모습과 인간상을 독특하면서도 해학적으로 그리기도 하고, 그들의 태도 중에서 부분적으로 비판적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