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서비스-LG유플러스의 LTE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출시 의미와 영향 - 동양증권
LG 유플러스 LTE 무제한 요금제 출시
- LTE 데이터 무한 자유 95(95,000원)/110(11만원)/130(13만원) 요금제 출시. 각각 월 14GB/20GB/24GB를 제공하고, 이를 초과하더라도 매일 3GB 이내에서 속도 제한 없이 LTE 서비스 이용 가능
- LTE 데이터 안심 55(55,000원)/65(65,000원)/75(75,000원) 요금제 출시. 각각 월 2.5GB/6GB10GB를 제공하고, 기본 용량 초과 시 400Kbps 속도로 데이터 무제한 이용 가능. 400Kbps 속도는 일부 고화질 동영상, 클라우드 게임 제외하고 이메일, 인터넷 서핑, 모바일 메신저, 게임 등의 서비스를 무리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함
- 현 시점에서 LG의 공격적 요금제 출시 전략은 영업정지 이후 경쟁사의 고객을 적극 유치하겠다는 계산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 마케팅비용 지출에 대한 정부의 감시 & 감독이 강화된 상황에서 대안으로 선택된 것
주목할 것은 데이터 안심 55요금제 출시
- 사실상 95,000원 이상의 LTE 무제한 요금제 출시는 그 의미가 크지 않음. 과거 3G(당시 55,000원 이상) 때와 달리 95,000원 이상에서 무제한 데이터 제공이라는 점에서 선택할 수 있는 고객의 비중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현재도 각 통신사업자 별로 9만원 대 이상의 ARPU를 기록하는 고객의 비중은 5% 이내로 추정되는 상황
- 하지만 새로 출시된 55 요금제의 경우 가입자 유치 경쟁을 촉발 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음. 기존 3G 무제한 고객을 적극 유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 3G 무제한 고객 입장에서는 같은 요금(예를 들면 55,000원)으로 일정 데이터 용량까지는 LTE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정해진 데이터 용량을 초과 이용하게 되면 이후 3G 속도로 무제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 무제한 데이터 서비스라는 장점 때문에 3G에 남아 있던 고객을 홖들 수 있는 전략으로 인식됨
- SK 텔레콤, KT, LG 유플러스의 3G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 수는 각각 600만명 (3Q 말), 379만명 (3Q 말),
84만명(4Q 말) 수준. LTE 가입자 비중이 30%를 넘어서면서 가입자 증가 속도가 다소 슬로우해질 수 있는 상황에서, 동 요금제(55,000원)는 3G → 4G 전환을 가속화 시킬 수 있는 지렛대가 될 것으로 판단됨
- SK텔레콤과 KT도 조만간 유사한 형태의 요금제 출시 전망
숫자에는 큰 영향 없을 것. 경쟁 심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려
- 사실상 95,000원 이상의 LTE 무제한 요금제 출시는 그 의미가 크지 않음. 과거 3G(당시 55,000원 이상) 때와 달리 95,000원 이상에서 무제한 데이터 제공이라는 점에서 선택할 수 있는 고객의 비중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현재도 각 통신사업자 별로 9만원 대 이상의 ARPU를 기록하는 고객의 비중은 5% 이내로 추정되는 상황
- 무제한 요금제 출시로 인해 CAPEX, ARPU 측면에서 당장 숫자 상 변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 다만 55 요금제로 인해 촉발될 수 있는 경쟁 과열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소 우려됨. 동 요금제에 대한 소비자 반응 수준에 따라 2013년 경쟁 수위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됨
- 공세적인 입장인 LG유플러스의 마이너스 임팩이 가장 적을 것으로 판단됨. LG에 대한 Top pick 의견 유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출시. 경쟁 심화 가능성에 대해 우려
- 데이터 안심 55 요금제 출시는 경쟁사의 3G 고객 유치 목적
- 숫자에는 큰 영향 없을 것. 경쟁 심화 가능성은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