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개발됨으로써 대학교 교수님들도 강의계획서를 짜는데 무척 많은 고민을 하는가 보다. 특히 수강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새로운 변화 앞에 놓여 있는 듯하다. 분명히 생성형 AI라는 기가 막힌 도구를 잘 활용하면 좋은 면도 있는 반면에 악용하는 사례도 분명히 있을 듯싶다.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풀어내기보다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손쉽게 해결하려는 유혹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 같다. 대학교 내에서도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다양한 방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 같다.
저자의 글을 통해 미래교육이 지향해야 교육의 방향과 학교급을 떠나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이 수업의 방향, 교육의 목적 설정을 새롭게 해야 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 개별 맞춤형 실현을 위한 생성형 AI 도구 활용, 평가 방법의 획기적 변화를 통해 그동안 물리적으로 시간적으로 제약되었던 걸림돌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니 교수 설계 차원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불가피하다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면 수업을 설계하면서 교사들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손쉽게 교수 학습 과정 안을 짤 수 있을 것 같다. 수업 설계의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계획도 효율적인 질문을 통해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교사의 수업 철학과 방향, 교육과정 전체의 틀 안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교육의 방향이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차시 차시 단위의 수업 계획에만 만족한다면 교사의 성장도 학생의 변화도 수업을 통해 기대할 수 없을 것 같다.
생성형 AI 시대에 어떻게 교수학습을 설계하고 평가해야 될지, 인공지능과 함께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 학생들이 어떤 역량을 수업을 통해 길러야 할지 교육과정 전체를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생성형 AI와 같은 도구가 아니라 사람이 우선이라는 점이다. 생성형 AI는 그동안 교육 현장에서 발견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훌륭한 보완재로 활용해야 한다.
세탁기, 건조기, 로봇 청소기를 통해 가사의 일들일 대폭 사람의 일에서 기계의 일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남는 시간을 좀 더 창의적인 일에 쏟을 수 있게 된 것처럼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교사는 좀 더 학생들에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과제를 채점한다든가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활동에 시간을 뺏기지 않게 되었다. 생성형 AI가 사람이 수동적으로 해야 할 일들을 대신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미래교육의 수업은 협업을 중시하는 수업, 토론과 토의를 기반으로 하는 수업 와 같이 실제 경험학습을 중심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학생들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할 수 있게 되었다. 질문하는 법을 배우고 팀 활동을 공유하며 활발한 상호작용을 수업 시간에 많은 부분 할애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평가 영역에서 특정 시기에만 할 수 있었던 것을 수시로 할 수 있게 된 점, 전통적인 평가 방법에서 관찰, 토론, 자기평가, 상호평가, 포트폴리오, 일기, 에세이, 구술시험 등과 같이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면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점, 수업 중에 평가를 하면서 좀 더 수행 정도와 이해력 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 점은 획기적인 변화 중에 한 가지이다.
학교 교육은 수업이 핵심이며 수업을 설계하면서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던 것들이 생성형 AI를 통해 해결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미래교육의 특징은 수업의 변화를 통해 나타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