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추위에도 끄떡없는 산행 복장 노하우
1 순면은 입지 않는다.
팬티, 양말, 내의 할 것 없이 순면은 땀에 젖으면 잘 마르지 않는다.
체온을 급격히 떨어뜨려 보온옷을 무용지물로 만든다.
아무리 순면을 즐겨 입더라도 산행할 때는 땀이 빨리 마르는 합성섬유를 입는 것이 좀 더 안전한 선택이다.
2 겹쳐 입는다.
피부에 직접 닿는 옷은 땀이 잘 마르는 소재로 입고,
다음엔 가볍고 통풍이 잘되는 따뜻한 보온 옷을 입고,
바깥쪽에는 바람을 막아주는 하드쉘 소재의 방수,방풍 재킷 옷을 입는다.
3원칙을 지키되, 바람이 안 부는 날에는 방풍 재킷을 생략해도 좋다.
바람이 불지만 춥지 않거나 땀이 나서 덥다면, 중간 보온옷을 생략한다.
3 피부를 노출하지 않는다.
손은 장갑으로, 얼굴은 바라클라바로, 머리와 목은 넥게이터, 버프, 모자, 비니 등을 활용한다.
눈도 스포츠 선글라스로 바람과 햇살을 막아준다.
4 바지 선택
보통 상체는 보온을 잘 하지만, 바지는 취약한 경우가 많다.
하체는 상체에 비해 추위에 강해 덜 두껍게 입지만, 칼바람 앞에는 장사 없다.
눈이 깊은 산을 러셀해서 가야 한다면
바지가 젖지 않도록 방수바지인 오버트라우저를 덧바지로 입어야 한다.
러셀이 되어 있는 적설량 30cm 이하의 산이라면
바람을 막아주는 소재인 윈드스토퍼류 소재를 사용한 바지를 입어야 한다.
두꺼운 기모바지도 바람이 숭숭 들어온다면 겨울산에서 무용지물이다.
5 장갑과 등산화
손 발 보온은 체온과 직결된다.
눈 많은 겨울산에서는 방수와 보온이 가능한 장갑과 등산화를 준비해야 한다.
발목을 잡아주는 미들컷 이상의 방수 소재를 사용한 등산화를 반드시 준비한다.
장갑은 두 개 이상 준비해 놓으면 쾌적하다.
외피용 장갑은 방수 소재를 사용한 것으로,
내피용 장갑은 약간의 보온성과 조작성 좋은 손가락장갑을 끼는 것이 좋다.
6 비싼 것만이 정답은 아니다
비싼 옷이라면 그만큼 성능이 뛰어나겠지만, 저렴한 옷으로도 쾌적한 겨울 산행이 가능하다.
땀이 빨리 마르는 속건성, 보온성, 방수방풍성을 지닌
각각의 특성에 맞는 옷만 몇 가지 준비해도 충분하다.
7 잘 벗는 것 중요해
옷을 4~5겹씩 입고 땀을 흥건히 흘리며 걷는 것도 스스로를 위험에 몰아넣는 행위다.
더울 땐 적당히 잘 벗어 쾌적함을 유지해야 한다.
지나치게 두껍고 육중한 옷보다는 얇은 옷 여러 벌을 겹쳐 입고
미세한 온도 조절이 가능토록 입었다 벗었다 해야
영하 20℃ 이하에서도 최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 월간산 기사
'레이어링 시스템' 이 뭐지?
하이킹(등산)을 하면 어쩔 수없이 땀이 날 수밖에 없다.
몸에 열과 땀이 나면 입고 있던 옷이 열과 땀으로 인 해 젖어들어 체온이 내려가기 시작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체온이 내려가면 저체온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옷을 입고 벗는 것은 안전사고와 연결되므로 체온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이렇듯 땀이 나기전에 옷을 벗고 한기를 느끼기 전에 적절히 옷을 입어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을 "레이어링 시스템"이라고한다.
등산복장
등산복은 보통 속옷(이너웨어), 보온옷, 겉옷 3가지로 나누어진다.
*속옷 또는 이너웨어
보통 등산복 제일 안쪽에 입는 옷으로
신체에서 발생한 땀을 신속히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기본적인 보온을 담당하는데
면소재는 땀을 흡수하여 젖은 상태로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안 입는 것이 좋고
땀이 빨리 마르는 소재로 돼있는 속옷을 입는 것이 좋다.
(예: 드라이 핏, 드라이 셀... 등등 땀을 빨리 말려 주는 특수소재)
*보온 옷은 공기층의 단열 효과로 체온을 외부로 뺏기지 않게 하는 기능과
속옷이 배출한 땀의 수증기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능까지 가지고 있어야 한다.
*겉옷은 외부의 악조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데 비, 바람, 눈, 한기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옷들의 기능만으로 체온이 조절되면 좋지만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적절한 시기에 옷을 벗고 입음으로써 몸을 보호해야 한다
우선 걷기 시작하면 약간 춥다고 느낄 정도로 옷을 입는다.
그러다 몸에 열이 발생되고 체온이 오려면 걷기 가 수월해질 것이다.
잠깐 쉬는 동안 멈추면 땀이 식기 시작하는데
이때에 맞춰 겉옷을 입어 몸의 체온이 떨어지지 않게 보호해 준다.
만약 처음부터 겉옷까지 입고 산행을 시작한다면 신체가 이미 적응을 한 상태가 되어
악조건이 닥쳤을 때 더 이상 신체를 보호할 옷이 없게 되므로
올바른 레이어링은 나의 몸을 지키는 하나의 안전한 방법이 될 것이다.
모자
서양의 속담 가운데 손과 발이 시리면 모자를 써라 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신체 중에서 체온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곳이 머리이며,
상황에 따라 30~50% 까지 체온 조절 기능을 하게 된다는 것을
오랫동안의 경험에서 알게 된 지혜이기 때문이다.
차양이 있는 모자는 강한 햇빛을 가려 머리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며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요즘은 목 뒤로 반다나 같은 천이 내려오는 제품도 있다.
보온을 위한 모자는 차량이 없는 것이 좋으며 얼굴과 목 전체를 뒤집어쓸 수 있는 바라클라바도 좋다.
노련한 산악인들은 바라클라바를 사계절 휴대하고 다닌다고 하니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준비해도 좋을 듯하다.
장갑과 양말
"손과 발은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비교적 온도에 둔감한 편"이다.
역설적으로 중요하다면 온도에 민감해야겠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은 보온에 중요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신체는 상황이 악화되어 스스로 체온 유지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가장 중요한 신체를 보호하고 심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손과 발의 혈액을 차단하게 된다.
극한 상황에서 동상이 걸리는 이유는 혈액 공급이 잘 안돼서 조직이 괴사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겨울철 산행은 손목을 압박하는 소매의 옷이나 발목과 종아리가 꽉 조이는 양말,
목이 긴 스타킹등은 오히려 혈액순환이 방해되어 더욱 발이 시리고 동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손발이 시리기 전에 장갑과 따뜻한 양말로 미리 손과 발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첫댓글 이번 기회에 10년 이상 입고 신었던 산행 용품을 내다 버리고 적절한 것으로 구입해야겠어요.
어제 시내 가까운 곳에서 맞은 눈, 비여서 그나마 다행이지 설악산 깊은 곳이었다면 낭패를 당할뻔했어요.
이후 용품 구입전 걷자님께 도움을 요청할게요.
강산도 10년이면 변하는데....
우리 칭런 샘은 그동안 산행 용품들이 전혀 변하지 않고 마르고 닳도록 사용하셨지요...
(애국가에 나오겠습니다...ㅋ)
아~ 스틱은 바뀌었구나...ㅎ
해지고 낡아도 더 입을 수는 있겠지만 이젠 그 기능을 다 해
계절의 변화와 기온으로 인 해 대략 난감 할 때가 많을 터이니....
앞으로 10년을 위하여 이 참에 바꾸신다니 ...참으로 잘 한 결정 인 줄 아뢰오
말씀만 하십시요
샘이 원하시는 것 성심성의(誠心誠意) 껏 도와 드리겠습니다.
딱 적절한 시기에
딱 맞는 글을 올려주셨네요~^^
어제 눈길 산행을 했던 바우님들은 더 귀에 쏙쏙 들어 오셨을 것 같습니다 ㅎ
늘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걷자님^^
하이킹 중...날씨나 기온의 변화가 오면
그 변화에 대비치 못 한 복장과 준비로 인 해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하나 둘 눈에 들어 옵니다
이번 수목원 가는 길에서도 그랬습니다.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안타까울 때가 많았습니다
그동안 산을 다니면서 대비 하지 못 한 이유로 난감한 상황들을 아주 많이 겪어 보니...
특히,겨울 하이킹 중에는 어려움이 많이 발생하는 지라...
조금이 나마 도움이 될까 싶어 자료들을 정리해 올려 봅니다.
산행중에 츕다고 느끼신다면
1,모자를쓴다(머리를통해 30% 열이 방출)
2,장갑을 착용한다
●젖은옷은 무조건 갈아입는다(속옷과양말)
옳으신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