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묘호 |
신라본기 재위 (先王과의 관계) |
신라사초 재위 (先王과의 관계) |
생몰년 |
5. 파사이사금 |
A.D.80 ~ A.D.112 (유리의 아들) |
A.D.126 ~ A.D.158 (유리의 아들) |
? ~ A.D.158.10 |
6. 지마이사금 |
A.D.112 ~ A.D.134 (파사의 아들) |
A.D.159 ~ A.D.191 (파사의 아들) |
A.D.131.3 ~ A.D.191.8.(壽 61) |
7. 일성이사금 |
A.D.134 ~ A.D.154 (유리의 아들) |
A.D.192 ~ A.D.212 (남해의 손자) |
A.D.135.8.5 ~ A.D.212.2.(壽 78) |
8. 아달라이사금 |
A.D.154 ~ A.D.184 (일성의 아들) |
A.D.213 ~ A.D.243 (일성의 아들) |
A.D.180.9. ~ A.D.243.5.(壽 64) |
9. 벌휴이사금 |
A.D.184 ~ A.D.196 (탈해의 손자) |
A.D.244 ~ A.D.256 (석추의 아들) |
A.D.189.4. ~ A.D.256.4.(壽 68) |
10. 내해이사금 |
A.D.196 ~ A.D.230 (벌휴의 손자) |
A.D.257 ~ A.D.291 (벌휴의 손자) |
A.D.230.4. ~ A.D.291.3.(壽 62) |
11. 조분이사금 |
A.D.230 ~ A.D.247 (벌휴의 손자) |
A.D.292 ~ A.D.309 (벌휴의 손자) |
A.D.254.8. ~ A.D.329.2.(壽 76) |
12. 첨해이사금 |
A.D.247 ~ A.D.261 (조분의 동복아우) |
A.D.310 ~ A.D.324 (조분의 동복아우) |
A.D.274.1. ~ A.D.324.12.28.(壽 51) |
13. 미추이사금 |
A.D.262 ~ A.D.284 (구도의 아들) |
A.D.325 ~ A.D.349 (구도의 아들) |
A.D.292. ~ A.D.362.10.(壽 71) |
14. 유례이사금 |
A.D.284 ~ A.D.298 (조분의 아들) |
A.D.350 ~ A.D.364 (조분의 아들) |
A.D.306.1. ~ A.D.367.2.(壽 62) |
15. 기림이사금 |
A.D.298 ~ A.D.310 (조분의 손자) |
A.D.364 ~ A.D.370 (조분의 손자) |
A.D.330.4. ~ A.D.372.6.(壽 43) |
16. 흘해이사금 |
A.D.310 ~ A.D.356 (내해의 손자) |
A.D.370 ~ A.D.377 (내해의 손자) |
A.D.329.8. ~ A.D.392.5.(壽 64) |
17. 내물이사금 |
A.D.356 ~ A.D.402 (말구의 아들) |
A.D.377 ~ A.D.402 (말구의 아들) |
A.D.350.3. ~ A.D.402.2.7.(壽 53) |
18. 실성이사금 |
A.D.402 ~ A.D.417 (대서지의 아들) |
A.D.402 ~ A.D.417 (대서지의 아들) |
A.D.359.6. ~ A.D.417.5.(壽 59) |
19. 눌지마립간 |
A.D.417 ~ A.D.458 (내물의 아들) |
A.D.417 ~ A.D.458 (내물의 아들) |
A.D.387.1. ~ A.D.458.8.20.(壽 72) |
20. 자비마립간 |
A.D.458 ~ A.D.479 (눌지의 아들) |
A.D.458 ~ A.D.479 (눌지의 아들) |
A.D.414.3. ~ A.D.479.2.3.(壽 66) |
21. 소지마립간 |
A.D.479 ~ A.D.500 (자비의 아들) |
A.D.479 ~ A.D.500 (자비의 아들) |
A.D.436.5. ~ A.D.500.11.5.(壽 65) |
22. 지증왕 |
A.D.500 ~ A.D.514 (습보의 아들) |
A.D.500 ~ A.D.514 (습보의 아들) |
A.D.437.10. ~ A.D.514.7.(壽 78) |
23. 법흥왕 |
A.D.514 ~ A.D.540 (지증의 아들) |
A.D.514 ~ A.D.540 (지증의 아들) |
A.D.480.2.10. ~ A.D.540.7.(壽 61) |
첫댓글 재위 기간 동안의 나이: 지마(29-61)/일성(58-78)/아달라(34-68)/벌휴(56-68)/나해(28-62)/조분(39-76)/첨해(37-51)/미추(34-71)/유례(45-62)/기림(35-43)/흘해(42-64)/나물(28-53)/실성(44-59)/눌지(31-72)/자비(45-66)/소지(44-65)/지증(64-78)/법흥(35-61)
삼국사기or삼국유사랑 화랑세기랑 생몰년도,재위기간 정확히 일치하나요?
도대체 어디에 근거한 건가요? 법흥왕은 지증왕이 음경 때문에 환갑이 넘도록 자식이 없었다는 기록이라면 480년생은 아닌 것 같군요..앞에 왕들도 계산해보면 많이 이상합니다..
보시다시피 삼국사기, 삼국유사와는 큰 차이가 있지요. 표에서 신라본기 재위라는 부분이 삼국사기의 기록이고, 신라사초 재위라는 부분이 신라사초의 내용입니다. 재위시기는 일성이사금 이후로는 대략 1갑자 내외의 차이가 나다가, 기림이사금-흘해이사금-내물이사금의 재위기간에서 그 1갑자의 차이가 좁혀집니다. 왕들의 생년은 삼국사기에 거의 기록된 바가 없으므로 비교할 수가 없습니다.
성군인종대왕님/ 지도로가 음경이 커서 자식을 얻지 못했다는 말은 우스개소리로 치부하셔도 좋을 듯 합니다. 지도로(지증왕)에게는 부인이 여럿이 있었는데, (아버지의) 체격이 커서 (지도로의) 자식을 낳던 부인 두명이 연달아 사망하는 사건이 사초에 등장합니다. 지도로의 음경이 큰 것이 아니라 뱃속의 태아가 커서 일어난 사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