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1리 마을입구-도요암갈림길-약용암(동화사)-상어굴-좌베틀산-베틀재-베틀산-우베틀산-페헬기장-철탑-도중리-동곡공원
베틀산
높이는 369m이고, 주봉(主峰)은 좌베틀산이다. 예전에는 조계산이라고도 불렀다. 금산리에서 볼 때 왼쪽으로 동화사 뒤에 있는 산이 좌베틀산, 가운데가 베틀산, 남동쪽으로 약간 떨어져 있는 오른쪽 산이 우베틀산이다. 산은 그리 높지 않으나, 산세가 아기자기하고 암릉과 해식굴(海蝕窟) 등이 산재하여 산행이 재미있다.
문익점의 손자인 문영이 산의 모양과 해평면 오상리에 있는 공상다리의 모양을 따서 베틀을 만들어 문영베를 짜는 데 성공한 이후, 산이름이 조계산에서 베틀산으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그밖에 어느 선비가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가는데 산 위에서 여인의 베짜는 소리가 들려왔다거나, 임진왜란 때 많은 사람들이 베틀굴에 피난하여 베를 짰다는 전설 등이 전해진다.
산중턱 바위절벽 곳곳에는 역암·사암의 풍화나 해식작용으로 생긴 해식굴이 널려 있고, 동화사 부근에는 높이 6m 정도의 거대한 마애불입상이 동쪽을 향해 새겨져 있다. 동화사로부터 20분 거리에 있는 좌베틀산 정상에서는 금오산, 냉산(冷山), 청화산이 보인다
동화사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 동화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석불 좌상.
해평면 금산리의 베틀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동화사에는 현재 근래 신축한 대웅전과 기도원, 주지실 등의 건물이 있다. 동화사 대웅전에서 북쪽으로 30m쯤 떨어진 곳에 바위와 바위가 맞물려 있는 작은 동굴이 있는데, 이 굴 안에 석불 좌상이 위치해 있다.
석조여래좌상은 높이 58㎝, 연화 대좌는 지름 46㎝, 높이 11㎝이다. 우견편단의 법의(法衣)에 결가부좌를 하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매우 고식의 형태이다. 또한 대웅전 불단 밑에 작은 석조 연화 대좌도 있는데, 이 역시 고식의 원형 8판 연화 대좌로 연화문 안에 작은 화문이 조각되어 있으며, 3중의 원형 몰딩이 표현되었다.
이곳에는 돌부처 셋이 있었는데 둘은 마을로 굴러 떨어졌다고 한다. 또한 원래의 대웅전 자리는 숲속에 따로 있다고 하나 별다른 유구는 남아 있지 않다.
동화사 석조물은 비록 소형이지만 당당한 가슴과 양 어깨의 조각으로 보아 통일신라 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화 대석도 연화문과 판 내의 장식 화판 등으로 보아 조성 연대는 통일신라로 추정된다
▼산행출발지 구미시 해평면 소상길60 (금산1리 마을)~~~
▼출발지에서 두갈래길 ~~약용암 방향으로`~
▼도요암 입구를 지나갑니다~~~
▼이정표 방향으로 가면 동화사는 못보고 바로 능선길로가서 상어굴로 갑니다 동화사를 지나가려면 이정표 무시하고 직진`~~
▼동화사 인데 약용암으로 되어 있내요~~~
▼계단따라 올라가면 상어굴은 못보고 바로 좌 베틀산으로`~
▼상어굴 구경하기~~~~
▼상어굴을 지나면 가파른 철계단과 가파른 낙엽길이 베틀산 정상까지 이어 집니다~~~
▼상어굴을 지나면 첫번째 봉우리 좌베틀산이 보이고~~~
▼낙엽길이라 미끄럼 주의~~~
▼지나온 상어굴이 보이내요~~~
▼좌베틀산을 지나 바로앞 봉우리가 베틀산 좌측에 봉우라가 우베틀산~~~
▼베틀산 정상 가기전 요상한 바위~~ET 모양 같기도 하고~~
▼지금은 정상 표시가 떨어져 있내요~~
▼베틀산 정상은 마당바위 처럼 ~~~~
▼마당바위 에서 바라본 지나온 금산1리~~
▼베틀산 마당바위 아래~~
▼마당바위를 지나 우베틀산 가기전 임도까지 내려가는 길이 굉장히 가파른 낙엽 길 입니다~~
임도에서 금산리로 내려가도 되고 임도를 건너면 우베틀산 가는 길 입니다~~
▼좌베틀 베틀산을 지나 마지막 봉우리 우베틀산 정상`~~
▼폐 헬기장~~~~
▼헬기장을 지나 철탑구간에 길이 조금 좋지 않내요~~~
▼철탑구간만 지나면 하산지점 도중리까지는 길이 좋습니다~~
▼도중리~~~~
▼화살표 방향으로 조금 내려가면 도로에서 좌측으로 유턴해서 동곡 공원 방향으로~~~
▼동곡 공원 가기전 공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