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의 과다한 분비는 십이지장궤양의 주요원인이 됩니다. 십이지장 궤양으로 판정을 받은 경우는 다른 장을 참고하고 한의사나 양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치료하시고 이 페이지는 위산과다로 인해서 가벼운 속쓰림이 있는 경우에 이용해주십시오.
1) 오적골(해표초,오징어뼈) - 추천 (오패산이라 하여 한약으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오징어의 뼈가루 80g과 패모가루 16g을 고르게 섞어 식사후마다 4g씩 먹는다.
해설 : 오적골의 맛은 짜고 성질은 약간 따뜻합니다. 간장과 신장에 작용을 하여 피를 멈추게 하고 유정을 멈추게 하며 위산중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위 및 십이지장의 궤양에 효과가 있습니다. 패모의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폐에 작용하여 담을 없애고 해수를 멈추게 하며 심장에 작용하여 열을 없애줍니다. 따라서 모든 종류의 해수와 천식에 유용하며 오래되어 폐의 기능이 약화된 천식에도 폐를 보해주는 작용이 있어 유용합니다.
2) 황련 - 속에 열이 많은 사람이 위산과다가 있는 경우에 적당하다고 생각됩니다. 황련을 잘게 썰어서 작은 술잔으로 한잔 정도를 360ml의 물로 달여서 물이 180ml 가량 되면 하루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가루를 내어 하루에 3.8g씩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해설 :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심장과 위, 간장에 작용을 하며 습열을 없애준다. 따라서 스트레스로 가슴이 답답하고 잠을 자지 못하는데, 습열설사, 이질, 위에 열이 있어서 구토증상이 있는데 쓸 수 있다.
3) 결명자와 이질풀 결명자와 이질풀 각각 18.8g을 700ml의 물로 500ml되게 달여서 하루에 여러 차례 차 대신 복용한다.
해설 : 결명자는 맛이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갑고 간과 담, 신장에 작용합니다. 간의 열을 내리고 눈이 충혈되고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특히 결명자에 들어있는 안트라키논 화합물은 대장의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려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노관초(이질풀, 쥐손이풀)의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온화하여 인체의 기혈을 잘 소통시키게 하고 골격과 근육을 튼튼하게 하며 이질과 만성 설사와 복통, 장염을 치료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어 피부가려움증과 종기에도 일정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4) 쑥과 달걀 쑥잎 80g, 달걀 60g을 물 세 사발로 절반이 되게 끓인 다음 달걀 1.2개를 덥게 해서 점심때에 먹는다. 1-1.5kg 먹으면 근치된다.
해설 : 애엽(쑥)은 그 맛이 맵고 쓰며 성질은 온화하고 약간의 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쑥은 간과 비장, 신장에 작용하는데 인체의 기혈이 잘 순환되게 하며 추위를 몰아내고, 진통과 지혈작용,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배가 차서 오는 복통, 여러 가지 출혈과 월경부조, 태동불안, 불임증에 일정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계란(달걀)의 맛은 달고 성질은 온화하며 인체의 진액과 혈액을 보충하고 태아를 안정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하거나 마른기침을 할 때, 목이 아프고 쉬거나 눈이 충혈될 때, 태동불안, 설사와 화상 등에 일정한 효능을 나타냅니다.
5) 무와 생강 위산과다와 딸꾹질에 무즙과 생강즙을 반반 섞어서 한번에 한 컵씩 3번 식후에 먹는다.
해설 : 나복근(무)의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합니다. 폐와 위에 작용하는데 소화를 돕고 기가 치솟은 것을 내려주며 담이 뭉친 것을 없애주며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항균작용과 식체, 가래, 소갈, 설사, 코피 등에도 일정한 효능을 나타냅니다. 복용법은 즙을 내어 하루 30∼90㎖씩 마시거나 달여서 복용해도 좋습니다.
생강은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하며 폐, 위, 비장에 작용합니다. 생강은 몸을 데워주고 땀을 나게 하여 추위를 쫓고, 또한 소화기를 따뜻하게 하여 복통과 구토증상을 없애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담을 없애고 가래와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생강은 그 약성이 강하여 환부에 오래 외용할 경우 부작용이 일어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복용법은 하루 3∼9g을 달이거나 분말로 만들어 복용하고 또 외용법으로 환부에 붙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6) 산약, 감초, 무우, 초결명 산약 12g, 감초 12g, 무우씨 12g, 초결명 8g에 큰 대접으로 물 1대접을 붓고 30-40분 정도 달인 후 매 식후 복용한다.
해설 : 산약(마)의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비장과 폐, 신장에 작용합니다. 인체의 기와 비위를 보하고 진액을 보충하며 특히 폐와 신장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귀와 눈을 밝게 하고 설사와 유정, 유뇨를 멈추게 하고 식은 땀, 소갈, 기침과 숨이 찬 때, 만성 위염과 신장염, 신경 쇠약에도 일정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신체허약과 병을 앓고 난 후 원기회복, 소화기가 약해 식욕이 없을 때도 효과를 나타냅니다. 감초의 맛은 달고 성질은 온화하며 심장과 폐, 비장, 위에 작용합니다. 비장과 폐의 기를 보충하는 작용과 함께, 볶아서 쓸 때는 속을 편안하게 하고 생으로 쓸 때는 해독작용과 함께 다른 약들의 효과를 조절해주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강심과 간보호작용, 기침과 가래를 멎게 하는 작용, 항알레르기 및 항균작용 등을 가지고 있어 몸이 허약하고 위경련과 위염, 기관지염, 간염과 인후두염, 변비와 습진 등에 일정한 효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감초는 심장의 기가 허약하거나 또는 위염 등으로 가슴과 윗배에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나복근(무)의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합니다. 폐와 위에 작용하는데 소화를 돕고 기가 치솟은 것을 내려주며 담이 뭉친 것을 없애주며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항균작용과 식체, 가래, 소갈, 설사, 코피 등에도 일정한 효능을 나타냅니다. 복용법은 즙을 내어 하루 30∼90㎖씩 마시거나 달여서 복용해도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