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줄기 가(茄)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더할 가(加)자를 했습니다. 더할 가(加)자는 힘 력(力)자에 입 구(口)자를 해서 힘으로 도와주고 말로 도와주는 도움의 방법을 합해 놓은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가극(茄克) 가아(茄兒) 가삼(茄參) 가방(茄房) 가저(茄菹) 가하(茄荷) 오가(五茄)
꾸짖을 가(訶)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옳을 가(可)자를 했습니다. 옳을 가(可)자는 찬성한다는 뜻으로 입 구(口)자에 ‘ㄱ’같은 에움을 했습니다. 지금도 찬성한다는 표시로 ‘ㄱ’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외할아버지께서 한약국을 하셨는데, 외상 주신 장부를 보면 갚은 사람 이름을 ‘ㄱ’자로 에워 놓으신 외할아버님의 장부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쓰는 말에도 ‘기역자’를 했다.’라고 말하면 그 사람은 제외해 놓았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ㄱ’자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글자는 일종의 기호라는 인식을 할 수 있습니다. 옳을 가(可)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가자(訶字) 가자(訶子) 가리륵(訶梨勒) 가릉(訶陵) 가여륵(訶黎勒) 마가(摩訶) 소파가(蘇婆訶)
책상다리할 가(跏)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더할 가(加)자를 했습니다. 더할 가(加)자는 힘 력(力)자에 입 구(口)자를 해서 힘으로 도와주고 말로 도와주는 도움의 방법을 합해 놓은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가좌(跏坐) 가부(跏趺) 결가(結跏) 반가(半跏)
꾸짖을 가(呵)자는 말로 꾸짖으니까 입 구(口)자에, 발음을 표시하는 옳을 가(可)자를 했습니다. 형성(形聲) 글자입니다. 꾸짖음을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말이기에 옳을 가(可)자로 발음을 표시하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가동(呵凍) 가구(呵口) 가질(呵叱) 가력(呵叻) 가책(呵責) 담가(啖呵) 가가(可呵) 가도(呵導)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