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백의 잔물결 일렁이는 녹차밭, 갈퀴마다 한웅큼 쓸려나오는 고막, 졸깃·쌉싸름한 녹차·고막회 비빕밥, 보성 그곳에 가면 저절로 입 벌어진다 | |
산자락에 층층이 깔린 차밭 풍경은 5월에 가장 아름답다. 한겨울 차밭 풍경은 어떨까. 굽이치는 밭이랑은 찬바람 속에서도 변함없이 푸르른 모습으로 각별한 경치를 보여준다. 이 사철 푸른 차밭에 눈이 쌓이면 5월과는 또다른 눈부신 경관이 연출된다. 차밭이 아름답기로 이름난 보성의 겨울 풍경을 만나러 간다. 녹차의 풍미와 제철 맞은 벌교 고막을 즐긴 뒤, 녹차 해수탕에서 피로를 푸는 여정이다. 꼬마전구 4만여개 불 밝히는 ‘차밭 트리’ 보성 차밭=전남 보성은 전국 최대 규모의 차 생산지다. 180여만평의 차밭에서 전국 차 생산량의 45%가 나온다. 차밭이 아름다운 건 산기슭으로 펼쳐진 밭이랑들이 보여주는 정연하고 부드러운 곡선미 때문이다. 보성읍에서 율포 쪽으로 18번 국도를 달리면 활성산 자락의 봇재를 넘게 된다. 고개를 내려가면서 오른쪽으로 줄달음치는 부드러운 차밭 이랑 행렬을 볼 수 있다. 봇재다원이다. 언덕을 굽이굽이 감싸며 흘러내린 밭이랑들은 보는 각도에 따라 열리고 닫히며 끊어질 듯 이어지는 곡선미의 극치를 펼쳐 보여준다. 방풍용으로 심은 삼나무들이 이 그림을 한결 돋보이게 한다. 전망대인 다향각 주변의 전망이 가장 좋다. 눈 내리는 날 차밭은 순백의 잔물결이 넘실대는 별천지로 바뀐다.
이 지역은 일교차가 심해 물안개가 잦기로 유명하다. 보성 북소리 사물팀장이자 문화관광해설가인 임삼순(58)씨는 “일년이면 150일 가량 안개가 발생하는데, 안개가 고개를 넘어 바다 쪽으로 봇물처럼 쏟아져내리는 모습에서 봇재란 이름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봇재는 서편제와 동편제를 아우른, 보성소리로 이름 높은 소리꾼 정응민의 제자들이 소리를 배우기 위해 넘나들던 고개이기도 하다. 그 옛길이 봇재다원 사이에 남아 있다. 이른바 ‘소릿길’이다. 최근 시멘트로 포장된 이 길목엔 북치는 연습을 하던 북바위가 있고, 영천리엔 정응민의 생가터와 기념비가 있다.
차밭을 좀더 여유있게 거닐려면, 봇재 못미쳐 봉산리의 대한다업 보성관광다원으로 가는 게 좋다. 활성산 북쪽 자락에 펼쳐진 10여만평의 차밭이다. 1957년부터 본격 조성된 보성의 최대 다원으로, 회령리의 바둑판식 차밭까지 합해 전체 넓이가 20여만평에 이른다. 관광다원은 들머리부터 빽빽한 삼나무 숲길(안내판들이 눈에 거슬리지만)이 방문객들을 사로잡는다. 시음장을 지나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산 능선을 따라 굽이치는 차밭이랑들이 삼나무숲을 배경으로 그림처럼 다가온다. 산책로를 거닐며 시시때때로 다른 모습으로 펼쳐지는 차밭에 마음을 빼앗기다 보면 30~40분은 금세 지나간다. 시음장에선 제대로 우려낸 녹차를 즐길 수 있다. 1인 1000원. 벌교 고막=보성군 벌교읍 개펄은 전국 최대의 고막 조개 생산지다. 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보성천 하구와 여자만 개펄에서 연 2000t의 고막을 캔다. 벌교 고막이 지금 한창 제철(11월~3월)을 맞아 미식가들을 불러모으고 있다. 고막은 자연산 참고막과 양식된 새고막(똥고막), 주먹만한 크기의 피고막으로 나뉜다. 참고막은 껍질의 골이 깊고 단단한데 반해 새고막은 골이 얕고 껍질도 얇다. 졸깃한 맛은 물론 참고막이 한 수 위다. 피고막은 주로 회로 먹는다. 해수 녹차탕에 몸담그고 바다에 시선두고 물때를 맞춰 가면 대포리 개펄 등에서 살을 에는 바닷바람을 뚫고, 바구니와 ‘기계’(개펄을 긁어 고막을 캐는 갈퀴)를 실은 나무썰매를 밀며 참고막잡이에 나서는 주민들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7년째 고막만 잡고 있다는 대포리 주민 김병혜(51)씨는 “한번 나가면 20㎏들이 그물망으로 7~8개는 잡는다”고 말했다. 벌교읍 거리에선 시장터가 아니더라도 고막을 수북이 쌓아놓고 파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고막뿐 아니라 굴과 낙지 등 제철 해산물들도 지천이다. 벌교는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의 주무대다. 소설에 등장하는 벌교홍교(국보)·부용교(소화다리)·철교·중도방죽·남도여관 등이 그대로 남아 있다.
녹차와 고막의 만남=보성읍의 어지간한 식당엔 녹차음식이 끼어 있고, 벌교읍에선 어디서나 고막이 음식의 주제다. 녹차수제비·녹차칼국수·녹차불고기·녹차생삼겹살·녹차냉면과 고막회·고막무침·양념고막·고막된장국·고막전 들이다. 대한다업 관광다원 안의 녹차음식 전문식당 차목원은 녹차수제비를 최초로 식탁에 올렸다는 집이다. 최근 녹차와 고막을 결합해 새로운 맛의 경지를 선보였다. 녹차·고막회 비빔밥이다. 고막과 도라지·미나리·파·풋고추 등을, 특별하게 만든 초고추장에 비벼 녹차잎나물과 김가루를 듬뿍 넣어 비벼먹는데, 졸깃하게 씹히는 고막과 부드러운 녹차잎의 어울림이 빼어나다. 녹차잎나물과 녹차김치는 사철 밑반찬이다. 녹차 떡국·수제비와 녹차불고기·생삼겹·주물럭 요리도 낸다. (061)853-5558. 녹차와 해수탕의 만남=피로를 풀 차례다. 녹차밭이 깔린 18번 국도를 타고 율포 해변으로 가면, 120m 지하 암반에서 끌어올렸다는 지하 해수에 녹차 성분을 듬뿍 섞은 해수·녹차탕 목욕을 즐길 수 있다. 노폐물 배출과 피부미용·습진·신경통·근육통 등에 좋다고 한다. 해수온탕·해수녹차온탕·해수냉탕·맥반석사우나 등을 갖췄다(06시~20시). 무엇보다도 욕조에 몸을 담그고 바라보는 바다 경치가 인상적이다. 목욕하며 해돋이를 보러 오는 이들도 많다. 5000원. (061)853-4566. 보성/글·사진 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
|
첫댓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원본 게시글에 꼬리말 인사를 남깁니다.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