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릭스
김 난 석
연전에 래리 워쇼스키 형제가 각본을 쓰고 감독한 영화 <매트릭스>가
관객에게 새로운 흥미를 불러 일으켰었다.
매트릭스의 사전적 의미는 형태를 뜨는 것, 무언가 그 안에 둘러싸이거나 담기는 토대,
금속이나 다른 광물을 부어 모양을 만드는 주형, 수학의 행렬 등 다양한데,
영화 워쇼스키 형제는 이 모든 것을 거의 다 내포하는 뜻으로 영화제목을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영화에서의 매트릭스는 인공지능에 의해 프로그램화 되어있는 세계를 말한다.
이 매트릭스세계는 인간이 만들었으되
진정한 인간의 자유의지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인간이 이 매트릭스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다.
즉 인간은 매트릭스의 에너지로 전락하고 있을 뿐,
매트릭스인들은 자신들의 세계가 천국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영화는 이러한 매트릭스가 몰(沒) 인간의 사회임을 상정하고,
이로부터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사도로서의 네오를 출현시킨다.
매트릭스의 거짓을 뒤집고 진정한 구원의 나라인 시온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사명을 띠고
나타난 이가 바로 네오인데, 네오를 돕고 있는 주요 주변인물들이 트리티니와 네오피스 등이다.
영화의 주인공 키아누 리브스는 낮에는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토머스 앤더슨으로 살아가면서
밤에는 인터넷 속 또 다른 세계를 살아가는 해커 네오로 나온다.
네오는 다른 해커들과 어울리면서 펑크족들에게 비밀스런 프로그램을 만들어주기도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이 세상이 뭔가 가짜이며 잘못돼가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
그러나 그가 감지하는 잘못된 매트릭스의 세계를 증명해낼 길이 없다.
이때 나타난 이들이 트리니티와 모피어스, 그리고 오라클이다.
네오는 이들의 도움으로 자신이 구원자로 태어났음을 깨닫고
매트릭스 사수대와 한바탕 싸움을 벌여 인류를 구원한다는 줄거리다.
영화는 성서적 등장인물이나 그 줄거리를 많이 은유함으로써
기독교적인 우화의 냄새를 풍기고 있다.
네오(neo)는 새로운 이라는 접두어로서, 이를 거꾸로 읽으면 one이 되므로
오직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새로운 사람,
말하자면 나사렛 예수를 의중에 두고 있는 작명이라 하겠다.
트리니티는 three와 unity의 합성어로, 성모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이거나
막달라 마리아를 은유한다고 하겠다.
모피어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꿈의 신이란 뜻으로,
수면제와 진통제 역할을 하는 모르핀이나
어떤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다른 이미지로 변형되도록 하는
컴퓨터 기술을 의미하기도 하므로
진실의 세계와 매트릭스의 세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인물로 캐릭터를 부여하고 있다.
매트릭스에는 신이 있다.
고대 이스라엘에는 다윗의 무리들로부터 위대한 지도자가 나타나
모든 적들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의 옛 영광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예언이 전해 내려왔다.
이 지도자가 바로 메시아다.
영화에서의 매트릭스는 억압을 자행하고 있는 집단이나 시스템이므로
이를 파괴하고 인류 본연의 영광을 가져다 줄 사람은 바로 메시아인데,
네오는 총알을 받고도 죽지 않거나 부활하는 기적을 낳으면서
매트릭스를 공격해 시온을 지키게 되니 결국 영화 매트릭스에는 신이 있다 하겠다.
우리가 들어가 즐기고 있는 인터넷 세상도 일종의 매트릭스라 하겠다.
닉네임이란 이름으로 행세하면서 그 아바타(avatar)는
나 자신의 지능이나 경험을 충전 받아 이런 저런 몸짓과 의사표시를 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럴진대 영화에서 말하는 매트릭스로 매도당하지 않기 위해서라면
타인의 아바타에 휩쓸려 나대더라도
자신의 영혼만은 꼭 붙들고 살아나가야 하리란 생각을 하게 된다.
넉 달가량을 키우던 강아지를 다른 집에 입양시켰다.
새 주인의 품에 안겨주고 돌아서려니 마음이 언짢다.
이젠 티브이를 보는 옆에 앉아 같이 티브이를 보는 시늉하던
능청스런 모습을 못 보게 되었다.
소파에 앉아 책을 읽노라면 책상 밑을 차지한 채 배 깔고 엎드려
코를 골 뿐인 말썽꾸러기 열등생 같은 그 모습도 이젠 더 이상 못 보게 되었다.
‘혹성탈출(Escape from the earth)’이란 영화가 떠오른다.
우주여행을 하고 돌아오니 지구의 인간들은 어느새 멸망하고
유인원들이 지구를 다스리게 된다는 줄거리였다.
갑자기 나타난 이 생소한 인간을 유인원들이 다그치며 심판을 하는 대목은 끔찍하기만 했다.
어느 해 크리스마스이브에 들어왔대서 ‘메리’ 라고 이름 지어 부르던 강아지,
사당동 어느 돌솥밥집에서 팔천 원짜리 점심을 얻어먹고 그 운명을 매트릭스 했으니
그들이 주관하는 청문회라도 열리는 날이면 나는 요절날 일이 아닌가.
나를 또 누가 얼마치를 먹여주고 생소한 곳에 넘기지는 않을는지?
이래저래 영혼만은 꼭 붙들고 살아나가야겠다.
* 추기
래리 워쇼스키 형제는 현재 남매가 되었다 한다.
한 사람이 성 전환수술을 했기 때문이겠다.
메트릭스 영화가 나온지도 꽤 되었는데
그게 진화해 AI 인공지능이 사람 자리에 들어서고 있다.
인간도 영화도 어디로 진화할지 자못 궁금함을 넘어
섬뜩하기만 하다.
첫댓글 대학을 졸업 못해 50대 후반 다시 다닐 때다
그 때 나온 영화인데
메트릭스 영화를 보고 후기를 써 오라고 해서 쩔쩔매던 기억이 난다.
그 때 나보고 엄마라고 호칭하던 남학생이 써 줘 밥 사주던 기억이 난다.
다시 한번 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좀 산만하기도 하지요.
많은 이야기를 하려니 그리 되었겠지만요..
난석님~
잘 주무시고 일어나셨는지요
전 아직 매트릭스 영화를 못 보았네요
나중에 기회되면 꼭 봐야 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네에 시인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선배님
저도 매트릭스 영화 못 보았어요.
기억해 뒀다 봐야겠어요
명화는 오래 기억에 남는 장점
오늘은 즐겁게 보내세요
오늘만요?
내일도 즐겁게 보내세요 청담골 여사님은요..ㅎ
매트릭스 영화 개봉때 보고 뭔 이야기인지
이해를 못했습니다.
지금 봤다면 어려운 영화가 아닌데 당시에는
특이했어요.
SF영화나 마블영화는 좋아하지 않기에
잘 안보나 '아일랜드'는 감명깊게 봤습니다.
아일랜드도 유형이 좀 비슷하지요.
저도 잠간 보다 말았지요
내취향이 아니라서
귀여미를 입양 보내셨군요
얼마나 서운 하실까 눈에 선 할텐데 코고는 소리도 귀엽든데요
시츄였는데 딸이 데려다 놓고
유학 가버려서 친구네로 보냈죠.
선배님 글속에서 영화를 보는듯한 감상에
젖었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네에, 고마워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그랬군요.
저마다 취향이 다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