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미 시간이 꽤 되었지만
작년 말에 부산에서 전국호환교통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원칙적으로 전국 지역적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아직 미개통지역은 있음)
특히 철도와 고속도로 하이패스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한게 특징입니다.
2.
철도는 예전 KTX 패밀리카드의 e-티켓처럼 철도승차권 정보를 카드안에 담고 있는 방식이 아니라
매표구에서 승차권을 구입할때 카드 안에 저장된 선불금액으로 결제를 하는 형태입니다.
아무래도 승차권 값만 몇만원에 달하는 KTX보다는
단거리 무궁화호 정도에서 유리할 것 같습니다.
아울러 무인역 같은 경우 차내 탑승후 차장의 단말기를 통해 직접 승차권을 발매하는 형태인데
이때도 이 카드로 결제가 가능한 것인지 궁금해지네요.
3.
전국호환카드는 각 사업자별로 발행한다고 하며
캐시비에서 부산에서 제일 먼저 발급이 된 것입니다.
맨 아래에 따르면 1월부터 전국에서 카드 판매가 된다고 하는데
현재 전국의 캐시비 카드 팔던 곳에서 전국호환교통카드를 팔고 있는지가 궁금한 부분입니다.
4.
아래 글에 따르면
티머니의 전국호환교통카드는 올해안에 출시된다고 하네요.
http://www.cashbee.co.kr/cashbee/customer/notice/noticeView.jsp?noticeSeq=556

“드디어 전국호환 교통카드 출시! 부산에서 개통, 전국 확산!”
- 전국호환 교통카드 개통식 개최(12.24, 부산역) -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2월 24일(화) 부산역에서 부산시, ㈜마이비, 부산하나로카드(주)와 전국호환 교통카드 개통식을 개최한다.
국토교통부는 ’09년부터 전국호환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금년 6월부터 11월까지 전국 17개 시‧도 경기도(6.4), 7대광역시(7.9), 8개도(9.3), 16개 지자체 실무협약(9.3), 서울시(11.12) 및 운송기관 한국철도공사, 한국도로공사, 전국버스운송사업연합회,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등과 5차례에 걸친 릴레이 협약체결을 통해 전국호환 교통카드 서비스를 준비해 왔다.
그 결과, 지자체 중에서는 부산시가 가장 먼저 부산‧경기지역을 기반으로 한 교통카드 사업자 ㈜마이비, 부산하나로카드(주), ㈜이비카드와 함께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출시하고, 부산을 기점으로 ’14년 상반기까지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 할 예정이다.
금번에 출시되는 캐시비 전국호환 교통카드는 개통식이 열리는 당일부터 부산역에서 기차표 구입 및 전국 고속도로에서 통행료 지불이 가능하며,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전국 대부분 지역의 버스‧지하철에서 이용 가능하다.
26일부터 부산 주요 가판점에서 판매 시작하여, ’14년 1월 중순부터는 전국에서 구입 가능하다. 하이패스기능 및 소지자 연령에 따라 구분되어 있어, 선택의 폭을 다양화 했으며, 시스템 보완과 정산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미개통 구간까지 서비스지역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로써 ’14년부터 전국호환 교통카드 보급과 서비스가 본격화되고, 각 지역 사업자들이 다양한 혜택이 가미된 전국호환 카드를 출시할 예정이어서 국민들의 교통이용 편의가 향상될 전망이다. 전국호환 카드는 지역내 대중교통 뿐만 아니라, 철도‧고속도로‧시외‧고속버스까지 지역간 이동에도 사용 가능하여 큰 이점이 있다. 특히 고속도로의 경우, 그동안 통행료 지불시 현금결재나 하이패스 거래만 가능 했으나, 이제 지갑속 전국호환 교통카드로 손쉽게 요금 지불이 가능해져, 대중교통과 승용차의 연계 이용 편의가 강화된다.
국토교통부 박종흠 교통물류실장은 “최근 각 지역에서 전국호환 교통카드 출시일과 구입처 문의가 빈번하여, 전국호환 카드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뜨거운 호응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타 지역 사용 제한으로 불편을 겪었던 선불교통카드 사용 비율이 높은 시‧군 지역 주민들의 교통이용 편의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국토교통부는 지속적으로 전국호환 카드의 서비스 대상을 확대해 나가고, 장기적으로 전국호환으로 인해 부각되는 교통분야 빅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맞춤형 교통서비스를 개발하고, 국민생활에 유익한 다양한 정보를 개방‧공유해 나갈 계획이다.
① 사용처 안내
․부산, 대구, 광주, 울산, 경기, 강원, 충남, 충북,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전국 모든 고속도로 이용 가능(한국도로공사 운영구간)
(단, 제휴 민자도로의 요금결재는 ’14.3월까지 확대 예정)
․전국 모든 철도역 기차표 구매(한국철도공사)
(단, 부산역은 24일 개통, 나머지 역은 ’14.1월까지 개통)
② 미개통 지역 : 서울, 대전, 제주, 포항, 영주, 문경, 상주, 인천(지하철)
(부산을 기점으로 개통 후 서비스 지역 확대 예정)
③ 구입 및 충전
․12.26일부터 부산시내 주요 가판점 및 버스정류장 교통카드 충전소에서 판매 시작,
’14년 1월 중순에는 부산 전역 및 전국 가판점, 편의점, 지하철 역사에서 구매가능
※ 각 지역 사업자별 발행 계획
․부산 마이비, 부산하나로카드 ☞ 캐시비 전국호환 카드(’13.12.26~)
․울산․전북․전남․경북․경남․충북․원주․천안․아산 : 마이비 카드 ☞ 캐시비 전국호환 카드(’14.1월 중순)
․경기‧인천(버스), 강원, 충남, 영광, 장흥 : 이비카드 ☞ 캐시비 전국호환 카드(’14.1월 중순)
․대구 탑패스카드(원패스), 광주 한페이카드 : 호환지역 확산 예정(’14.상반기)
․대전 한꿈이카드(’14.상반기) / ․서울, 제주, 포항, 영주 : T머니(’14)
․센스패스, K캐쉬(’14)
첫댓글 현재 그 카드들의 각 지역별 판매여부와 개통일시. 그리고 레일플러스카드의 발매일시가 매우 궁금합니다만 거기에 대한 정보가 전무하네요. 전부 O월 중순이라고만 하고 정확한게 없군요...-_-+;;;
저도 이번에 저 카드 이벤트로 해서 받았는데. 아직 전국 호환은 아닌거 같네요.
현재 후불교통카드가 전국 왠만한 지역에서 사용이 가능한데 이용률이 얼마나될지 궁금하네요.
일단 지역에 관계없이 충전이 쉬워서 편하네요.
저 캐시비가지고 잇는데요.. 그거 부산 1호선 노포동역에서 구입을 하였으나 위 사진과 달라요..
아무것도 몰랏을적에 친구 만나러 대전가서 사용할려니 안되더라구요.. 전국호환카드라고 팔아 놓고는.ㅋ
언제 전국 사용가능 할지 궁금합니다.
대전에는 아직까지 티머니만 사용 가능하죠.. 교통카드 사업자의 의지 부족인지 지자체의 의지 부족인지는 모르겠지만 캐시비를 쉽게 개방을 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부산과 가까운 김해에서는 여전히 티머니 개방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