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명 : 천자문(千字文) 강독
<강독 목표>
*천자문의 본문과 주석 강독을 통한 역사, 철학, 문학의 기초 지식 함양
<천자문의 구성>
*4자로 1구를 이루어 총 250구 1,000자로 구성
*주석은 1구당 1~2줄
<강독 시간 및 진도>
*강독 시간 및 기간 : 주 1회에 90분 내외 / 16주(4개월)
*진도 : 1회에 16구(64자) 내외 공부, 총 12시간 수업
<강독 방법>
*새로 나온 한자 음훈 설명
*문장 읽고 해석하기 : 축자(逐字) 해석, 뜻풀이, 문장 구조 설명
*주해 읽고 해석하기 : 축자 해석, 뜻풀이, 문장 구조 설명
*보충 설명 : 본문 및 주해를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내용 추가 설명
예)출전, 관련 한자어나 자료 소개, 기초 한문(자) 관련 상식, 고사성어 등
*질의응답
<교재>
*교재 : 성백효 역주, 『주해 천자문(註解千字文)』, 전통문화연구회, 9,000원, 174(140)쪽+21쪽
기타 참고 자료 유인물
<천자문 소개>
6세기경 양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4글자를 1구(句)로 모두 250구 1,000글자로 지은 운문(韻文)이다. 전통 시대에 한문을 처음 배우는 사람이 반드시 읽는 교재였으며, 한호(韓濩)가 쓴 『석봉 천자문(石峯千字文)』은 서예 교본으로도 많이 활용되었다. 그러나 우주, 신화, 문명, 역사 등 여러 인문 분야에 걸쳐 심오한 내용이 많아 흔히 한자 글자 익히기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다. 하여 18세기에 홍성원(洪聖源)이 편찬한 『주해 천자문(註解千字文)』의 주석 내용을 바탕으로 삼아 강독한다.
강좌명 : 동몽선습(童蒙先習) 강독
<강독 목표>
*계몽적 내용을 통한 인성의 성찰
*본격적인 유교 경전 강독을 위한 기초 배양
<동몽선습의 구성>
*동몽선습 : 오륜의 내용과 의미 설명 / 총론(중국과 우리나라 역사) / 서문과 발문
<강독 시간 및 진도>
*강독 시간 및 기간 : 주 1회에 90분 내외 / 8주(2개월)
*진도 : 내용과 시간에 따라 적절히 나눔
<강독 방법>
*새로 나온 한자 음훈 설명
*문장 읽고 해석하기 : 축자(逐字) 해석, 뜻풀이, 문장 구조 설명
*주해 읽고 해석하기 : 축자 해석, 뜻풀이, 문장 구조 설명
*보충 설명 : 본문 및 주해를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내용 추가 설명
예)출전, 인물, 용어, 고사성어 등
*질의응답
<교재>
*교재 : 성백효 역주, 『童蒙先習·擊蒙要訣』, 전통문화연구회, 12,000원, 151쪽+88쪽.
기타 참고 자료 유인물
<동몽선습 소개>
조선 시대에 박세무(1487~1564)가 지은 책으로,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교육을 위하여 만든 최초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왕세자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글을 배운 사람이라면 읽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 먼저 오륜(五倫)을 중심으로 사람다운 삶이 무엇인지 밝혔고, 이어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강좌명 : 격몽요결(擊蒙要訣) 강독
<강독 목표>
*계몽적 내용을 통한 인성의 성찰
*본격적인 유교 경전 강독을 위한 기초 배양
<격몽요결의 구성>
*격몽요결 : 서문 / 10개의 장
<강독 시간 및 진도>
*강독 시간 및 기간 : 주 1회에 90분 내외 / 16주(4개월)
*진도 : 내용과 시간에 따라 적절히 나눔
<교재>
*교재 : 성백효 역주, 『童蒙先習·擊蒙要訣』, 전통문화연구회, 12,000원, 151쪽+88쪽.
기타 참고 자료 유인물
<격몽요결 소개>
율곡 이이가 1577년에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책이다. 공부하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기본자세,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와 예절 등을 기술하였다. 전통 시대에는 소학(小學)을 비롯하여 사서(四書) 등 유교 경전을 학습하기에 앞서 읽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