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놀패귀농
 
 
 
카페 게시글
일반 게시판 스크랩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 1-3. 전북 익산군
아리하 추천 0 조회 45 15.02.01 13:22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전북 익산군



1939년 2월 28일, 전북 익산군 오산면五山面 오산리五山里 신오산新五山의 불이흥업不二興業 주식회사 전북농장(오산면)의 소작 농가를 방문했다.



가족 : 김어정金於丁(53), 아내(36), 맏아들(10), 맏딸(4).

이 사람은 13년 전 익산군 신풍면新豊面에서 여기로 이주했다. 재혼하기 전의 아내가 약해서 4년 동안 병으로 누워 있다가 지난해 6월에 죽었다. 그 때문에 1300원을 빚졌지만, 이 사람은 머슴살이를 하면서 돈을 모아 그 빚을 갚았다. 그러께부터 머슴에서 불이농장의 소작인이 되었다고 한다.


농사땅

 

1. 앞배미アッペミ, 109m(1町), 2378평, 13년 전부터 소작, 1배미.

논벼 1/2 뒷갈이는 13년 전부터 한다. 뒷갈이는 반씩 번갈아 가며 한다.

논벼 수확량은 나락 3900~4200㎏(6500~7500斤), 볏짚 100단(1지게 17~18단). 쌀보리 6~7가마니(5되들이), 보릿짚 40지게.

두엄 480지게, 화학비료는 석회질소 7가마니(37.5㎏<10貫>들이), 배합비료 5가마니.

 

2. 굴레배미クレペミ, 지게로 1번 쉴 정도의 거리, 4마지기(1마지기는 300평), 2배미.

반은 보리를 뒷갈이하고, 반씩 번갈아 가며 짓는다.

 

3. 소안조배미ソアンチョペミ, 지게 1번 쉼, 750평(2反5畝步), 뒷갈이 보리를 심는다.

 

4. 앞배미 아래アッペミの下, 5마지기(1마지기 300평), 모두 뒷갈이한다.

 

5. 남새밭 : 집터 앞 30평.

봄 ― 상추, 옥수수, 마늘, 호박 5그루. 가을 ― 모두 배추를 심는다.

 

산림 : 전주군 농진면瀧進面에 약 9000평(3町步)의 산림을 가지고 있다. 약 27㎞(7里) 거리.

소나무 숲, 조상의 무덤에 2번 성묘를 감, 땔나무를 하지 않음.

소?돼지?닭?개?산양 없음, 가마니치기?새끼꼬기 안 함.

집에서 쓰려고 가마니 50장을 친다. 남의 집에 놉을 나가지 않는다.


 

앞배미 논벼 기르는 방법

 

앞갈이 쌀보리는 음력 4월 말쯤 거두어들인다.

두엄은 쌀보리를 베기 3일 전에 계절머슴 한 사람과 자기가 이틀 걸려 나른다. 그리하여 쌀보리를 베어 거둔 뒤 두 사람이 뿌리는데, 이틀 걸린다. 쟁기질은 다른 마을 사람에게 1500평(5反步)에 7원 50전 비율로 도급을 준다(사람+소+쟁기).

쟁기질 방법 : 베어 낸 그루 사이를 세 거웃 갈이한다. 써레질은 그러고 나서 한다. 그루 사이는 22.5×22.5㎝(7.5×7.5寸).

 


애벌갈이 : 한 번에 둘을 간다(일회양친다<一兩耕イリヤンチンダ>). 두 거웃 갈이를 뜻한다. 써레질은 (머리우록<モリウロク>) 머리 두둑을 간다(首畦耕)고 한다.

 두벌갈이 : 애벌갈이 20일 뒤, 다시 쟁기질(재경再耕チェギョニ)한다. 쟁기질 방법은 애벌갈이와 같다.

밑거름 : 두벌갈이 전날, 석회질소 따위를 자기 혼자서 뿌린다(한나절).

애벌갈이는 얕게, 두벌갈이는 깊게 갈기 때문에 하루가 더 걸린다.

세벌갈이 : 삼경三耕이라고 한다. 하루 걸린다(애벌갈이보다 2시간 빨리 끝남).

물대기 : 무자위 2대로 세벌갈이 1주일 뒤에 물을 대는데, 하루 걸린다. 나머지 두 사람은 두둑을 만드는 데(발댑 친다パルテプチンダ>) 하루 걸린다. 두둑을 만들 때는 쇠스랑으로 한다.

 일꾼 품삯 : 60전+세 끼+담배 3전(보통 일꾼), 80전+다섯 끼+ 술 3번(14전)+담배 3전(무자위 일꾼).

한 끼는 흰쌀 5홉이다. 때문에 다섯 끼를 주면 2되 5홉인데, 1되에 30전이니 75전이 든다. 김치를 하루 한 사람에게 20전 이상 준다. 때문에 하루 품삯은 한 사람에 1원 92전에 가깝다.

논에 모내기하는 때 : 1주일 뒤, 곧 음력 5월 15일.

모내기철(이르면 음력 5월 15일~늦으면 5월 20일). 이 마을에서는 가장 이르면 5월 10일, 가장 늦으면 5월 20일이다.

농기구 : 지게 1, 못줄 3개(하나의 길이는 84m<35尋>), 막대기 6개, 볏단 1, 바지게 1.

 노동력 : 남자 7명, 부인단婦人團 여자 18명, 합계 25명(자신과 아내를 포함).

오후 2시부터 모내기를 시작하여 오후 6시 끝난다. 정확히 4시간이다.

모찌기 : 모찌기는 아침 일찍부터(6시) 남자 8명(자신을 포함하여 놉<60전+세 끼+담배 3전+술 없음>, 근처 주막에서 고용함)이 시작하여, 모판 5판을 찐다. 모찌기에 하루 걸린다. 이 모찌기 일꾼은 두레패가 아니고, 다른 마을에서 돈 벌러 온 사람들이다. 모를 나르는 일까지 하고, 잠은 자기 집에서 잔다.

못줄 잡기 : 두레패 남자 2명이 한다. 밥은 두레패는 자기 집에서 먹고, 자기와 아내는 따로 놉으로 온 여덟 사람의 밥을 하느라 바쁘다.

모내는 노동력은 실제로는 남자 4명과 여자 17명이다(따로 못줄 잡는 2명).

모내기 능률 : 한 번 못줄을 띄워서 심는 그루 수는 남자 5, 여자 4, 계집아이 3그루다. 곧 능률은 남자 10, 여자 8, 계집아이 6이다.

하루의 모내기 능률은 남자 한 사람이 180~210평(6~7畝步), 여자 한 사람이 150평(5畝). 그루 간격 22.5×22.5㎝(7.5×7.5寸).

 조합단組合團 에 지불하는 품삯은 합계 7.7원(300평<1反步>에 1.4원, 올해는 보통 1500평(5反步)에 최저 5원에서 최고 5.5원).

메워심기 : 모내기 5일 뒤에 남자 두 사람(자신과 놉)이 메워 심는 데 하루 걸린다.

웃거름 : 애벌매기 하루 전에 배합비료 2가마니 반을 뿌린다. 자기 혼자서 한나절 걸린다.

논두렁콩을 심지 않는다.

애벌매기 : 모내고 15일 뒤 남자 7명(자신을 포함, 품앗이)이 호미질을 한다. 하루 종일 걸린다. 밥을 주지 않는다. 따로 남자 2명은 모 누르기를 한다.

두벌매기 : 1주일 뒤, 제초기로 남자 세 사람(자신도 포함, 품앗이)이 하루 걸린다.

두 번째 웃거름 : 5일 뒤, 자기 혼자서 배합비료 2가마니 반을 뿌리는 데 한나절 걸린다.

세벌매기 : 웃거름 준 이튿날, 제초기를 가지고 가로로 다닌다. 남자 3명(자신도 포함, 품앗이)이 하루 걸린다.

네 번째 김매기 : 그 뒤 15일째에, 손으로 남자 10명(자신도 포함, 품앗이)이 하루에 끝낸다. 그때 벼의 길이는 75㎝(2尺5寸) 정도.

다섯 번째 김매기 : 손으로 남자 5명(자신도 포함)이 하루 종일 걸린다.

피사리는 김을 맬 때마다 하는데, 자기 혼자서 한다면 5일 정도 걸릴 것이다. 피의 양은 모두 합쳐 3지게 정도다.

물대기 : 벼가 자라고 있을 때 10번 정도 물대기를 한다. 한 번에 한 사람이 무자위로 한다. 하루에 8~9시간(논두렁에는 자기와 번갈아서 물대는 사람이 있음).

놉의 품삯은 하루 80전+다섯 끼+담배 3전+술 8전.

논두렁 김매기 : 1번. 다섯 번째 김매기 뒤, 자기 혼자서 하루 걸린다. 풀의 양은 5지게다.

물 관리 : 벼가 자라고 있을 때, 날마다 아침저녁으로 둘러본다. 물깊이 약 12㎝(4寸)를 유지한다.

이삭 패는 때 : 8월 27일부터 8월 30일 사이(다섯 번째 김매기 20일쯤 뒤)

물 떼는 때 : 다섯 번째 김매기 이튿날, 처음으로 물을 떼고 1주일 정도 물을 대지 않는다. 높은 곳은 거북이 등껍질처럼 갈라질 정도다. 그러고 나서 다시 물을 대고, 이삭이 1/2 정도 늘어질 때쯤 다시 물을 뗀다.

참새 쫓기 : 이삭이 팬 뒤에는 자신과 아내가 번갈아 가며 약 한 달 동안 하루 종일 참새를 쫓는다.

이화명나방 구제, 도열병 방제는 하지 않는다.

거두기 : 음력 9월 15일(보통 이 부근은 음력 9월 15일~9월 23일).

베기 : 남자 8명(자신도 포함), 7명은 놉(돈 벌려는 사람들로 주막에서 데려오기에 낫을 가지고 있지 않다. 품삯은 60전+세 끼+담배 3전). 하루에 끝낸다. 벤 것은 논바닥에 도롱이를 말리듯 펼쳐서 말린다. 한 움큼으로 쥐는 6그루를 3개 합하여(18그루) 펼쳐서 말린다.

낫 : 자기가 가진 5개, 남에게 빌린 2개. 일본낫 1개 ― 45전, 보존기간 2년. 숫돌 2개.

단 묶기 : 고르게 말린 1주일 뒤(맑은 날일 때 1주일), 놉(주막에서 고용한 사람) 3명과 자신이 하루 걸린다. 그러고 나서 작은 단을 세워서 말린다. 그것을 ‘줄가리(줄지어 말린다는 뜻)’라고 한다. 이 작은 단 말리기는 옛날부터 해 오던 것으로, 이 마을은 모두 이 방법을 쓴다(마른논이기 때문).

 

 큰 단은 1지게에 20단이다.

뒤집기 : 새발가리セエバルカリ, 참새 발자국 모양으로 쌓는 방법.

줄가리로 말린 지 1주일 뒤, 다시 뒤집어서 이삭 끝을 펼치면서 쌓는다. 이것을 ‘세발가리’라고 한다. 계절머슴과 자기가 하루 걸린다.

계절머슴 : 한 달여 계절머슴을 들인다. 곧 음력 9월 20일부터 음력 10월 말까지. 전주 조촌면助村面 사람으로 30살. 그동안 밥은 주고, 옷은 주지 않는다. 20원을 준다.

 

마당질 : 올해는 비가 많이 와서 고르고(調製) 난 뒤 11월 상순에 시작했다. 마당질은 도급을 줬다.

모든 볏단을 논에다 날라 거기서 마당질한다. 한 20일에 걸쳐서 마당질을 끝낸다.

계절머슴, 아내와 자기가 1주일가량 마당질을 한다. 그네(千齒) 2개로 하루에 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

고르기(調製) : 하루에 7가마니(1가마니는 석유통 6개의 나락이 들어감).

볏짚은 70단(5지게), 따로 괴꼴 5말이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하고, 마당질을 도급을 주면 1섬을 떠는 데 40전이다. 여자 10명(다른 마을에서 온다. 그네 10개를 가지고 옴), 나이는 25~60살.

이때 단을 배분하고 단을 묶기 때문에 계절머슴과 자신과 아내는 거드는 사람이고, 도급 받은 사람들이 홀로 나락을 떨고 고른다.

하루 일은 한 사람에 1섬 5말에서 2섬 5말이다.

첫날은 하루에 37가마니의 거친 나락(荒?) 고르기를 마친다.

둘째 날은 여자 네 사람이 그네로 하루에 20가마니를 떨고 고른다.

셋째 날은 여자 네 사람이 20가마니.

위와 같이 하여 소작료를 지불한다.


못자리 : 옮겨 심을 논에 붙어 있는 다른 논에 만든다. 뿌리는 양 6말(은방주만).

네 말들이 항아리 3개를 준비하고, 한 항아리에 물 3말을 붓는다. 여기에 소금 1되 5홉(1되 5전)을 녹여서 소금물가리기를 한다. 물에 뜨는 쭉정이 7되 5홉을 건진다. 잘 고른 나락은 5말 2되 5홉이다. 자기가 소금물가리기하는 데 한나절 걸린다.

그러고 나서 이것을 한 번 물로 씻어서 3가마니에 담아 웅덩이에 담근다. 이웃 마을과 함께 쓰는 웅덩이( 浸漬場 )다. 1주일 동안 담그고, 싹틔우기를 하지 않는다.

못자리 쟁기질 : 음력 2월 5일쯤.

놉+소+쟁기로 한나절 걸린다. 가장 처음에는 일회양치기를 하고, 1주일 뒤에 다시 간다.

품삯은 1500평(5反)에 7.5원 비율로 고용한다.

거름 : 밑거름 ― 나뭇재 5지게, 배합비료 ― 8.6㎏(2.3貫).

애벌갈이 전에 나뭇재를 뿌린다. 자신이 30분 걸린다.

물대기 : 무자위로 자기가 한나절 걸린다.

두둑 짓기 : 이틀 걸린다.

땅고르기부터 모판 만들기까지, 자신과 놉(50전+세 끼+담배 3전)이 이틀 걸려 12판을 만든다.

새끼줄은 줄 하나에 72m(30尋)인 새끼줄을 쓴다. 1줄의 길이 45.5m(25間). 이 새끼줄은 4단의 볏짚으로 자신이 4일 동안 꼰다.

말뚝 ― 48개(소나무, 3년 동안 씀), 총계 20전 정도, 45×3.6㎝(15×1.2寸).

모판 만들기를 끝내고 배합비료를 다 뿌리기까지 2시간 걸린다(이틀에 걸쳐서). 모판 만들기를 끝내고서, 한 번 말렸다가 이튿날 점심쯤 물을 넣는다. 물깊이는 4.5㎝(1寸5分) 정도. 그러고 나서 3일째 볍씨를 뿌린다.

 

씨뿌리기 : 자기 혼자서 1말 됫박으로 재서(1판에 4되) 이것을 소쿠리로 날라다 뿌린다. 1되 5홉쯤 남는다.

아침부터 시작하여 점심까지 씨뿌리기를 마친다.

싹트기 : 맑은 날일 때는 이튿날 벌써 싹이 튼다. 싹이 튼 뒤에는 1.5㎝(5分) 정도로 얕게 물을 댄다. 밤에는 3㎝(1寸) 정도 깊이로, 한낮에는 물을 얕게 댄다. 날마다 자신은 무자위로 저녁에 물을 댄다(1시간 정도).

 

첫 번째 웃거름 : 씨뿌리고 20일 뒤, 모 길이 6㎝(2寸), 잎 3장 정도일 때, 배합비료를 모판에 물을 대고 한 모판에 평평하게 담은 1되 정도를 뿌린다. 뿌리는 데 한나절 걸리고, 물은 고랑에만 남겼다가 3일 뒤에 다시 넣는다. 그 물대기에 무자위로 2~3시간 걸린다.

두 번째 웃거름 : 보름 뒤 한 모판에 5홉을 뿌린다. 나머지는 첫 번째와 같다.

세 번째 웃거름 : 5일 뒤 나뭇재 5지게를 날라다 하루에 뿌리기를 끝낸다. 삼태기로 뿌린다. 1지게에 10삼태기, 그때 모 길이는 12㎝(4寸) 정도다.

애벌매기 : 피사리를 한다. 싹이 튼 뒤, 모 길이 3㎝(1寸) 정도 될 때 애벌매기를 한다. 약 300포기의 피를 뽑는다. 자기 혼자서 하루 걸린다.

두벌매기는 첫 번째 웃거름을 준 3일 뒤로, 자기 혼자서 하루 걸린다.

그 뒤, 3일마다 피와 웃자란 모를 뽑는다(8시간).

 

이화명나방 알 잡기 : 자기와 자식이 때때로 나와서 이화명나방 알을 잡는다. 모판 가운데 쪽에 많고, 합계 5일 정도의 노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벌레꾀임등 : 1개. 음력 4월 20일쯤부터 모내기할 때까지 못자리에 둔다. 논두렁 위에 대야를 놓고 한가운데 석유등을 켠다. 5년 전에 샀다(1원). 석유등은 군郡에서 공짜로 나눠주었다.

석유등 : 맥주병 1병이 석유등 3개 분량이다. 하루에 석유등 1개를 켠다(석유 값 ― 맥주병 1병에 18전).

첫 번째 석유 : 맥주병 1병은 군郡에서 공짜로 나눠준 것을 받았다. 그 뒤 3병은 알아서 샀다(합계 4병을 씀).

등불은 15일 동안(비 오는 날은 켜지 않음) 켠다. 달밤에도 등불을 켠다. 날마다 저녁에 등불을 켜서 아침까지 놔둔다.

하루에 잡는 양 : 수없이 잡힐 때는 300마리, 적어도 50마리 정도다.

싹 말리기 : 15일째에 하루 밤낮으로 한다(모 길이 2.4~3㎝<0.8~1寸>정도일 때).

 

밥 : 흰쌀만 먹는 때는 7개월, 흰쌀과 보리를 섞어 먹는 때는 5개월이다.

흰쌀만 먹을 때는 하루에 1되 5홉을 먹고, 흰쌀과 보리를 먹을 경우 보리의 비율은 흰쌀 1/2 : 보리쌀 1/2 또는 흰쌀 1/3 : 보리 2/3다.

흰쌀을 사지는 않고, 나락을 한 해에 1200㎏(2000斤) 정도 판다.

방아 : 정미소에서 찧는다. 나락 값은 600g(1斤)에 9.2~9.3전.

생산 비율 ― 나락 120㎏(200斤)에서 흰쌀 6말(흰쌀 1말 3.3원), 왕겨 2가마니(1가마니 25전), 쌀겨 1말(25전). 방아 찧는 값은 흰쌀 1섬에 50전이다.

볏짚 쓰는 곳 : 지붕의 이엉을 바꾸는 데 해마다 90단의 볏짚이 든다(6지게). 1지게에 15단(1단은 8~9전).

가마니, 비료 가마니 1장을 짜는 데 볏짚 1단이면 된다. 비료 가마니의 값은 18.5전이다.

땔감, 여름?겨울 모두 하루에 3단을 쓴다. 왕겨는 한 달 동안 50가마니를 쓴다(왕겨는 농장에서 1가마니에 4전으로 빌려 줌).

두엄, 거두어들인 볏짚의 약 1/3은 두엄으로 만든다. 300평(1反)에 1125㎏(300貫) 정도에 가깝다.

 

집터 : 70평. 그 안에 마당 50평.

집 : 1채 3칸(부엌을 포함).

집터와 집은 불이흥업의 것, 빌리는 값으로 한 해 64.8㎏(108斤)의 나락을 낸다.

논벼는 불이흥업에 낸다. 300평에 5원 60전 정도.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