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15,[161]
 (진) 별 |
자원(字源) : {象形字} 커다란 대합조개의 껍질을 벌리고 살을 드러낸 모양을 본뜬 글자로, 현재 대합조개의 의미로 사용되는 '蜃(신)'의 본래자임. 처음에는 '대합조개'를 의미했는데 후에 가차되어 '때'나 '다섯번째 지지(地支)'로도 활용됨. 부수의 활용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 않지만 대합조개가 농사를 짓는 도구로 활용되기도 해서 농사와 관련된 의미로도 활용됨. 실제 속한 글자는 많지 않고 소리부호[音符]로 사용되어 형성자(形聲字)를 만드는 역할을 하기도 함. [ 예) 振(진)떨치다 - 手부수, 震(진)벼락 - 雨부수, 脣(순)입술 - 肉부수, 晨(신)새벽 - 日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0) 辰 (진) 다섯째지지,별이름 : 辰宿 (신) 일월성,나다 : 生辰, 日月星辰
|
3) 辱 (욕) 욕하다 : 辱說, 恥辱 6) 農 (농) 농사 : 農者天下之大本 |
7-16,[162]
 (착) 천천히걷다

|
자원 : {會意字} 길을 의미하는 '行[왼쪽 두인변]'과 발을 의미하는 '止'가 결합되어 '길을 간다'는 뜻으로 보는 경우와 '止'의 의미를 '멈추다'로 보아 '가다가 서고 서다가 간다'는 의미의 '천천히간다'는 뜻으로 보는 경우도 있음. 부수의 활용은 길을 가는 동작이나 상태의 의미로 활용되고, 부수의 자형(字形)은 모두 변형의 형태가 사용됨. 또한 명칭을 '책받침'이라 한 것은 본 발음이 '착'이고 부수의 위치가 글자를 받쳐주는 받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착받침'이라는 용어가 변해 '책받침'이라 부르게 된 것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5자 4) 迎 (영) 맞이하다 : 迎接, 迎賓 4) 近 (근) 가깝다,근친,가까이하다 : 近墨者黑, 近親 4) 返 (반) 돌아오다 : 返納, 返還 5) 迫 (박) 닥치다,핍박하다 : 迫切,迫害 5) 述 (술) 말하다,짓다 : 陳述, 敍述 6) 迷 (미) 헤매다 : 迷路, 昏迷, 迷信 6) 追 (추)따르다,쫓다 : 追擊, 追跡 6) 退 (퇴) 물러나다,물리치다 : 退却, 進退兩難 6) 送 (송) 보내다 : 送舊迎新, 送別 6) 逃 (도) 달아나다 : 逃亡, 逃避 6) 逆 (역) 거스르다, 맞이하다 : 反逆, 逆賊, 逆旅 7) 透 (투) 환하다 : 透明,透視,透徹 7) 逐 (축) 쫓다 : 逐出, 角逐 7) 途 (도) 길 : 途中, 途上 7) 通 (통) 통하다,온통 : 共通, 通達 7) 速 (속) 빠르다 : 速戰速決, 過速 7) 造 (조) 짓다,처음 : 改造,造詣 7) 逢 (봉) 만나다 : 相逢, 逢着 7) 連 (련) 잇다 : 連結, 宴席 8) 進 (진) 나아가다,오르다: 進步,進路 8) 逸 (일) 잃다,달리다,뛰어나다,숨다 : 逸話, 逸民 ▲8) 逮 (체) 미치다 : 逮捕, 逮繫 9) 遂 (수) 이루다,드디어 : 完遂, 遂行
|
9) 遇 (우) 만나다,대접하다 : 不遇, 千載一遇 9) 遊 (유) 놀다,여행: 遊必有方,遊覽 9) 運 (운) 돌다,움직이다,운 : 運命,運動 9) 遍 (편) 두루 : 普遍, 遍在 9) 過 (과) 지나다,지나치다,허물,과거 : 過渡期, 過去, 過失, 過擧 9) 道 (도) 길,도,순하다 : 道路, 道德, 9) 達 (달) 통달하다,이르다,보내다 : 達成, 達人, 傳達 9) 違 (위) 어기다,다르다 : 違反, 違法 ▲9) 逝 (서) 가다 : 逝去, 逝世 10) 遙 (요) 멀다,거닐다 : 遙遠,逍遙遊 10) 遠 (원) 멀다,심오하다 : 敬遠, 遠慮 10) 遣 (견) 보내다 : 派遣, 發遣 ▲10) 遞 (체) 갈마들다 : 輪遞, 郵遞局 11) 適 (적) 맞다,마침,가다,시집가다 : 適當, 適材適所 11) 遷 (천) 옮기다,천도 : 遷都, 左遷 12) 遲 (지)더디다,기다리다: 遲刻,遲滯 12) 遵 (준) 좇다 : 遵法, 遵守 12) 選 (선) 가리다,잠깐 : 選手, 選擧 12) 遺 (유) 남다,버리다 : 遺言,遺棄 13) 避 (피) 피하다 : 避暑, 忌避 13) 還 (환) 돌아오다,갚다 : 還甲, 還元, 歸還 15) 邊 (변) 가,변방 : 江邊, 邊方 |
7-17,[163]
![우부방[고을 읍]](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hanja.pe.kr%2Fhan_3%2Fimages%2F7-17.gif) (읍) 고을

|
자원 : {會意字} 경계가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ㅁ'와 사람이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양의 '巴'가 결합되어 사람이 모여 살고 있는 지역인 '고을'의 의미가 됨. 또 다른 학설로 '巴' 부분을 천자(天子)가 제후(諸侯)에게 내린 부절(符節)로 보아 두 의미가 결합하여 제후가 있는 도읍지(都邑地)의 의미를 도출했는데, 후에 확대되어 사람들이 사는 '고을', '마을' 등의 의미로 보기도 함. 일반적으로 글자의 오른쪽에 위치할 때 부수의 변형이 일어나는데, 좌부방[阜(부)]과 구별하여 통칭 '우부방'으로 불림. 부수의 활용은 '지역'이나 '지방'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2자 0) 邑 (읍) 고을,근심하다,영지 : 邑村, 邑城 4) 那 (나) 어찌,편하다,많다 : 刹那 4) 邦 (방) 나라 : 友邦, 萬邦 4) 邪 (사) 간사하다,사기 : 邪惡,奸邪 (야) 그런가 6) 郊 (교) 성밖, 들,시골 : 郊外, 近郊 7) 郞 (랑) 사내,낭군,벼슬이름 : 郞君, 新郞
|
7) 郡 (군) 고을 : 郡守, 州郡 8) 部 (부) 거느리다,마을,떼,분류 : 部 隊, 部首, 部下 8) 郭 (곽) 밭재[외성],둘레 : 外郭, 城郭 8) 郵 (우) 우편,역말 : 郵便, 郵送 9) 都 (도) 도읍,도시,모두,거하다 : 都邑, 都心, 都市 10) 鄕 (향) 시골,고향: 錦衣還鄕,鄕愁 |
7-18,[164]
 (유) 닭 |
자원 : {象形字} 술을 담는 항아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가차(假借)되어 '열번째 지지(地支)'를 나타내 보통 '닭'의 뜻으로 말하지만 실제 의미는 '술[酒]'이나 술이 잘 익었다는 데서 '성숙하다', '익숙하다' 등의 의미임. 부수의 활용은 술과 관련된 의미나 발효(醱酵)시켜 만든 음식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7자 0) 酉 (유) 열째지지,익다 : 酉時 3) 酌 (작) 따르다,짐작하다 : 酬酌, 酌婦, 斟酌 3) 配 (배) 짝,귀양보내다 : 配匹, 配偶, 流配 3) 酒 (주) 술 : 淸酒,甘酒,斗酒不辭
|
8) 醉 (취) 취하다 : 醉生夢死, 宿醉 10) 醜 (추) 추하다,부끄러워하다 : 醜惡, 醜雜 11) 醫 (의) 의원 : 醫師, 醫院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7) 酸 (산)시다, 슬프다, 산소, 고되다 : 酸化, 酸素 |
7-19,[165]
 (변) 분별하다 |
자원 : {象形字} 짐승의 발톱이 갈라져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나누다'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후에 확대되어 '분별하다'는 의미로 쓰임. {指事字} 땅에 남아있는 짐승의 발자국을 본뜬 글자인데, 발자국으로 동물을 구별했기 때문에, '변별하다', '분별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분별하다는 의미로 활용되고 혹 발음부호[音符]로도 활용됨. [ 예) 番(번)차례 - 田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13) 釋 (석) 풀다,용서하다,버리다,일,쏘다,석가 : 釋放, 釋然, 釋迦
|
7-20,[166]
 (리) 마을 |
자원 : {會意字} 밭을 의미하는 '田'과 흙을 의미하는 '土'가 결합되어 농사를 짓는 토지가 있는 '마을', '촌락'의 의미가 됨. 부수의 활용은 마을과 주변인 교외(郊外) 등의 의미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부수 설정시에 자형(字形)에 따른 분류로 결정된 글자들도 있고, 또한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드는 역할을 하기도 함. [ 예) 理(리)다스리다 - 玉부수, 裏(리)속 - 衣부수, 鯉(리)잉어 - 魚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자 0) 里 (리) 마을,이 : 里程標, 洞里 2) 重 (중) 무겁다,중하다,거듭하다 : 輕重, 重要, 重疊
|
4) 野 (야) 들,민간,질박 : 廣野, 野談 5) 量 (량) 양,되,기량,헤아리다 : 測量, 力量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