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의 유래
조선민족들이 즐겨노는 윷놀이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농사의 풍흉을 점치고 개인적으로는 한해의 길흉을 점치는 점술도구로 시작되여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이어지면서 점차 놀이로 변화하여 오늘에 이르고있다.
윷놀이는 한자로 척사 또는 사희(柶戱)라고 한다. 또 윷을 나무 네쪼각이라는 뜻으로 한자로는 사(柶)라고 한다.
윷놀이가 소개되거나 언급된 문헌자료는 많다. 윷놀이는 부여(夫余)의 관직명인 저가(猪加), 구가(狗加), 우가(牛加), 마가의 이름을 본따서 만든 놀이로서 부여때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놀이라고 한다. 즉 저가는 돼지로서 윷의 도에 해당되고 구가는 개로서 윷의 개, 우가는 소, 마가는 말로서 모라고 하는데 대체로 짐승의 크기와 속도를 고려해서 순서를 정한것이다.
윷놀이의 유래와 의미를 살펴보면 옛사람들은 설을 앞뒤로 겨우내내 윷놀이를 즐겼다. 그야말로 남녀로소를 가리지 않고 쉽게 할수 있는 놀이이다. 남녀가 분간없이 두편 혹은 세편으로 갈라서서 윷가락을 던지고 떨어져나오는대로 행마해서 먼저 네개의 윷말(넉동)을 빼는 쪽이 이기는 놀이이다.
놀이풍속에 4말을 빼는것을 “넉동을 뺀다”고 하는데 말을 “동”이라고도 한다는것을 알수 있다. 이러한 윷놀이는 윷을 잘 던지기만 해서 이길수 있는것은 아니며 말판을 쓰는것도 매우 중요한 승리의 관건이다. 남의 말에 잡히지 않으면서 가장 가까운 길로 가되 자기 말끼리 덧놓아 “두동산”이나 “석동산” 많게는 “넉동산”을 만들어 한번에 움직일수 있게 되면 매우 빨리 나갈수 있는것이다.
윷판은 선과 29개의 검은 점을 찍어 그리는것이 일반적이지만 점대신 다른 모양이나 내용을 적어놓기도 한다. 윷판의 바깥둘레를 네모지게 한것은 하늘의 운기가 땅에서 이루어짐을 상징한것이라고 한다. 즉 천지음양의 합일한 모습으로 표현한것이다. 따라서 29개 점가운데의 한점은 북극성이고 둘레의 28점은 28수(宿)를 의미한것이다.
윷판에 올릴 말은 대개 한편에서 네개를 가지고 한다. 나무쪼각이나 돌이나 기타 열콩같은것으로 특별히 만든것을 상대편과 구별되도록 리용하였는데 윷이 나는데 따라 말을 옮겨놓는것을 “말을 쓴다”고 한다.
도는 돼지(豚), 개는 개(犬), 걸은 양(羊), 윷은 소(牛), 모는 말 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때 행마하는 법이 이들 가축의 이름이 리용되면서 몸의 크기와 걸음의 속도가 윷놀이에 반영된것이다.
윷판의 전체 주변이 둥근것은 하늘이고 중심에 십자를 그려 모남을 그린것은 땅을 나타낸다고 했다. 곧 천원지방(天元地方)의 천문사상을 표현했다고 한다. 해석은 다음과 같이 이어진다. 가운데 있는 별은 추성, 옆으로 벌려있는 별은 28수이다. 28수주위를 태양이 돌고있으므로(지구가 태양주위를 도는 리치를 달리 표현한 말) 하루가 생기고 일년이 이루어진다.
태양의 진행은 북쪽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가서 가운데를 거쳐 다시 북쪽으로 나오는데 동지의 해가 제일 짧음을 나타낸다. 즉 “도”에서 시작해서 “모”를 거쳐 방에서 빠져나가는 짧은 길은 동지를 의미하고 북쪽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들어가 서쪽으로 갔다가 다시 북쪽으로 나옴은 춘분의 해가 고름을 나타낸다. 즉 “도”에서 “모”를 지나 “뒤모”에서 방을 서서히 빠져나가는 길은 한낮에 이루어지는 춘분이고 북쪽에서 출발하여 동쪽과 남쪽을 거쳐 북쪽으로 나옴은 추분의 방이 고름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도”에서 “모”에 서고 “방”을 지나 “찌모”를 나간 다음 “참먹(끝밭)”으로 빠져나가는 길은 한밤에 이루어지는 추분을 의미한다. 북쪽에서 출발하여 동쪽을 거쳐 남쪽과 서쪽을 지나고 다시 북쪽으로 나옴은 하지의 해가 길다는것을 나타낸다. 즉 “도”에서 “모”, “뒤모”, “찌모”를 지나 한바퀴 크게 돌아서 “참먹(끝밭)”으로 빠져나가는 가장 긴 길은 하지를 의미한다.
곧 하늘의 별과 해에 따라 땅의 계절변화를 적용했음을 말하고있다. 이 원리에 따라 28수의 별자리를 배치했다. 그러므로 28수는 옛 기록에 적혀있는 순서대로만 배치하지 않았다. 이 설명에서는 윷판의 입구를 북쪽의 방향에서 설정해 풀이했으나 여느 사람들은 남쪽(아래쪽)을 출발점으로 삼아 놀이를 벌이는 경우가 많다. 아무튼 28수를 그린 윷판을 가지고 놀이를 벌이면 자연스레 별자리이름을 익히게 되는 교육적효과를 노린것이다.
옛날에는 주역 64패와 련계하여 윷패로 길흉점을 쳤는데 윷놀이는 단순한 승부를 겨루는 유희로만 진행된것이 아니였다. 농경사회에서 농사나 신수를 점치는 예언적의미로 변용되기도 했다.
그 방법은 여러가지였다. 한동네라도 웃마을 농민은 화전농이고 아래마을 농민은 수전농일 경우가 많다. 화전농과 수전농으로 패를 갈라 윷놀이를 벌인다. 이를 각기 산농 수향(水鄕)이라 부른다. 산농이 이길 경우 그해에 홍수가 져서 수향의 수확이 적고 산농의 농사짓기가 유리할것으로 여겼다. 산농들은 자기들이 이겼다고 술과 음식을 내서 즐긴다.
이와 달리 윷가락을 던져서 주역의 괘를 뽑아 신상에 관련된 일을 점치는 방법이 있었다. 이 점은 셋의 수를 기본으로 하였다.
윷을 던져 도는 1, 개는 2, 걸은 3, 윷과 모는 4로 정했다. 세번 모두 도가 나오면 그 수자는 111이 되고 도, 개, 걸이 나오면 123이 되며 걸이 세번 나오면 333이 된다. 또 모가 세번 나오면 444가 된다. 주역은 점서로 활용되였는데 8괘를 제곱해서 64괘를 만든다. 이 64괘가 주역의 기본을 이루며 그 괘마다에 내용이 적혀있다.
그것을 본따 윷점에서도 64괘에 따라 64가지 사항을 설정하고 간단한 점사를 적어놓았다.
111(도도도)괘의 경우 아이가 자애로운 어머니를 만난다)이다. 좋은 운수를 뜻하는것이다. 123(도개걸)괘는 깜깜한 밤에 초불을 얻는다이다. 곤경에 처했다가 좋은 일을 만난다는 뜻이다. 333(걸걸걸)괘는 나비가 꽃을 얻는다(胡蝶得花)이다. 제철을 만난다는 뜻이다. 444(슝슝슝)괘의 경우 형마다 아우를 얻는다(兄兄得弟)이다. 좋은 동조자를 얻는다는 뜻이다. 우에서 말한것은 모두 좋은 운수를 말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나쁜 조짐을 중간에 섞어놓았다. 112(도도개)괘의 경우 쥐가 곡간에 들어간다(鼠入倉中)로 재산이 축날 운수이다(반대로 먹거리가 풍부하다고 해석할수도 있다). 213(개도걸)괘는 활이 깃털화살을 잃는다(弓失羽箭)이다. 쓸모없는 일이 벌어진다는 뜻이다. 442(슝슝개)괘는 고기가 낚시바늘을 삼켜버린다이다. 아주 곤궁한 일을 만나게 된다는것이다. 윷점은 토정비결과 비슷한 점사를 깔아놓았다. 하지만 보는 방법은 더 간단하다.
토정비결에 따라 1년 신상을 점칠 때 나쁜 운수가 나오면 조심해야지 라고 생각하고 좋은 운수가 나오면 한번 기분좋게 웃는다. 윷점도 이와 다를바가 없다. 인간의 길흉을 1년단위로 예언해 사람들의 삶에 재미를 준것으로 리해하면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