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골공사>
*철골구조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형강
① C형강 ② H형강 ③ I형강 ④ L형강 ⑤ T형강 ⑥ Z형강
*형강 표시법 : 2L-100 x 50 x 6
- L형강 2개, 웨브높이 100, 플랜지나비 50, 두께 6
*철골공사 공장 작업순서
① 원척도 작성
② 본뜨기
③ 금 매김
④ 절단
⑤ 구멍뚫기
⑥ 가조립
⑦ 리벳치기
⑧ 검사
⑨ 녹막이 칠
⑩ 운반
*철골공사 용어
① 게이지 라인 : 한열의 리벳 중심을 통하는 선
② 드리프트 핀 : 리벳 구멍 중심을 맞추는 공구
③ 리이머(Reamer) : 리벳구멍 주위 가심질 공구
④ 뉴우매틱 해머 : 현장 리벳 치기 공구
*구멍 뚫기
① 펀칭 : 부재두께 13mm이하
② 드릴 : 부재두께 13mm이상
③ 리이밍 : 3장 이상 부재 겹칠 때 구멍지름보다 1.5mm 작게 뚫은 후 리이머로 조정
*용접기호 설명 ( -13-▷-50-150- )
① 병열단속 모살용접
② 다리길이 = 13mm
③ 용접길이 = 50mm
④ 피치길이 = 150mm
*V형 맞댄용접
① 개선각도 = 60°
② 홈깊이 = 18mm
③ 루트간격 = 3mm
*철골공사 용접결함 원인
① 전류, 전압의 과대
② 운봉속도의 과대
③ 용접봉의 습기
④ 트임새 각도 불량
*녹막이 칠 을 하지 않는 부분
① 고력볼트 마찰 접합면
②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
③ 조립에 의하여 면 맞춤 되는 부분
④ 현장용접을 하는 부위 및 인접 양측 100mm 이내
*철골부재 접합방법
① 리벳접합 ② 고장력 볼트접합 ③ 용접접합
*특수형 고장력볼트 종류
① TC 볼트식
② PI 너트식
③ 고장력 Grip 볼트식
④ 지압형 볼트식
*리벳 접합 순서
① 접합부 ⇒ ② 가재 ⇒ ③ 귀잡이
*너트풀림 방지법
① 시멘트에 매립
② 이중너트 사용
③ 너트를 용접
④ Spring washer 사용
*철골공사 용어
① 철골부재 용접시 이음 및 접합부위의 용접선이 교차되어 재용접된 부위가 열영향을 받아
취약해지기 때문에 모재에 부채꼴 모양의 모따기를 한것 (Scallop)
② 철골기둥의 이음부를 가공하여 상하부 기둥 밀착을 좋게 하며 축력의 25%까지 하부 기둥
밀착면에 직접 전달시키는 이음방법 (Metal touch)
③ Blow hole, Crater 등의 용접결함이 생기기 쉬운 용접 bead의 시작과 끝 지점에 용접을 하기 위해
용접 접합하는 모재의 양단에 부착하는 보조강판 (End tab)
*용접 접합의 장점
① 소음, 진동이 없다
② 강재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③ 접합부의 강성이 크며, 응력 전달이 확실하다
④ 일체성, 수밀성이 크다
*용접봉 피복제(flux) 역할
① 용접시 Gas가 용접아크 주위 보호(산화, 변질 방지 등)
② 함유원소를 이온화해 아크를 안정시킨다
③ 용착금속에 합금원소를 가한다
④ 용융금속의 탈산 정련한다
⑤ 표면의 냉각, 응고 속도를 낮춘다
*용접 모양에 따른 명칭
① 맞댄용접
② 겹친 모살용접 (~60°, 120°~ 겹친용접 / 60°~120° 모살용접)
③ 모서리 모살용접
④ T형 양면 모살용접
⑤ 단속 모살용접
⑥ 갓 용접
⑦ 덧판 용접
⑧ 양판 덧판용접
⑨ 산지용접
*용접 결함의 종류
① Slag 감싸들기 : 용접시 생긴 slag가 용착금속내에 혼입
② Under cut :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은 빈틈
③ Over lap : 용접금속과 모재가 융합되지 않고 단순히 겹치는 것
④ Blow hole : 방출 되어야 할 가스가 남아서 생긴 기포
⑤ Crack : 용착금속의 급냉 등으로 용접 부위가 갈라짐
⑥ Crater : Arc 용접시 끝부분이 항아리 모양으로 패임
*용접 용어설명
① Root : 맞댄용접의 트임새 간격
② 목두께 : 용접부의 최소 이음두께
③ Bead : 용착금속이 용접된 용접층
④ Weaving : 용접방향과 직각으로 용접봉을 움직이는 운봉법
⑤ Spatter : 용접중 비산하는 Slag 및 금속 입자가 경화한 것
⑥ Flux : 자동 용접시 용접봉의 피복재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
*철골 현장 세우기 시공순서
① 기초 주각부 심먹 매김
② 앵커볼트 설치 및 매립
③ 기초 상부 고름질
④ 세우기
⑤ 가조립
⑥ 변형 바로잡기
⑦ 정조립
⑧ 본 접합
⑨ 접합부 검사
⑩ 도장(칠)
*설명하는 공구 및 기구 명칭
① 펀치 또는 드릴로 뚫은 구멍의 지름을 정확하고 보기좋게 가다듬는 공구 (리이머)
② 리벳치기 공구의 일종으로 불에 달군 이벳을 판금 구멍에 넣고 그 머리를 누르면서 받쳐주는 공구
(리벳 홀더)
③ AE제 계량장치 (디스펜서)
④ 거푸집 긴장철선을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와이어 클리퍼)
⑤ 종방향의 미세한 변형량을 시계형으로 확대시켜 정확한 침하량을 측정하는 기구로써 지내력 시험에
이용되는 기구 (다이얼 게이지)
*용어해설
① 강재 접합부의 구멍맞추기에 쓰는 끝이 가늘게 된 공구 (Driff pin)
② 볼트를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강력하게 조이는 기계 (Impact wrench)
③ 고력볼트와 같이 일정한 값 이상의 연결력을 요하는 볼트의 연결 또는 검사에 사용
(Torque wrench)
④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의 시발부와 종단부에 임시로 붙이는 보조강판 (End tab)
⑤ 철골 부위의 부재간을 정밀가공하여 밀착시키는 것 (Metal touch 가공)
⑥ 용접부위가 타부재 용접 접합시 재용접 되어서 열영향부의 취약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곡선 모따기를 하는 것 (Scallop)
⑦ 콘크리트, 철재 등에 특수 못(드라이핀)을 압력을 이용해 순간적으로 쳐 박는 기계 (드라이 비트)
⑧ AE제의 계량장치 (디스펜서)
⑨ 압연 강재가 냉각될 때 표면에 생기는 산화철의 표피 (Mill Scale)
⑩ 산소 아세틸렌 불꽃으로 홈을 판 후 뒷부분을 깨긋하게 깍는 것 (가스 가우징)
⑪ 콘크리트와 합성구조에서 양자간에 발생하는 전단력을 전달 및 보강하는 연결재
(Shear connector)
⑫ H형강, I형강의 Web 부분의 전단력 보강과 좌굴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보강재 (Stiffener)
⑬ 콤프레샤를 이용 노즐에서 압축공기를 고속으로 뿜어 모래와 연머분을 사용 철골표면의
녹, 오염을 제거 (Sand blast)
⑭ 보의 웨브 부준을 육각형 단면으로 잘라서 어긋나게 용접하여 보춤을 높인 철골보
(Honey comb beam)
⑮ 철강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하여 공인된 시험기관에서 인증한 제조업체의 품질 보증서
(Mill sheet)
⑯ 구조체의 서로 상호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 변위 (층간변위)
*파이프 구조의 건축물 장점
① 폐쇄 단면으로 강도의 방향성이 없다
② 휨강도, 비틀림 강성이 우수하다
③ 국부좌굴, 가로좌굴에 유리하다
④ 살 두께가 적고 경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