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하우저(A. Hauser 1892-1978), 백낙청옮김, 창작과비평사, (M nchen 1953) 2005(1999).
영역본 The Social History of Art, Knof; Routledge & Kegan Paul, 1951.
독일원본 Sozialgeschichte der Kunst und Literatur, C.h. Beck, 1953.
제 4권 자연주의 인상주의 영화시대
제1장 자연주의와 인상주의
1. 1850년의 시대
(스땅달의 소설『적과 흑』의 주인공) 줄리앵 소렐(Julien Sorel)과 마띨드 드 라 몰
르(Mathilde de la Mole), (발자끄의 『잃어버린 환상』의) 루시앙 드 뤼방프레(Lucien de
Rubempr ), (발자끄의 『고리오 영감』의) 라스띠냐끄(Rastignac)는 서양 문학에서 최초의
근대인, 우리 자신의 최초의 정신적 동시대인이다. ... 1830년대의 스땅달에서 1910년대의 프
루스트(M. Proust)까지의 정신적 전개가 하나의 유기적 동질성을 유지했음을 우리는 증언할
수 있다(IV 14).
낭만주의조차 이미 중간 계급의 해방없이는 생각될 수 없었을 본질적으로 부르즈와
적인 운동이었으나, 낭만주의자들은 때때로 오히려 극히 귀족적인 행동을 했고 여전히 자기
들의 독자로서 귀족에게 호소하려는 생각에 빠지기 일쑤였다. ../.. 그러나 시민계급의 해방
이 완수되는 것과 때를 같이하여 이미 정치 참여를 위한 노동자 계급의 투쟁도 시작된다. ...
1830년 이후 사건들이 비로소 그들의 눈을 뜨게 하고 자기들의 권리를 쟁취하는 데 있어서
결코 다른 계급이 기댈 수 없다는 확증을 마련해주었다. ... '예술을 위한 예술'은 그 최초의
위기를 겪게 되고, 그리하여 이제부터 예술지상주의는 고전주의의 이상주의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부르즈와적' 및 '사회적' 예술의 공리주의에 대해서도 싸우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15).
[이 시기에 어떤 계층 어떤 계급 어떤 취향이든] 부르즈와 독자들을 만족시키려고
애썼다. 프롤레타리아 독자층은 존재하지도 않았고, 또 설사 있다 하더라도 그들의 존재는
이 작가들을 당혹하게 할 뿐이었기 때문이다(17).
[1830년대 소설의 주인공들], 그들이 느낀 환멸감과 염세관, 그들의 고독감과 세상
에서의 소외감은 이상의 실현에 대한 포기로, 현실사회에 대한 경멸로, 때로는 일상적 규범
과 인습에 대한 절망적 냉소주의로 변한다(19).
7월 왕정은 상공업의 융성기이며 개화기이다. 돈이 공적 사적 전생활을 지배하여,
모든 것이 돈 앞에 굴복하고 돈에 봉사하며 돈에 의해 더렵혀진다(발자끄가 묘사한 그대로,
또는 거의 그대로)(21). [돈으로 환원되는 시기는 형식이 지배하는 시기이며, 사용보다 교환
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시기이다. 1830년대 이후의 프랑스의 사회상이다.]
80년 동안 정부는 또끄빌(A. de Tocqueville)의 말처럼 일종의 '상사(商社)'를 대변
했는데, 왕과 의회와 행정부는 기름진 부분을 나눠먹으며 정보와 충고를 교환하고, 영업과
이권을 주고 받으며 주식과 금리 어음과 저당증권에 투기를 했다(21). [우리나라도 요즘 국
가기업이되어 재벌과 의회와 행정관리가 기름진 이익부분을 나눠먹으며..... ]
1831년의 리용 봉기..., 그것은 1832년 처음으로 붉은 깃발이란 상징을 들고 나온 저
대중운동의 서곡이요 시작인 것이다. [들라크르와(Eug ne Delacroix 1798-1863)의 「인민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La Libert guidant le peuple, 1830」 (Louvre, Toile, H.2,60xL.3,25)에
서 마들렌은 오른 쪽 손에 삼색기(적백청)를 치켜들고 왼손에는 장총을 잡고 있다.]
[1948에 이르러] 민중은 승리했고, 그리하여 예술에서도 혁명적 전환이 문제가 된다
(31).
1843년은 뽕사르(F. Ponsard)의 『뤼크레스(Lucr ce)』가 성공하고 위고의 『성주
(城主, Burgraves)』가 실패한 시기인데, 그것은 위고에 대한 뽕사르의 승리일 뿐만아니라
나아가서 스땅달과 발자끄와 들라그르와(F.V.E. Delacroix)에 대한 스크리브와 뒤마와 앵그
르(J.A.D. Ingres)의 승리를 의미했다. [뤼크레스는 철학자인가??] 부르주와지는 예술에서 감
동이 아니라 즐거움을 기대하며, 문학자에게서 '예언자'가 아니라 '위안물'을 찾는다. ... 사람
들이 원하는 것은 만족과 안식이며, 비정치적인 '순수한'예술을 보는 입장에도 이에 상응하
는 변화가 일어난다(32).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구호는 낭만주의에서 유래했고 자유를 위한 투쟁의 한
수단을 대변한다.
예술작품의 가장 불가사의한 역설은 ... 역사적 사회학적으로 제약을 받는 구체적인
감상자층에 의존하면서 동시에 도대체 대중을 안중에 두려고 하지 않는 것 같이 보인다는
데에 있다. ... 하나의 테제, 하나의 도덕적인 목적, 하나의 실제적인 의도에 의해서 환영[환
각]을 파괴하는 것은 한편으로 순수하고 몰입적인 예술 감상을 방해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관객이나 독자의 전존재를 휘어잡으면서 그들이 진정으로 작품에 참여하도록 한다(35).
자연주의는 낭만주의의 연장이며 그 해체이고, 스땅달[Stendhal, Marie Henri
Beyle, 1783-1842]과 발자끄는 낭만파의 가장 정통적 상속자이면서 가장 강경한 반대자이기
도 한 것이다(36). ../.. 그들의 자연주의는 그러니까 현실 전반, '자연'이나 '인생' 일반을 목
표로 삼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사회존재 즉 이 세대들에게 특히 중요해진 현실의 영역을
목표로 삼는다(37).
그(스땅달)에게 있어 사회문제는 교육을 통해서 뿌리가 뽑힌 하층계급 출신의
야심에 찬 젊은이들의 운명의 문제이다. ... 한편으로는 혁명이 제시했던 기회에 또 한편으로
는 나뽈레옹의 성공에 현혹되어 자기들의 재능과 야망에 합치되는 사회적 역할을 맡겠다고
나선 젊은이들의 운명이야말로 당대의 핵심적인 사회문제라는 것이다(45)
그가 동정한 것은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 전부가 아니라, 오히려 재주있고 감수성
이 예민한 사회의 서자들, 냉혹한 지배계급의 희생자들이다(47). [우리나라 신화, 그리고 허
균(許筠, 1569-1618)의 『홍길동전』,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허생전』]
2. 제2 제정기의 문화 - 76
다음세대의 작가들... 그들의 자기 억제는 17세기나 18세기 작가들의 개관성과는 전
혀 다른 것이다. 고전주의 시대의 작가들은 독자들에게 오락이나 교훈을 제공하거나 인생의
어떤 문제에 관해 그들과 이야기를 나누려 했었다. 그에 반해 낭만주의 이래로 문학은 작가
와 독자 간의 대화나 토론이 아니라 작가가 자기 자신을 드러내고 예찬하는 행위로 변했다
(76).
1789년과 1830년에 그러했듯이 이번에도 혁명은 극도로 활발한 지적 활동과 업적의
시기에 뒤이어 일어났다가 역시 결국에는 민주주의와 지적 자유의 패배로 끝났다(77). 반역
의 승리는... [반대 그룹을] 반역으로 규탄하는 태도, ...어느 시대에도 맛보지 못한 분열을 가
져왔다. 여기서 처음으로 오늘날까지 해결되지 않은 복종과 반항정신의 갈등이 지식인들 가
운데 생겨났고,...(77)
180년대 이래로 ... 사치품에 대한 수요와 오락에 대한 갈증이 과거 어느 때와 비교
할 수 없이 더 커지고 널리 퍼지게 된다(78). [오락이 예술의 담론에 들어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것은 19세기 말에 형이상학의 종말과 의미(기호학의 파라독스)론의 대두에서
도 보여질 것이고, 회화의 해체와 표현주의 등장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제2제정기는 절충주의의 고전적 시대라 할 수 있다. 건축과 산업 예술에서 아무 독
자적인 스타일이 없으며, 회화에서도 스타일의 통일성이 없는 시대인 것이다(79). [다양성의
시대로 들어섰다는 것이다]
여하튼 여기서는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예술적 운동을 묶어서 자연주의라고 부
르고, '리얼리즘'의 개념은 낭만주의와 그 이상주의 내지 관념주의에 대비되는 세계관을 지
칭하는 데 쓰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 자연주의는 실상 새로운 습관을 지닌 낭만주의
이다. ... 19세기 후반에 자연주의적 예술이 지배적 위치에 서게 된 것은 관념론과 전통주의
의 정시에 대한 과학적 세계관 및 합리주의적 기술중심적 사고 방식의 승리에 따른 징후일
땨름이다(81). ../.. 모든 이상과 유토피아가 실패하고 난 후 이제 사람들은 사실에, 그리고
오로지 사실에만 집착하고자 한다(82). [이런 시절에서 사실을 실재라고 부르지만 현실이다.
이 실재의 내용성으로서 즉 강도성으로서 기억(무의식)에 대한 낌새를 알아차린 철학자는
니체일 것이다.]
꾸르베[Gustave Courbet, 1819-1877]가... 수많은 혁명과 사회적 혼란에도 불구하고
1850년까지는 거의 변함없이 유지되었던 심미적 이상을 배격함으로써 새로운 인간과 새로운
생활질서[공동체]를 위해 투쟁하고 있음을 보수 평론가들은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86).
낭만주의자들이 성스러운 숲의 시를 그렸다면 자연주의자들은 시골생활의 산문을
그린 셈이다(87). [전자는 고전주의 이래로 아르카디아의 이상으로서 목가적이라면, 자연주
의자는 도시와 부르즈와 정원을 벗어나(전원시적 풍경을 벗어나) 시골의 삶 그리고 소외된
삶을 그대로 서술한 셈이다. 시는 귀족과 지식인의 것이라면, 산문은 서민의 삶과 애환(哀
歡)을 담고 있다.]
석판인쇄가 하나의 예술로서 등장한 것... 그것은 문학에서 연재소설을 통해 이루어
진 예술 감상의 민주화와 일치하는 경향일 뿐 아니라 대중성과 저널리즘이 예술적으로 훨씬
높은 차원에서 거둔 승리를 의미한다(88). [마찬가지로 사진예술의 등장으로 동일 복사품의
대량복사도 새로운 감상자층에게 민주화의 의미를 불어넣을 것이다. 게다가 영화는 더욱 더
넓은 층을 확보할 것이다. 그래도 여전히 본성을 드러내려는 일부는 존속한다. 이들은 신비
가이며, 새로운 삶을 개척하는 선구자이며, 선지자이다.]
그러나 자연주의자들은 정말 당시의 세계를 대표하는가? ... 아니었다. ... [어느 시
대에도 자연주의 자체가 그 시대상을 대표하지는 못한 것 같다. 왜냐하면 인민이 자유를 실
행할 수 있는 터전 자체가 없었고, 또한 스스로 자유를 누릴 강도(intense)도 모자랐기 때문
이다. 그 시절이 언제 올지 모르지만, 그 길로 가고 있다는 느낌은 부질없는 것은 아닐 것
이다.] ...현대예술은 실향민 신세가 되고 모든 실제적 기능을 상실하기 시작했다. [인간은 언
제나 떠돌이 실향민이다. 그래서 불교사고(四苦)의 첫 번째는 수도하는 걸승(乞僧)이라고 하
지 않았던가? 인격은 태어난 것 자체 살아가는 것 자체로서 걸승과 같다.]
새로운 감정의 미학은 종전의 '깔로까가티아' 이상의 새로운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은 정신생활에서 윤리적으로 값있는 요소와 감정적으로 자연발생적인 요소가 동일하다
는 가정에서 근거하고 있으며, 선과 미 사이의 어떤 신비적 조화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
'예술을 위한 예술'에 대한 부르주와지의 태도는 또 한번 바뀐 셈이다(94).
3. 영국과 러시아의 사회소설 - 133
이처럼 인간을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icus 경제적 인간)로 환원하려는 데
대한 이상주의자들의 항의는 직접적 체험현시에서 추상된 사고와 합리주의에 대해 낭만주의
적 '생의 철학'(Lebensphilosophie), 즉 삶이란 논리적으로 다 파헤쳐지거나 이론 틀에 종속
될 수 없다는 신앙이 언제나 제기하는 항의였다. ...공리주의[중상주의 경제학]에 대한 반동
이 제2의 낭만주의를 낳았는데, ... 버크(E Burke 1729-97)와 코울리지(S.T. Colerige)와 독
일 낭만주의의 비합리주의로 도피하려는 충동이 훨씬더 큰 역할을 했다(IV 136).
빅토리아 시대의 일련의 대표적 사회비평가들 중에서 제3의 인물인 윌리엄 모리스
(William Morris)는... 예술의 운명을 사회의 운명에 결부시킨 러스킨의 이론에서 최종적 결
론을 끌어내어, "사회주의자를 만드는 것"이 훌륭한 예술을 만드는 것보다 더 긴급한 일이
라는 확신에 이르렀다(143).
디킨즈(Ch. Dickens)는 생활과 자연을 충실하게 묘사하는 사실적 예술의 한 대표자
요 '자잘한 진실들'을 나열하는 수법의 완벽한 대가일 뿐아니라, 영국 문학에 그 중요한 자
연주의적 업적을 보태준 예술가이다(157).
시민계급 및 이에 따른 모든 사회적 연계로부터의 지식인의 외관상의 독립은 부르
즈와지와 지식인이 다 같이 품은 환상 즉 정신의 초계급성이라는 환상에 대응되는 또 하나
의 환상이다. ... 그러나 '예술을 위한 예술'과 마찬가지로 학문을 위한 학문 또는 진리를 위
한 진리는 다만 실무로부터의 지식인의 소외의 산물일 뿐이다(164).
그들은(러시아의 슬라브파) 서구파의 세계주의와 무신론적 자유사상에 대항하여 민
족적 종교적 전통의 가치를 강조하며 러시아 농민에 대한 신비주의적 신앙과 러시아 정교회
에 대한 충성을 천명한다(169-170).
[러시아에서] '인민'이라는 뜻도 되고 '민족'이라는 뜻도 되는 '나로드'(narod)라는 단
어 자체가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자의 구별을 흐려버릴 수 있게 해주었다(171). 원주 172.
E.H. Carr, Dostoevsky, 1931, 286.
도스또에프스끼는 이렇게 선언한다. "나는 예술에서 무엇보다도 리얼리즘을 사랑한
다. 환상적인 것에 접근하는 리얼리즘을... 현실보다 더 환상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것이 어
디 있겠는가? 아니, 현실보다 더 있기 어려운 일이 어디 있겠는가?"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
에 대한 이보다 더 정확한 정의는 없다(187). [현실(actuel)자체가 미래를 예견할 수 없는 우
연(hasard)이다. 이점에서 현실(사실, 실재)주의야 말로 비예견적이며 표현주의이다. 이 현실
의 덩어리로서 실재(le r el)는 과거의 총체이며 무의식의 총체에서 겉으로 표현된 것이다.
이 덩어리야말로 현실을 넘어섰다는 점에서 초현실주의의 예술의 세계이다. 초현실주의와
표현주의는 한덩어리의 내부와 표면의 관계에 지나지 않는다. - 작가는 스스로 내면으로자
처하고 작품을 외면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 표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몸이고 그
리고 몸을 통해(손이든 발이든 머리든) 밖으로 조형예술로 표현한 것은 그 다음차원이자. 이
다음의 차원에는 운동기제만이 아니라 감각기제의 운용이 함께 들어있다.]
그러나 『안나까레리나』를 집필하는 도중 그[톨스토이]는 이러한 낙관주의를, 그리
고 무엇보다도 예술에 대한 믿음을 잃어버렸다. 그리하여 그는 예술이 현대 자연주의와 인
상주의의 섬세하고 세련된 면을 모두 버리고 하나의 사치품에서 만인의 공유물로 되돌아 오
지 않는 한 전혀 무용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해롭기까지 하다고 선언한다(197). ../.. 다만 상
상하기 힘든 것은 『안나까레리나』와 『이반 일리치의 죽음』같이 예술적으로 복잡 정교
한 작품을 창조한 작가가 어떻게 현대 문학을 통틀어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이외에는 오직 쉴러의 『군도(群盜 Die R uber)』, 위고의 『레 미제라블(천민들,
賤民, Les Mis rables)』, 디킨즈의 『크리스마스 캐럴(Christmas Carol)』, 도스또예프스끼
의 『지하 인물의 수기』 그리고 죠지 엘리어트의 『아담 비드(Adam Bede)』만을 아무런
유보없이 인정할 수 있었는가 하는 점이다(198). (원주189: L.N. Tolstoi, What is Art?,
XVI.).
4. 인상주의 - 199
인상주의는 유례없이 도시적인 예술인데, ... 그림을 시골에서 도시로 옮겨왔기 때문
만이 아니라, 세상을 도시인의 눈으로 보고 현대적 기술인의 극도로 긴장된 신경으로 외부
세계의 인상들에 반응하기 때문이다(201).
인상주의 방법은...헤라끌레이또스적 세계관을 표현하려고 하며 현실이란 존재가 아
니라 생성이요, 결정된 상태가 아니라 움직이는 과정임을 강조하려 한다. 모든 인상주의의
그림은 존재의 '영구운동'(perpetuum mobile)에서 어느 한 순간을 포착하며 서로 갈등하는
힘들의 유희적 운동에서 위태롭고 불안정한 균형상태를 묘사한다. 인상주의적 시서는 자연
의 모습을 생성과 소멸의 한 과정으로 변모시킨다(202)
인상주의의 방법: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으로, 전형적인 것에서 개별적인 것
으로, 추상적인 관념에서 시간적 공간적으로 규정된 구체적 체험으로 나아감을 자연주의라
고 한다면, 인상주의의 현실묘사는 순간적 일회적인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자연주의의 중
요한 성과에 포함시킬 수 있다. ... 이전의 모든 예술이 종합의 결과이라면 인상주의는 분석
의 결과이다. ... 인상주의는 작품에 묘사된 것이 곧 현실자체와 같다는 착각[환각주의]을 자
연주의보다 덜 불러일으킨다(204). [인상주의 시대 자체가 베르그송의 경험의 구체성과 같은
시기이다.]
[첫째] 이전의 예술에 비하여 자연주의는 구성요소의 증가라는 점에, ... 인상주의적
방법은 이와 달리 일련의 환원작용을, 체계적인 제한과 단순화를 가져온다. ... 일련의 환원
작용은 우선 그리고자하는 대상의 요소를 순전히 시각적인 것에 국한시키고 시각성이 없거
나 시각의 범주로 옮겨질 수 없는 일체의 것을 배제함으로써 시작된다. 우화나 일화 같은
이른바 주제의 문학적 요소에 대한 포기는 이러한 '회화 특유의 수단에 대한 자각'을 가장
뚜렷이 나타낸다(204-205).
[둘째] 촉각의 형상을 시각의 형상으로 대체하는 일, 다시 말해서 물체의 양감과 공
간적 조소(彫塑)적 형태를 평면으로 옮기는 일은 인상주의가 자연주의적 현실 상에 가한 일
련의 환원작용에서 새로운 '회화적' 의욕과 결부된 두 번째의 발걸음이다. ... 인상주의는 현
실을 이차원적 평면으로 환원시킬 뿐만 아니라 이차원 속에서 형체없는 점들의 체계로 환원
시킨다(205) ... 물론 인상주의는 여러 세기 동안 진행되어온 불명료화 과정의 마지막 한걸음
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은 점점 불투명해지고 현실과의 관계는 점점 더 복잡하게 착종되어
온 것이다(206). [형체없는 불명료화 속에서 작업 - 메를로퐁티의 철학적 표현과 닮았다.]
[세째] 마지막으로 인상주의적 방법은 한걸음 더 나아가 색채를 어느 특정한 대상
에 결부된 구체적 성질로서가 아니라 추상적인 무형의 비물질적 현상으로서 - 말하자면 색
체 그 자체로서 - 보여줌으로써 일상적 현실상에 매우 가차없는 환원작용을 야기한다
(206-207).
뽈 부르제(Paul Bourget)가 당대의 문학양식에 관하여 각 페이지의 인상이 언제나
책 전체의 그것보다 더 강하고 문장 하나하나의 인상이 한 페이지의 그것보다 더 깊으며 개
개 단어들의 인상이 한 문장의 그것보다 더 박력있다고 말했을 때, 그가 지적한 것은 바로
이러한 인상주의 방법(원주 208), 즉 미분화된 역동적 세계관의 양식인 것이다(208). (원주
208: E. et J. de Goncourt, Journal, ed. by Flammarion/Fasquelle, III, 221(1869년 5월 21일
자 일기). [여기서 미분화된 역동적 세계관은 잘 표현한 것이리라. 그리고 세분화가 전개되
고 있었으리라. 그러나 이 미분화은 단위 설정을 인간의 지각이하의 단위로까지 내려가지
않은 마지막 세대의 작업이었다. 이 다음부터는, 언어학에서 소쉬르처럼, 미세 부분으로까지
내려가면서 감각기관이상의 예술 즉 지각예술이 회화에 들어와야 할 것이다. 이 지각예술은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을 그리는 것으로 존재에 대한 인식을 가진 감상자의 눈에는 애
매한 것으로 지각되나, 그 자체가 존재한다는 것은 부정되지 않는다. 지각 예술은 베이컨(F.
Bacon)의 포착적(haptique) 파악에서 구현 될 것이다.]
인상주의는 단지 그 시대의 모든 예술장르를 지배한 하나의 시대양식일 뿐 아니라
또한 보편 타당한 '유럽적' 양식으로서도 최후의 것 - 취미의 전반적 합의에 근거를 둔 마
지막 예술경향이다. 인상주의가 해체된 이래 여러 다른 예술장르들 또는 여러 다른 국가와
문화들을 양식상으로 통합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208).
[이 화가들은] 개인의 독자성과 고독감에 뿌리를 둔 이런 내밀한 에수을 산출했다
는 것... 낯선 사람들의 떼거리 속에서처럼 외롭고 버림받은 느낌이 강한 경우도 없다. ... 한
편으로는 남이 봐주지 않는 데서 혼자 있다는 느낌과 다른 한편으로 번잡한 교류와 끊일 사
이 없는 움직임과 쉴새없는 변화의 인상이 가장 섬세한 기분과 가장 신속한 자극의 교체를
결합시키는 인상주의적 생활감정을 낳게 되는 것이다. ... [그럼에도] 쌀롱전에서 인정을 받
으려고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209). [요즘의 시간강사도, 논문 쓰고 번역하고 또
한 저술을 낸다. 인정을 받아야 한다는 것은 중요하다. 이것이 학계의 인정이라기보다 인민
의 삶의 터전에서 작업 즉 노동의 결과를 소중히 하는 것일 때, 보람 있는 것이다.]
사람들이 자연주의에서 용서할 수 없었던 것 또는 용서할 수 없는 체했던 것은 무
엇이었는가?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자연주의는 거칠고 야비하고 음탕한 예술이며, 무미건조
한 유물론적 세계관의 표현이요, 서투르고 과장된 민주주의의 선전 도구이며, 범속하고 조잡
하고 진부한 것의 집합이었다. ... 자연주의는 파괴적이요 반자연적이며 인생에 적대적이라는
것이다(218).
심미주의는 인상주의 시대에 와서 발전의 절정에 달한다. 그 특징적 성격들, 즉 인
생에 대한 수동적이요 순전히 관조적인 태도, 체험의 덧없음과 불확실성 및 쾌락주의적인
감각주의는 이제 예술 일반의 평가기준이 된다(219).
창년에 대한 동정은 데까당과 낭만파에 공통된 것으로서.... . 창녀는 뿌리뽑힌 자요
사회에서 쫓겨난 자이며, 사랑의 제도적 부르즈우적 형태에 반항할 뿐아니라 사랑의 '자연
적'인 정신 형태에 대해서도 반항하는 반역하들이다. ... 창녀는 격정의 와중에서도 냉정하고,
언제나 자기가 도발시킨 쾌락의 초연한 관객이며, 남들이 황홀해서 도취에 빠질 때에도 그
녀는 고독과 냉담을 느낀다. 요컨대 창녀는 예술가의 쌍둥이인 것이다(226).
니체와 프로이트가 그들의 이론을 형성함에 있어 맑스에 대해 어느 정도 달고 또
생각했는지는 몰라도, 그들의 폭로작업에 동원된 사고 방식은 역사적 유물론에서 처음 쓰인
사고 방식이었다(262). ... 맑스의 역사철학 전체의 기초가 되는 이론의 핵심은 계급적으로
분화되고 분열된 사회에서는 올바른 사유라는 것이 애초부터 불가능하다는 통찰이다. [분화
되어 상부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올바른 사유란 불가능하다. 즉 수구 꼴통의 분열
증과 그리고 분열을 편집증으로 만든 사회에서 철학적 사유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문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은 문화가 기존에 대한 저항을 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제2장 영화시대 285
20세기의 거대한 반동의 물결은 ...르네쌍스 이래 다른 어느 스타일 변화보다도 더
심각한 예술 사상의 단절을 가져왔다. .... 이러한 의미에서 인상파 예술은 400년 이상 계속
되어온 발전과저의 정점이자 종착점이었다. ... '현실의 환영'을 추구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포
기하고 [실재의 모방을 포기하고] 자연대상의 고의적인 왜곡을 통해 자신의 인생관을 표현
하려고 한다. [자신의 실재 즉 몸의 실재를 생성그대로 즉 왜곡 변형 압축 이전 등을 통해
표현하는 동물되기를 실현한다.] ../..인상주의 이후의 예술은 ...일종의 마술적 자연주의아로
이야기 할 수 있을뿐이다. 브라끄(G. Braque), 샤갈(M. Chagal) 루오(G. Rouault) 삐까소(P.
Picasso) 앙리 루쏘(Henri Rousseau), 쌀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등 ... 현실과 양립하지
않는 어떤 존재양식이 표현되어 있는 것이다(289). [사실은 존재의 이중화(d doublement)이
며, 인격의 분열이다. 이 인격의 분열은 현실과 대립되는 자신의 욕망이 전재되고 있으며,
또한 자신의 실재 자체가 다양하다는 것도 전제되어 있다. 이 다양성의 실체로서 자아는 현
재의 현실과 다른 모습을 드러낸다. 이 다른 모습을 초현실 또는 무의식의 세계, 보이지 않
는 것의 현실화, 인격의 애매함, 또는 혼돈적 질서 등으로 표현한다고 하더라도, 자아의 실
체를 규정할 수 없다는 사실에 대한 표현(기표)에 지나지 않는다.]
장 뽈랑(Jean Paulhan)은 ... 두 부류로 구별하였다. [하나는] 시원적 영감에 호소하
는 언어파괴자들을 '테러리스트'들이라 부른다. ...이들을 베르그쏭과 연관시켜... 이들 노력에
는 베르그쏭적 직관주의 및 '생명의 도약' ( lan vital)이론의 영향이 관련되어 있음을 밝혀
냈다. [다른 하나는] 달변의 예술가 즉 '수사가'들이라 부른다. ... 말라르메와 같은 상징주의
자들 ... 그들을 시인으로 만드는 것은 '언어의 마술'에 대한 일종의 신비주의적 신앙이었다
(293-294). [전자에 들뢰즈가 속하는 테러리스트이고, 후자에 라깡이 속하는 수사가 일 수
있다.]
조이스(James Augustine Aloysius Joyce 1882-1941)의 『율리시스(Ulysses, 192
2)』와 엘리어트(Eliot, Thomas Stearns, 1888-1965)의 『황무지(荒蕪地, The Waste Land,
1922)』는 1922년에 동시에 발표되어 새로운 문학의 대조적인 두 가지 기본 음정을 들려주
었다. 조이스의 소설은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의 방향으로, 엘리어트의 시는 상징주의와 형
식주의 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두 작가에게서 다 주지주의적 태도를 볼 수 있지만, 엘리어트
작품의 핵심을 이루는 것은 '교양경험'인데 비해 조이스 경우는 '원초체험'이다(295).
새로운 시간 개념의 기본 요소는 '동시성'이며 그 본질은 시간적 요소의 공간화인
데, 이러한 시간개념은 제일 나이 어린 예술이고 베르그쏭의 철학과 거의 같은 시기에 탄생
한 장르인 영화예술에서 가장 인상적으로 표현되었다(301). [베르그송은 실재를 파악하는데
동시성을 불편한 것이다. 그러나 영화는 세월이 지나면서 동시성을 통해 실재의 다양성을
눈에 볼 수 있게 해주고, 장외장면 효과로서 무의식 또는 모호한 실재를 드러내는 중요한
도구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이점에서 기억의 발현을 표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우리는 다른 장르에서는 오직 공간 속에서만 자유롭게 움직이는데, 이제 영화에서
는 시간 속에서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게 된 것이다. ... 시간은 한편으로는 그 연속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그 고정된 일방통행적 성격을 잃어버린다. 클로즈업으로 시간을 정지시킬
수 있는가 하면, 플래시-백(flash-back)으로 거꾸로 돌릴 수도 있다. 회상하는 장면을 통해
서 반복도 가능하다. ...훌쩍 건너뛸 수도 있다. ... 이중노출이나 장면 교체의 몽따주를 통해
동시에 제시해보일 수도 있다(303).
영화와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베르그쏭적 시간 개념을 우리는 현대예술의 모든 장르
와 경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신 활동 과정이 대위법과 그 내면적 상호연관의 음악적 구
조를 발견한 것은 베르그쏭이다(IV 309).
모든 예술은 혼돈과 유희요 혼돈에 대한 싸움이다. 예술은 언제나 혼돈을 향해 점
점 더 위태롭게 다가가서 더욱더 넓은 정신의 영토를 그로부터 건져오는 작업이다. 예술사
에 어떤 진보가 있다면 그것은 혼돈으로부터 탈환해온 이러한 영토의 끊임없는 확대를 말하
는 것일 것이다. 영화는 시간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발전을 또 한 한 걸음 일고 나갔다. 전
에는 음악을 통해서만 표현될 수 있었던 경험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끔 해준 것이
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가능성, 아직 비어 있는 이 새로운 형식을 참다운 삶으로 가득 채
워줄 예술가는 아직도 나타나지 않았다(309).[탈영토화에서 재영토화의 길을 가는 영화]
맑스가 그의 『정치경제학 비판(Kritique der politischen konomie)』에서 호메로
스에 관련하여 말한 바 있는 예술에서의 역사성과 초시간성의 패러독스는 예술형식이 이와
같이 독립될 수 있는 가능성에서 나온다. "화약과 총포의 시대에 아킬레스가 가능한가?"라
고 맑스는 묻는다. "아니 『일리아드』자체가 인쇄기계를 통해 나올 수 있겠는가? 오늘 같
은 인쇄술의 시대에 노래와 전설의 뮤즈는 그 필연성을 상실하지 않을 수 없지 않는가? 그
러나 정말 어려운 문제는 그리스의 예술과 서사시가 특정한 사회발전 형태와 직결되어 있다
는 사실이 아니라 그 예술이 아직도 우리에게 심미적 만족을 주고 어떤 면에서도 영원히 도
달할 수 없는 모범이요 모델로 남아 있다는 사실에 있다."(320-321) [우리는 이 발언에서 일
정부분의 약화가 있을 수 있지만 필연성의 상실에는 동의 할 수 없다. 시대 작가 또는 인민
덩이의 작업에는 아우라가 전설처럼 생성된다. 자유와 평등의 인민덩이 자체가 아우라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 덩이는 인민의 자기 생성과 발전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맑스의 견
해와 달리 또 하나의 (우리가 보기에 자연주의에 속하는) 심미적인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
리고 심미적인 것이 형상형이상학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 또는 질료형이상학에 근거
하는 다른 방식에 있다는 것을 맑스는 놓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이원론자의 정신우월주
의 또는 도덕이나 윤리 우선주의에 경도되는 최고 형이상학에로 기울 수밖에 없다는 경향에
빠질 것이다. 이것은 이미 헤겔이 빠진 상황이다. 헤겔은 최고라는 것이 이미 정신이라고 보
았다. 우리는 최고가 질료덩어리 속에 있을 경우 즉 몰아경(en-tase)를 말했다. 이 경우는
들뢰즈에서 카오스모스와 닮았다. 이 카오스 모스를 영화는 감각과 지성과 의지를 시간 속
에 혼융하는 방식을 화면과 화면외적 요소에 의해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한 인민이 아니
라 인민의 다발의 움직임은 이런 활동이 될 것이다. 교육을 통과한 인민덩이가 이런 활동과
생성을 만들어 갈 것이다.(38TLI)]
예술 민주화의 길: ../.. 우리의 과제는 다수 대중의 현재 시야에 맞게 예술을 제약
할 것이 아니라 대중의 시야를 될 수 있는 한 넓히는 일이다. 참된 예술이해의 길은 교육을
통한 길이다(324). ... [하우저의 마지막 말] 문화의 독점을 해소하는 전제조건은 무엇보다도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전제조건을 만들어내기 위해 싸우는 수 밖에
없다(325). [이점에서 인간다운 삶의 모든 조건은 사회경제적 공시태를 만드는 저항(혁명)이
필요하고 삶의 장을 윤택하게 만드는 것은 (무상 보통 자유 평등)교육이다.] (38TL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