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당은 일반적으로 상단(上壇) , 중단(中壇) , 영단(靈壇)의 삼단구조로 되어 있음.
부처님상과 보살상을 모신 상단,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 선신들을 모신 중단, 그리고 영가(돌아가신 분)를 모신 영단.
여기서 중단은 여러 신장님을 모신 단상이기 때문에 신중단(神衆壇)이라고도 함. (그림:신중탱화 참조)
※신중단(104위): 화엄성중(화엄경에서, 설법을 듣기 위해 모인 성중)에는 세 그룹
맨위 - 욕색제천중(욕계와 색계에 있는 모든 천상의 신들)
중간 - 팔부신장(천, 룡, 금시조(가루라), 긴나라, 야차왕 등)
아래 - 어떤 처소가 있는 신. 산신, 용왕 (정해진 처소에서 신통력 발휘하는 신들) <동제스님/bbs>
■ 예적금강 (그림에서 위쪽 중앙)
*석가모니부처님께서 호법신장(正法을 수호하는 신장)의 모습으로 나투신 모습
*모양 : 三面三目八臂(삼면삼목팔비)
얼굴 셋, 눈 셋(쇠구슬눈), 어금니는 칼날같고, 8개의 팔뚝(마군을 항복받는 무기인 금강저를 들고 있음)
*역할 : 모든 삿된 무리와 헛깨비를 물리쳐서 불자들이 아무런 장애없이 깨달음을 속히 이룰 수 있도록 보호해 줌.
■ 동진보살 (그림에서 아래쪽 중앙)
*대부분의 경우 신중탱화에서 가장 크게 묘사됨 - '위태천신' 또는 '위타장군'이라고도 함.
부처가 세상에 나타날 때마다 가장 먼저 설법을 청하며, 언제나 부처를 오른편에 모시겠다고 서원한 신장.
*모양 : 얼굴이 동그랗다. (童眞보살)
머리에는 봉황의 깃털로 된 봉익관을 쓰고, 손에는 무게가 84000근이나 나가는 금강저를 들고 있음.
'부처를 오른편에 모신다'는 서원에 입각하여 얼굴을 불상이 모셔진 쪽(오른쪽)을 바라보게 그리기도 함.
*역할 : 불도에 드는 것을 미루고, 중생의 고통과 함께 함 (同塵보살). 모든 귀신을 제압하여 불자들을 보호함.
경전의 시작부분이나 끝부분에 그려넣어 경전을 수호해주는 신장으로서의 역할도 함.
※위타천: 본래는 시바(Shiva)의 아들로 태어나 하늘 군대의 장군이 된 힌두교의 신
스깐다(Skanda), 산스크리트어 스칸다(Skanda)
- 음역하여 새건타(塞建駝) 또는 건타(建陀), 위타(韋駝, 韋陀), 위타장군, 위장군
- 위타는 건타를 잘못 적은 것으로 보이고, 중국의 실존 인물 위장군(韋將軍)과 혼동해서 생긴 말이라고도 함
부처가 열반했을 때 속질귀(速疾鬼)가 부처의 치아를 훔쳐 달아나자 쫓아가 되찾았다는 전설이 있을 정도로 발이 빠르다.
신중탱화에서 동진보살(童眞菩薩)로 등장하는 것은 시바의 아들이라는 의미에서 동자라는 개념이 붙은 것이다.
갑옷과 투구를 쓴 채 미소를 짓고 있다.
▶사천왕의 리더는 북방 비사문천왕, 무장의 리더는 남방 증장천왕이고, 동진보살은 남방 증장천왕의 행동대장
아수리 딸과 인드라의 신화 (둘의 싸움에 사천왕이 붙어 아수라와 싸움, 사찰의 사천왕은 이때 무장한 상태의 모습) <자현스님>
※금강저: 인도신화에서 제석천 '인드라(indra)'가 사용하는 막강한 무기로서 번개나 벼락을 상징.
근본 뜻은 여래의 금강과 같은 지혜로써 능히 마음속에 깃든 어리석은 망상의 마구니를 파괴시킨다는 의미.
<열반경> '금강역사가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금강저로 모든 마구니를 티끌같이 쳐부순다.'
이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신중탱화에서는 동진보살이 반드시 금강저를 들고 있다.
☞ 번뇌의 나무를 치는 날카로운 도끼 http://cafe.daum.net/santam/IQ3g/401
▒ 절에서 만나는 예적금강
▒ 절에서 만나는 동진보살
☞ 동진보안보살 http://cafe.daum.net/santam/IZ0A/47
'이 절에서 잘 수 있나?' 동진보살에게 물어보라 http://cafe.daum.net/santam/IRnJ/163
알고 보는 신중단, 알고 하는 신중불공 http://cafe.daum.net/santam/IZ0A/285
소문난 시험합격 기도처 - 쌍계사 신중단 http://cafe.daum.net/santam/IZ0A/357
첫댓글 금강저를 들고 계신분이 동진 보살님 이시군요~!!..감사합니다...나무 관세음 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