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 남선 교수님과 함께하는 풍수답사입니다. *
정기답사는 홀수달 둘째주 일요일에 실시하며 일정에 변동이 생길 시 미리 공지하겠습니다.
2011년 신묘년 새해에 천지신명께 삼가 아뢰옵니다. 이 문구를 읊조릴 때면 벅차오르는 감정을 어찌 할 수가 없습니다. 새해도 자연을 숭배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풍수 공부를 하는 우리 “아풍동”님들을 위해 정성을 다해 시산제를 준비했습니다. 부디 많은 분들이 함께하셔서 성심을 다해 예를 갖추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아울러 풍수의 시각으로 자연에 대해 알고자 하는 마음을 정성을 다해 천지신명께 고하면 올 한해도 무탈하지 않을까 소망합니다. 추운 날씨가 예상되오니 옷 든든하게 입으시고 꼭 등산화 신으시고 지팡이도 있으면 가져 오시고 장갑 끼시고 모자 쓰시고 편안한 마음으로 오시어요.
1. 일시 : 2011년 1월 9일 (일)
2. 장소 및 시간 : 아주대 정문 오전 9시 출발
3. 답사지
1) 시산제 올리는 곳 : 錦屛山 下
대전시 유성구 추목동을 중심으로 연기군 금남면에 걸쳐 있는 병풍처럼 두른 산이 금병산이라 부르는 산이다. 발아래로 자운대가 광활한 규모를 드러내고 있고 그를 품고 있는 금병산이 뻗어나가 계룡산과 만나고 있다. 원자력연구소를 품고 있는 보덕봉과 계룡산이 금병산줄기를 통해 만나는 곳이다. 계룡산은 백두대간이 남으로 남덕유산에서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중간의 영취산에서 분기되어 북으로 뻗은 금남정맥선상의 운장산 ~ 대둔산을 통해 이어진 산줄기 이다.
2) 국립대전현충원[國立大田顯忠院]과 국가원수묘역 참배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銅雀洞)에 있는 국립현충원의 안장 능력이 한계에 이름에 따라, 1979년 4월 1일 착공해 같은 해 8월 29일 국립묘지관리소 대전분소로 출범하였다. 1985년 국립묘지를 준공한 뒤, 1991년 국립묘지대전관리소 승격을 거쳐 1996년 6월 1일 지금의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부지 면적은 322만 2001㎡, 안장 능력은 6만 3250기이다. 한국의 전통미와 현대감각의 조화, 자연경관의 최대 보존, 기존 국립묘지의 미비점 보완, 전 묘역의 호국공원화를 기본 방향으로 잡아 조성하였다. 묘역은 애국지사 제1·2묘역, 국가유공자묘역, 장군묘역, 일반묘역, 장교묘역, 사병묘역, 경찰관묘역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밖에 현충관(1,800㎡)과 호국관·봉안관 등이 있다.
3) 전통궁중칼국수 집 (점심식사 하실 곳)
충남 공주시 월송동 179-5 번호표를 뽑고 기다려서 식사하는 집입니다. 그 이유가 뭔지 직접 눈으로 보시고 현장을 잘 분석하시면 답이 나옵니다. (힌트 : 횡룡입수) 아풍동은 식사할 장소도 혈처가 아니면 아니됩니다.
4) 전의이씨 시조 이도(李棹)의 선조 이태사(李太師) 묘
공주시 시목동에 있다. 후삼국 말기에 후백제를 공격하러 남하하던 왕건이 공주에 이르렀을 때 홍수로 금강을 건널 수가 없었다. 이때 이도가 뗏목으로 군사들이 강을 건너게 하였다. 이 공로로 성과 이름이 하사되었다고 한다. 이도의 묘는 충남 전의에 있으며 흔히 복호혈이라고 한다. 시목동의 전의이씨 이태사묘는 이도의 몇 대 조상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이도가 뱃사공을 하면서 많은 선행을 베풀었는데 어느 날 노승이 하루 종일 배를 타고 강을 왔다 갔다 하며 시험을 하였으나 이도는 전혀 싫어하는 내색이 없이 노승의 요청에 따랐다. 이런 이도의 태도를 노승이 높이 사서 잡아준 자리라고 알려져 있다. 섬룡입수하는 기룡혈을 공부하기에 더없이 좋은 곳이다.
5) 연평부원군 이 귀(1557-1633) 묘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에 있다. 이귀의 본관은 연안(延安), 시호는 충정(忠定), 자는 옥여(玉汝), 호는 묵재(默齋)이다.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하생이다.선조15년(1582)생원이 되고 강릉참봉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에 삼도소모관(三道召募官). 삼도선유관(三道宣諭官)으로 군졸과 우마와 군량을 징발하여, 도체찰사(都體察使) 유성룡(柳成龍)에게 수송했다.1603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형조좌랑(刑曹佐郞). 안산군수(安山郡守). 양재도찰방(良才都察訪)등을 지냈다. 광해군1년(1609) 함흥판관(咸興判官)을 거쳐 숙천부사(肅川府使)때 수감된 해주목사(海州牧使) 최기(崔沂)를 만난 죄로 이천(利川)에 귀양갔고, 풀려 나와 평산부사(平山府使)가 되었으나 광해군의 폭정을 개탄, 1523년 김류와 함께 광해군을 폐하고 선조의 손자 능양군(綾陽君)을 추대하여 호위대장(扈衛大將). 이조참판 겸 의금부동지사(義禁芬知事). 좌찬성(左贊成)이 되었고 정사공신(靖社功臣) 1등으로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에 봉해지고 공서(功西)의 영수가 되었다.인조4년(1626)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지내고 같은 해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상(喪)을 만2년으로 주장하다 대간의 탄핵을 받아 사직했다. 이듬해 정묘호란 때 왕을 강화도에 호종하고 최명길(崔鳴吉)과 화의(和議)를 주장하다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 영의정에 추증 되고, 인조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묵재일기(默齋日記), 편저에 한음공언행록(漢陰公言行錄)이 있다.
6) 숭선군(崇善君) 이 징 묘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있다.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징(澂), 자는 징지(澄之), 시호는 효경(孝敬)이다. 아버지는 인조이며, 어머니는 귀인 조씨(貴人 趙氏)이다. 부인은 참판(參判) 증 영의정 평산인(平山人) 신익전(申翊全)의 딸로 영풍군부인 신씨(永豊郡夫人 申氏)이다. 인조의 다섯째 아들로 1639년(인조 17) 탄생하였다. 1646년(인조 24) 8세 때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받고, 1651년에 김자점의 옥사에 연루되어 어머니인 귀인 조씨는 사사되고, 동생인 낙선군(樂善君)은 유배되고, 1652년(효종 3) 14세 때에 역모에 가담하였다는 무고로 강화 교동(喬桐)에 유배되었다. 홍우원(洪宇遠)·송시열(宋時烈)·이경여(李敬與) 등 신하들이 무고함을 상소하여 유배 4년만인 1656년(효종 7) 18세 때에 풀려나 신덕고황후 강씨(神德高皇后 康氏)의 부태묘사(쯊太廟事)로 모든 종친을 거느리고 예궐하여 세차례나 상소를 올린 끝에 윤허를 받아 역사를 원만히 집행하였다. 1680년(숙종 6) 42세 때 현록대부 보사원종공신에 책록 받고, 1690년(숙종 16) 1월 6일 향년 52세로 별세하였다. 숙종은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고 앞으로 3년 동안 상을 마칠 때까지 봉록을 주라는 특명내리고, 시호는 효경(孝敬)에 추봉하였다.
4. 회비 : 4만원 (차량 대여비 및 중식 석식 기타 비용 포함) (당일 총무에게 납부)
5. 연락처 : 총무 김 은 희 (010 - 3228 - 6489) 회장 김 종 대 (018 - 234 - 7074)
|
첫댓글 올해 첫 답사때, 눈 길 헤쳐가 시산제 지내고 밤 늦게까지 하얀 눈빛에 달빛 받으며 답사했던 것이 벌써 1년이 지났네요..또 다른 새해의 시작을 신고하는 첫 답사,,,
참가 신청합니다.
그러게요

시간이 참 빠르네요(
) 그죠 
그 날 뵙겠습니다 
카페지기님 ~~안녕 하세요?.
혹 아풍동도 아닌데 시산제 참석해도 될까요?
풍수도... 궁금 한게 많아서요~~~^^
저한테 성함이랑 연락처를 보내주시면 좋겠습니다. 김은희 : 010-3228-6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