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회 자료입니다.
20180204_삼보법회_초기불교산책50
김재성 cafe.daum.net/mettaa
미얀마 위빠사나 수행(2018.1.6.~2.1) 배움과 경험
Dhammo have rakkhati dhammacāriṃ, dhammo suciṇṇo sukhamāvahati;
Esānisaṃso dhamme suciṇṇe, na duggatiṃ gacchati dhammacārī. (Th 303)
담마는 법을 실천하는 사람을 보호하네. 법을 잘 실천한 이는 행복해지네.
법을 잘 실천했을 때의 이 유익함이 있는 법을 실천하는 사람은 악처에 가지 않네. (장로게 303)
붓다의 출현은 많은 생명의 이익
담마의 출현은 많은 생명의 행복
상가의 출현은 많은 생명의 복전
빤디따라마의 확고한 마음챙김에 근거한 위빠사나 수행(Satipatthana Vipassana Bhavana)
<확고한 마음챙김에 근거한 위빠사나>: 순수 위빠사나로 사마타 수행을 미리 하지 않고 처음부터 오온(五蘊)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수행.
위빠사나 수행의 기본원칙: 현재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마음챙겨, 분명히 알면서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
수행의 기본 자세: 앉기와 걷기
앉기 수행(좌선): 자연스런 호흡을 할 때 복부의 움직임을 ‘부른다’, ‘꺼진다“ 또는 ’부름‘, ’꺼짐‘하고 마음속으로 명칭을 붙이면서 지속적으로 마음챙겨 알아차림.
- 명칭을 붙이는 것은 마음챙김의 유지와 강화에 필수적.
- 이렇게 복부의 움직임을 선택한 이유는 마하시 사야도의 가르침에 따른 것.
걷기 수행(행선): 1단계 보통걸음(’왼발‘, ’오른발‘), 2단계(‘듦’, ‘놓음’), 3단계(‘듦’, ‘감’, ‘놓음’) 4단계(‘듦’, ‘감’, ‘놓음’, ‘닿음’), 5단계(‘듦’, ‘감’, ‘놓음’, ‘닿음’, ‘누름’), 6단계(‘듦’, ‘감’, ‘놓음’, ‘닿음’, ‘누름’, ‘디딤’) 순으로 1시간 시행. 1단계, 3단계, 5단계를 각각 20분씩 하다가 수행이 진행됨에 따라 2단계, 3단계, 5단계, 6단계 등으로 할 수 있음
일상생활의 수행: 잠에서 깨어나서 다시 잠에 들 때까지 일상생활의 모든 육체적 활동과 심리적 활동도 그 때 그 때 명칭을 붙이며 철저하게 마음챙겨 알아차리고 관찰. 일상의 동작과 생각 등의 심리적 활동에 대한 마음챙김을 놓치면 수행이 전반적으로 약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함
수행의 진행과정: 계(8계)에 바탕으로 두고 오근(五根: 信, 精進, 念, 定, 慧)의 균형 있는 향상
①믿음: 불법승 삼보와 업(수행과 그 결실 등)에 대한 믿음
②정진: 3단계의 정진(시작, 어려움 극복, 목적지에 도달)
③마음챙김: 확고한 마음챙김은 항상 필요:지계, 믿음-지혜, 정진-집중의 조화를 이루게 함.
④집중: 실재를 대상을 하는 위빠사나 집중(찰나삼매)으로 오개(五蓋: 감각욕망, 분노, 게으름‧졸음, 동요‧회한, 의심)의 극복.
⑤지혜: 수행을 통한 위빠사나 지혜(16단계-정신물질구분, 조건파악, 무상‧고‧무아, 생멸 등)
수행을 시도하는데 필요한 5가지 조건: ①믿음, ②건강, ③정직함, ④노력, ⑤지혜(생멸을 이해하는 지혜)을 갖추면 오전에 법을 들으면 저녁에, 저녁에 법을 들으며 다음 날 아침에 깨달을 수 있음(MN86 보디왕자경)
수행을 통한 지혜를 얻기 위한 5가지 조건: ①오랫동안,②지속적으로, ③끝까지, ④존경심을 가지고, ⑤즐겁게 수행할 것.
수행으로 없애 할 5가지 무지(sammoha): ①업(kamma), ②법(dhamma), ③특징(lakkhana), ④조건(paccaya), ⑤열반(nibbana)
①업: 중생은 찰나찰나 업 지음-현생에 받는 업, 다음 생에 받는 업, 열반에 이를 때까지 받는 업
악업은 바위나 돌이고 선업은 배 – 과거의 악업을 지엇어도 현재 번뇌가 없으면 과보가 무효화(앙굴리말라)
②법: 유위법이 무상‧고‧무아‧부정인 신수심법을 상락아정으로 잘못 알고 있음.
③특징: 법들의 고유한 특징과 보편적 특징
④조건: 법들의 조건관계
⑤열반: 번뇌의 소멸(漏盡)에 의한 괴로움이 완전히 소멸하여 생사가 없는 상태.
금생에 수행정진으로 열반에 이를 수 있는 사람.
① 오무간업을 짓지 말 것(부처님 몸에 상처입히기, 부모와 아라한 살해, 파화합승가)
② 삼보와 업에 대한 믿음이 확고할 것
③ 수행에 대한 의욕과 정진
④ 지혜의 선근(무탐, 무진, 무치의 선근) - 우리는 어떤 선근을 가지고 태어났는가?
⑤ 무상에 대한 지혜(생멸수관지)
⑥ 성자비방의 잘못이 있다면 참회할 것
⑦ 계를 청정하게 할 것
도(道)와 과(果) 그리고 열반의 관계 :
도와 과는 지혜로운 마음(도의 지혜와 과의 지혜의 마음) - 성문 유학과 무학의 각각의 도의 지혜로 해당되는 번뇌를 끊고, 과의 지혜로 정(定)을 경험.
도와 과의 지혜의 마음은 무위법인 열반을 대상으로 함.
순수위빠사나의 4가지 보호명상: ①붓다의 9가지 덕에 대한 상기(佛隨念), ②자애(metta), ③부정관, ④죽음 마음챙김(死念) -내일이 빨리 올까, 내생이 빨리 올까?
appamadena sampadetha
불방일로 공덕이 되는 보시, 계정혜를 닦아 열반에 이를 때까지 정진하라.
20180204_삼보법회_초기불교산책50_미얀마집중수행경험나눔001.jpg
20180204_삼보법회_초기불교산책50_미얀마집중수행경험나눔00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