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자들이 여유 있게 공연 할수 있도록 가능한 무대공간, 공연 성격에 따른 바닥 재료 선정, 높이, 마감재료, 방식, 공연의 이미지, 네이밍을 위해 사용되는 Backdrop, 기존 무대위에 연주자들이나 합창단이 사용되는 단 마루 구성등 무대 공정을 이루고 나면 다음 과정인 조명이나 음 향 셋업이 가능 하다.
댄스 플라워 무대
무대, 트러스, LED영상,댄스플라워
음향시스템 : 공연음향, 이벤트음향
음향 디자인
(1) 음향의 효과
음향은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지만 일어나고 있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관객의 귀 를자극하고 잘 운용되면 공연에서 창조하고자 하는 현실감을 훨씬 높혀준다. 반면 음향 상 태가 좋지 앉으면 오히려 관객이 공연에 몰두하는 것을 방해한다.
본인이 25년 이상 크고 작은 공연을 하면서 공연에 있어 가장 힘든 부분 중에 하나가 음향 이다. 음향 엔지니어 대부분이 오케스트라의 악기 특성과 음악연주의 바란스, 지휘자 스코 어 를 볼 줄 모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연주 중에 클라리넷 독주를 하면 볼륨을 올려야 하 는데 올리지 않는 경우, 고음 악기와, 저음악기의 구분 음향 세팅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오케스트라 편성이 2관, 3관, 4관에 따라 마이크가 구분 되어야 하나 무조건 소리만 증폭 하려고 하는 경우를 많이 경험하고 있다. 이번공연에서는 엔지니어와의 충분한 회의와 본인 의 의견이 반영 되어 별 무리 없는 공연이 될 수 있었다.
(2) 음향의 역할
① 공연 시작과 종결
관객 앞에서 공연할 때 그 시작을 알리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예비음으로 버저 (buzzer),종, 징, 파이프 오르간 음 또는 나팔소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실제 공연시작은 특정한 소리로 알려지는데 Opera나 뮤지컬의 경우 서곡연주로 시작하기도 한다.
② 극중 필요한 효과음
여러 가지 생물 또는 무생물적 소리와 인간이 이용하는 여러 가지 기기의 소리 등으로 상황을 묘사한다.
③ 특수한 분위기 창출
특정한 순간을 강조 또는 과장하거나 표현하려 할 때, 기타 분위기를 살리는 자연 또 는 인공적 소리를 이용한다.
조명 디자인 - 무대 조명 연출 : 행사조명, 공연조명, 무대조명 렌탈
조명의 역할
공연예술에서 조명의 역할은 매우 크다. 무대 위를 시각적으로 완성시켜 관객에게 어떤 이미 지를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조명이 한다.
① 가시성
무대공간상의 장치, 소품, 의상 등 여러 시각적 요소와 출연자를 볼 수 있게 충분한 양의 빛의 빛이 필요
② 시간성
새벽, 아침, 낮, 저녁, 밤 등의 때와 시간의 변화, 그리고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계절의 변 화를 나타낸다.
③ 분위기
작품상의 극적인 상황과 분위기를 나타낸다. 비극적 분위기는 일반적으로 어둡고 무거운 느 낌이 들도록 하고, 희극적 분위기는 밝고 가벼운 느낌이 들도록 한다.
④ 특수효과
비, 눈, 구름, 낙엽, 숲, 번개, 물결, 무지개, 불길(여러 종류) 등 연출가능
⑤ 강조
특정 장면이나 무대 위 특정 공간, 또는 출연자들 돋보이게 하거나 강조한다.
⑥ 조화
극적인 분위기와 장면 변화에서, 또 장치나 음악 등의 변화에서 그 흐름이나 동적리듬에 조 화를 이루어야 한다.
무대 조명기의 배치별 구분
① 무대 상부조명 배치
가. 업퍼 호리존트 라이트(Upper Horizont Light)
배경 막 앞의 무대 상부에 설치하여 로우 호리존트 라이트(Lower Horizont Light)와 함께 배경 및 효과연출을 하기 위한 조명기 배치구역이다.
나. 보더 라이트(Border Light)
무대 상부에 설치하여 무대전체를 밝고 부드러운 빛으로 균등하게 비추는 조명기 배치 구역이다. 무대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고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방치하는 역할을 담당한 다.
다. 서스펜션 스폿 라이트(Suspension Spot Light)
무대 상부에 설치하여 연출되는 연기면의 포인트에 세부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기 배 치구역이다. 부드러우면서도 밝고 제한된 조명을 이용하게 위하여 퍼넬 렌즈를 사용하 며, 초점조명과 투광각도의 좌우조정이 가능하다.
라. 음향 반사판 다운 라이트(Sound Reflection Down Light)
음악회 또는 연주회 등 무대내부에 음향반사판(Sound Reflection)을 설치하는 경우 무 대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조명기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천장 음향 반사판에 조명 기구를 부착하여 부드러운 확산광으로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무대전체를 비춘다.
② 무대 하부 배치조명
가. 로우 호리존트 라이트(Lower Horizont Light)
배경막에서 1~1.5m 정도 위치의 무대바닥에 설치하여 배경 및 효과연출을 하기 위한 밝고 부드러운 빛을 투시하는 조명기구이다.
나. 풋 라이트(Foot Light)
객석쪽 무대 끝부분(Apron Stage)에서 30cm 부분에 설치하여 배우의 하부를 조명하 여 그림자를 제거하기 위한 조명기구로서, 무대형식과 크기에 따라 객석에서 관객의 시 선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다. 플로어 포켓(Floor Pocket)
무대바닥에 매입 설치하며, 각종 이동용 조명기구 또는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 열기구의 사용시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하는 무대전용 전원공급이다.
③ 무대측면 조명 배치
가. 타워 라이트(Tower Light)
무대 양측면에 자립형 Tower Frame을 이용하여 무대 중앙부의 배우를 향하여 측광을 비추는 조명기 배치구역이다. 연출목적에 따라 시간의 표현, 분위기의 표현 및 배경막 등을 비추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나. 토멘터 라이트(Tormentor Light)
무대 안쪽 프로시니엄벽에 프레임(Frame)을 이용하여 무대 중앙부의 무대장치 또는 배우를 향하여 측광을 투사하는 조명기 배치구역이다. 포커스(Focus) 조정과 투광각도 의 상‧하 좌‧우 조정이 가능하다.
특수효과 : 불기둥
특수효과 : CO2
LED영상 장치
실시간 중계, 키비주얼, 루핑영상, 공연연출, 행사 슬로건 등을 투영하는 시스템으로 행사 및 공연을 더욱 멋지고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