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死一生(구사일생) |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겪고 간신히 목숨을 건짐 |
群鷄一鶴(군계일학) | 닭의 무리 중 한 마리 학. 많은 사람 가운데서 홀로 뛰어난 사람을 비유 |
窮餘之策(궁여지책) | 궁박한 끝에 나는 한 계책 |
權謀術數(권모술수) | 임시변통의 지혜가 많은 수단 |
權不十年(권불십년) | 권세는 10년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영화는 오래 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
勸上搖木(권상요목) | 나무 위에 오르라 권하고는 오르자마자 아래서 흔들어 댐 |
勸善懲惡(권선징악) | 착한 행실을 권장하고 악한 행실을 징계함 |
捲土重來(권토중래) | 흙을 말아(말을 달려 흙먼지를 일으켜) 다시오다 라는 뜻으로 실패 뒤 다시 도전하여 성공하다 |
近墨者黑(근묵자흑) | 나쁜 사람과 사귀면 그 버릇에 물들기 쉽다는 뜻 |
金科玉條(금과옥조) | 금 같은 과목과 옥 같은 조목의 뜻으로, 훌륭하고 좋은 제도 |
錦上添花(금상첨화) | 비단 위에 꽃을 더함이란 뜻으로 아름다움에 좋은 것이 겹침 |
金石之交(금석지교) | 쇠나 돌과 같이 굳은 사귐 |
錦衣夜行(금의야행) | 비단 옷을 입고 밤길 걷기 즉, 보람 없는 공연한 행동 |
錦衣還鄕(금의환향) |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감 즉, 타향에서 성공하여 고향으로 돌아오다 |
金枝玉葉(금지옥엽) | 금 같은 가지와 옥 같은 잎사귀의 뜻으로, 임금의 자손 또는 그에 버금할만한 귀한 자손 |
氣高萬丈(기고만장) | 일이 뜻대로 잘 될 때 기꺼워하거나, 대단히 노했을 때의 언사와 행동 |
難兄難弟(난형난제) | 두 사물이 낫고 못함을 가리기가 어렵다는 말로 곧 비슷하다는 뜻 |
南柯一夢(남가일몽) | 남가군 에서의 꿈 곧, 부질없는 허망한 헛된 꿈(=一場春夢) |
男負女戴(남부여대) |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이다라는 뜻으로, 떠돌아다녀야 하는 가난한 행색 |
內憂外患(내우외환) | 내부의 근심과 외부에 대한 걱정 |
路柳墻花(노류장화) | 누구든지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이라는 뜻으로 창부를 가리킴 |
老馬之智(노마지지) | 아무리 하찮은 사람이라도 나름대로의 장점과 특징이 있다라는 뜻 |
勞心焦思(노심초사) | 몹시 깊이 생각하는 것을 이르는 말 |
綠陰芳草(녹음방초) | 푸른 나무 그늘과 꽃다운 풀이란 뜻으로 여름의 자연 경치를 이름 |
綠衣紅裳(녹의홍상) | 여인의 고운 옷차림 |
論功行賞(논공행상) | 공적의 크고 작음을 따져 그에 알맞은 상을 준다는 말 |
弄假成眞(농가성진) | 장난삼아 한 것이 참으로 한 것처럼 됨 |
累卵之勢(누란지세) | 알을 쌓아 놓은 것 같이 매우 위태로움 |
多多益善(다다익선) |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 |
多聞博識(다문박식) | 견문이 넓고 학식이 풍부한 것 |
多情多感(다정다감) | 애틋한 정도 많고, 느낌이나 생각이 많음 |
單刀直入(단도직입) | 단도로 곧장 찌름 즉, 구차한 것은 떼어버리고 곧바로 핵심을 들고 나오다 |
丹脣皓齒(단순호치) | 붉은 입술과 흰 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의 비유 |
簞食瓢飮(단사표음) | 도시락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간소한 생활의 비유 |
堂狗風月(당구풍월) | 서당 개 삼년에 풍월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무식한 사람이라도 그 부문에 함께 오래 있으면 어느덧 영향을 입어 다소나마 알게 된다는 뜻 |
大器晩成(대기만성) | 큰 그릇은 만드는데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큰일을 할 사람은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오랜 시간이 걸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