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자육이란, 연꽃의 씨앗으로 겉껍질과 속껍질을 벗겨서 말린 것입니다.
말린 연자육은 차로끌여 먹기도하고 불려서 밥을지어 먹기도 한답니다.
초록색 씨앗으로 있던 연자육이 9~10월사이에 검고,단단하게 영글고 특유의 떫은맛이 난답니다.
조선시대의 왕 성종과 영조가 즐겨먹었다고 해서 왕의씨앗이로 불립니다
"왕의 보약" 연자육
버릴 것이 하나도 없어 귀한 대접을 받은 연은
꽃은 차로 마시고
잎은 연잎밥으로 만들고
뿌리는 연근으로 반찬으로 활용하는데요.
이 뿐만아니라 연꽃씨앗인 연자육은 여러가지 효능을 인정을 받아 건강한 식탁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어의가 왕의 병을 고치는데 사용하여
왕의 보약이라는 이름까지 붙여진 연자육
그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연자육 효능
연자육은 저항성 전분이 풍부하다가 알려져 있는데요.
탄수화물이 들어가 있지만 저항성 전분이 있기에 소화 효소 작용에 저항을 하여 소화 흡수를
느리게 하는 "착한 탄수화물"입니다.
저항성 전분이 많은 음식은 탄수화물이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줄여주고 포만감을 오래 유지해주기 때문에 식단조절을 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식단조절하시는 분들은 현미, 고구마등을 많이 챙겨드시는데요. 이 식품에 저항성 전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연자육차로 마시기
연자육을 한번 볶아, 물2L에 10알정도 넣어 물이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20분정도끓여드시면 됩니다.
종이컵 기준으로 하루에 2~3잔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연자육을 볶은 이유: 연자육을 한번 볶으면
더 잘 우려납니다.
연자육밥 활용
쌀과 연자육을 4:1 비율로 밥을 지어 드시면 됩니다.
이때, 연자육은 1~2시간 정도 먼저 불려주시면 부드럽게 드실 수 있습니다.
연자육밥을 믹스기로 갈게되면 간편죽으로 드실수도 있고,첨부터 쌀과연자육을 불렷다가 믹서로갈아서
소금간해서 끓여주시면 연자육죽이 된답니다
*연자육 부작용
연자육은 과다섭취시, 설사나 복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배변작용이 원할하지 못하신분들은 특히나
하루 권장량 이내로 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몸이 차거나 수유부의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신 후에 복용을 하시는 걸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