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이해와 설득을 위한 이미지 만들기 8) 한자화 해본다와 언어공간 탐험과의 중복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영단어... 한자... )
그림으로 마구 추상화하고 기호화해 가면 문자가 완성된다. 특히 우리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자는 음을 나타내는 표음문자가 아니고 의미를 나타내는 표의문자이므로 오늘날에도 글자의 모양에서 그 뿌리를 찾고 원래의 이미지를 쉽게 맛볼 수 있다. 문자는 부호를 보태지 않아도 그 성립 자체가 대단히 논리적인 것이다. 확대 해석을 하자면 그림의 구체성을 보유한 채 논리기호로서의 말의 기능을 완수하고 있는 한자는 그것 자체가 픽토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들이 한자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이 소통의 차원에서 가능성을 열어준다. 너무 당연한 일이라 잘 깨닫지 못할 일이지만 이것이 알파벳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행하는 문화에서는 절대로 표현할 수 없는 미학적 놀이인 것이다.
창의적 발상을 위한 언어공간 탐험하기)
언어는 유효한 소통의 수단으로 쓰여져 왔으나 언어는 추상적 개념이다. 언어의 기본이 되는 단어 등을 정리한 것이 사전이다. 여러 문화권의 사전을 살펴보면 어떤 단어가 의미하는 개념을 쉽게 알아낼 수 있다.
(1) 먼저 국어사전을 찾아본다. 비슷한말이나 그 단어를 설명하는 다른 단어를 찾아본다.
(2) 한영사전이나 영한사전을 이용하여 위에서 거론한 단어들을 찾아본다. 그 의미를 설명하는 단어를 다시 국어사전에서 찾아본다.
(3) 같은 단어를 옥편에서 찾아보고 그 뜻을 해석해본다.(한자화 해본다. 참고)
(4) 같은 단어를 영영사전에서 찾아보고 그 뜻을 해석해보고 다시 국어사전을 찾는다.
(5) 위의 단어 찾기를 반복하고 연계하여 생각해보면, 새로운 발상을 하기 위한 새로운 단서가 제공된다.
다음은 점 (點)이란 단어의 언어공간 탐험법을 적용한 예이다.
점: ① 작고 둥글게 찍은 점 ② 산재하는 작은 얼룩 ③글자를 쓸 때에 한번에 찍는 획 ④ 글의 구절을 구분하고자 찍은 점 ⑤(수학에서)두 선이 맞닿은 자리 ⑥ 여럿 가운데에서 선택하여 결정할 때 쓰는 말 ⑦작은 조각 ......
點 (점 점, 켤 점) = 黑(흑- 炎(불꽃 염)이 굴뚝에서 내뿜는 모양) + 占(점점, 점칠 점, 차지할 점, 점령할 점)
검을 흑(黑)-흑백(黑白), 어두울 암(暗)-명암(明暗), 검을 현(玄)-현미(玄米)
a Point ( 뾰족한 끝, 장소, 중대한 순간, 요점, 종지부, 눈금 득점, 뾰족하게 하다, 강조하다, 향하게 하다, 겨누다)
a Dot ( 점 작은 점 마침표 , 점 같은 것 얼룩 반점, Morse 부호)
a Spot ( 얼룩점 반점, 오점 결점, 지점 장소 현장, 짧은 순간)
a Pixel (모니터의 화상 등을 구성하는 화소)
개념: 점은 상대적 위치를 갖는다. 기하학에서의 점은 두 선이 만난 자리이고, 물질적 개념으로는 제로와 같다. 철학적으로는 최고의 간결함이며, 눈에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본질이다. 언어에서의 점은 침묵을 의미하고, 문장에서는 중단의 상징이며 다른 존재로서의 교량적 역할을 한다.
그림에서의 점은 보다 더 크고 자유로운 공간을 필요로 한다. 회화의 세계에서는 자립적인 본질로서 살아 움직이며 기본이 된다. 그래서 점은 폐쇄적이고 집중적인(일반적으로 원의 형태) 긴장감을 줄 수 있으며 크기나 움직임은 이러한 긴장감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요소로 변질된다.
점에서 시간의 요소는 무시되어지므로 시간적으로 가장 간결한 상태이다. 물리적으로 점은 그림 그리는 도구가 화면이라는 물질과 부딪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이므로 점은 다양한 모양을 지닌다.
점의 외형적인 개념은 ‘최소의 형태’라고 할 수 있지만 점은 크기는 변할 수 있으며 면으로 변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점과 면의 차이를 어떻게 구별 할 수 있을까?
1, 크기를 중심으로 볼 때, 점과 그것이 표현되고 있는 면(틀)의 상대성
2, 주어진 틀 속에서 다른 나머지의 형태들과 점의 크기
석고소묘를 할 때, 점의 개념을 활용 점으로 형태를 인지하기 (눈체조 Ⅰ)
인지주의 학습이론 중에서 단기기억 내에 동시에 떠있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밀러의 매직 넘버, 즉 7 ± 2개 (5개 - 9개)의 정보 뭉치(chunks)입니다. 감각등록기에서 단기기억으로 넘어가는 것을 주의라고 하므로, 한 번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는 정보는 7 ± 2 개의 정보인 것입니다.
表(겉 표) ,衣〈옷 의〉部 | 現(나타날 현) 玉 (王)〈구슬 옥〉部 |
outside | appear |
겉 나타내다. 뛰어나다. 특출함. 우두머리. 특이(特異)한 곳. 특징(特徵). 석물(石物). 조짐. 징조. 표적. 표지(表識). 기. 정기(旌旗) 등 | 나타나다. 나타냄 현재. |
ex 밖으로 | press 압박 |
표현으로써의 미술은 미술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오늘날의 미술교육은 손재주를 기르거나, 단순 미술기법을 가르치는 것이 목표가 아니다. 오늘날의 미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전인적 인간 육성에 있다. 이것은 미술교육을 단지 그림을 한 장 그려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지 않고, 삶을 자연스럽게 표현해내고, 미술 자체가 ‘말로 하는 표현’에 못지않게, 혹은 더 세련되게 더 심오하게 자신의 인생과 생각을 표현해 내는 것이다. 어린이의 미술 표현은 어린이가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경험하고 상상한 모든 것들의 반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