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이용한 슈미트 트리거 인버터 발진회로 동작에 대한 이해
슈미터 트리거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High Level이 될 때와 Low Level이 될 때의 전압 레벨이 다른 특성을
이용한 것이랍니다.

인버터 발진 회로

히스테리시스 특성 곡선

히스테리시스 특성 곡선을 이용한
슈미트 트리거 인버터 발진회로 동작
회로에서 전원을 공급 하였을 때 커패시터가 완전방전상태라고 가정하면, 커패시터 양단 전압은 “0”이므로 인버터 입력 역시
“0”이 되어 출력은 “high” 상태를 유지하게 된답니다.
“high" 상태의 출력은 저항을 통해 궤환되어 콘덴서를 충전하게 되므로 콘덴서 양단전압이 상승하게 되는 데
이 때 충전 전압이 히스테리시스 특성 곡선의 "Vt+"에 도달하게 되면 인버터 입력은 ”high" 상태가 되어 출력이 “low" 상태로
변환되어진답니다.
인버터의 출력이 “low" 즉, ”0“이 됨에 따라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바로 저항을 통해 인버터 출력 쪽으로 방전되어
버리지요....
콘덴서의 방전이 진행되어 히스테리시스 특성 곡선의 "Vt-"에 도달하게 되면 인버터 입력은 “low" 상태가 되어 인버터 출력은
”high"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답니다.
이렇게 반복적으로 “high"에서 ”low"로, “low"에서 ”high"로 인버터의 입력단이 히스테리시트 특성에 의해 시간을 두고
교번하게 되므로 주기적인 클럭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랍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