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山은 덩두렷한 바벨탑이다.

▲722.9봉에서 바라본 금성산과 비봉산, 그리고 각시산.
◐ 시작하면서 ◑
한가위를 걸터넘기 전에 華山을 넘으려고
할 일 없이 바쁜 와중에 짬을 내 길을 나섭니다.
세월을 곰삭이는 미완의 山城도 둘러볼 참이고,
멀찌감치서 팔공산의 너른 품도 조망할 일이며
젊음을 땀으로 절였던 유격장 무용담도 경청할 터.
발길 가자는 대로 곡진한 마음을 잡아채고 오르면
곳곳에 눈길을 당기는 미쁜 풍경이 나타날 것인 즉,
그 풍경 안에 훅 밀어닥칠 頓悟가 있을지 누가 알리오.
◐ 산행 얼개 ◑
▷산행일시 : 2017년 10월 1일.
▷동행 : 대전한겨레산악회 여러분과 함께.
▷산행구간 : 작전도로-화산-(화산산성)-갑령재.




▲뛰어나게 잘 부르는 노래는 절창, 뛰어나게 아름다운 경치는 절경.
오늘 그 절경을 맞이하러 가을 산을 오릅니다.

▲이 작전도로를 걸으면서 우리는 무슨 작전을 펼칠 것인가.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지만, 우리는 그 흐름을 역행하여 아래에서 위로 오릅니다.

▲작전을 펼치다가 오른쪽으로 눈길을 주었더니, 멀리 알만한 산들이 이름을 들이댑니다.

▲산길이 살래살래 꼬리를 흔들면서 기어가고 있습니다.

▲임도를 벗어나 왼쪽사면을 치고오릅니다. 645.9m봉을 향해서.

▲길도 없는 산 옆구리를 막무가내로 치고오릅니다.

▲오늘같이 선선한 날씨의 하루산행은 무더운 여름 날씨의 열흘치 산행 맞잡이.

▲한 봉우리 개시했으니, 이제 남은 산행은 말탄 장가길.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어디선가 딱딱딱 나무를 쪼는 소리가 노래가락으로 들려옵니다.
'저 산에 딱다구리는 없는 구멍도 잘 뚫는데, 우리집 영감탱이는 있는 구멍도 못 찾는다.'

▲소나무가 리드미컬한 몸짓으로 인사를 대신합니다.

▲645.9봉에서 임도로 내려온 날머리 돌아보기.

▲갯벌에 착 달라붙은 꼬막처럼, 잔디로 뒤덮인 임도에 딱 달라붙어 따박따박 오릅니다.

▲상큼한 가을 냄새가 산길 주위를 은은하게 감싸고 돕니다.

▲사람은 몸과 마음이란 두 바퀴로 굴러가는 動體입니다.
마음이 먼저 산으로 향하니 몸은 자동으로 따라서 굴러갑니다.

▲마음을 따라 몸이 굴러가는데, 기룡산도 같이 굴러가자고 따라옵니다.

▲돌아보니, 멀리서 운주산이 무룡태인 양 잘 생긴 웃음을 자꾸 흘립니다.

▲연보라색 쑥부쟁이가 가을이 깊어감을 알려줍니다.

▲저 길 모퉁이에서, 아들놈이 뛰어나오는, 만화 같은 장면을 그려봅니다.
필승! 신고합니다. 일병 000, 첫 휴가를 명 받았습니다. 이에 신고합니다....ㅋ ㅋ

▲形容矛盾이랄까. 유격장 정문이 고풍스런 한옥 스타일이라니....

▲악착스레 오르는 산행길이 아니라, 자연스레 즐기는 산행길이기를 희망합니다.

▲지루하던 임도는 종언을 고하고, 하얀 색 만연한 꽃길로 들어섭니다.

▲격세지감, 나무 심은 일을 기념하여 돌을 깎아 세우던 시절도 있었네요.

▲이 가을도 섬광처럼 흘러가리라. 얼마 전의 여름처럼.

▲노랗게 물든 나뭇잎 너머로, 화산 고스락이 봉긋 솟았습니다.

▲끌밋한 구절초.

▲우측, 너무나 가까이 다가선 선암산.

▲용담. 한 곳에 무더기로 피어 있었습니다.

▲선진(?) 군대! 야외훈련장에 간이 화장실까지.

▲북쪽 방향으로 펼쳐지는 금성산, 비봉산, 선암산 하늘금.

▲흔들리는 억새꽃마냥, 산님들이 모여서 흔들리고 있습니다.

▲산상 간이주막.

▲도랑도랑한 덧정이 샘물처럼 솟아오릅니다.

▲ 억새들이 밝은 빛을 뿜으면서, 여인의 가을모습을 아름답게 치장하고 있습니다.

▲가을의 깊이를, 자연은 천연 색감으로 증명해 보이고 있습니다.

▲미역취.
노란색의 대명사는 개나리일까 미역취일까.

▲실질적이고 본격적인 화산 들머리.

▲유격장에서 젊음의 한 때를 불살랐을 청춘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더불어 다짐을 놓습니다. 다리 떨리면 만사 끝이니, 가슴 떨릴 때 열씸히 산을 다녀야지.

▲군용 삐삐선 관련 기구?

▲화산 고스락 풍경1.

▲화산 고스락 풍경2.

▲얼마나 높게, 멀리, 많이 오르는 가 보다, 어떻게 오르는가가 더 중요함이라.

▲신녕면 일대가 뿌연 이내로 덮여있습니다.

▲마루금을 걷고 있노라면, 세상의 환한 중심에 든 것 같은 안도감이 일어납니다.

▲거침없이 펼쳐진 팔공의 너른 품 앞에서,
모두들 할 말을 잃고 그저 몸으로 표현할 뿐입니다.

▲눈이 호강을 합니다(시계방향 순. 조망1).

▲(조망2). 팔공산 줌인.

▲(조망3). 팔공산 오르는 마루금을 가늠해봅니다.

▲(조망4). 매봉 뒷자락의 군위삼존석굴을 그려봅니다.

▲(조망5). 오늘 시계의 한계는 금오산을 뛰어넘지 못합니다.

▲(조망6).

▲(조망7).

▲세월이 이 자연과 이 산님들은 비껴가기를....

▲저 앞의 803봉을 올라야 하는데, 어디로 갈거나.

▲개여귀.

▲자연을 닮아서 자연스런 표정이 자연스럽게 번져나옵니다.

▲머릿속에 더듬이를 곤두세우고 산길을 더듬어갑니다.

▲쉼표처럼 누워있는 웅덩이.

▲자연의 해학.

▲좌측으로 펼쳐지는 팔공산 하늘금.

▲곧게 뻗어 올라간 적송 한그루가 마음 속에 공간을 만들어줍니다.

▲살다보면 우리는 운명을 잊기 십상이지만, 운명은 우리를 잊지않고 따라 오게 마련입니다.

▲산길이 국수가락처럼 가늘게 빠져나가고 있네요.

▲전방의 봉우리가 마루금(705m봉)인데, 울타리가 막고 있어서....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같은 울을 치고......

▲임도를 따라 우회길을 따릅니다.

▲또 다시 갈래길. 잠시 마루금을 벗어나 산성으로 과외산행을 떠납니다.


▲산성으로 향하는 길목이 든든한 바위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산성을 만나러 가는 마음은, 세수하고 난 어린애처럼 싱그럽기만 합니다.

▲길이 있다고 다 갈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마음이 원한다면 그 길을 따를 수밖에.

▲저 촘촘한 과일처럼, 많은 말이 목젖에 걸려 있습니다.

▲전기 울타리 넘고, 없는 산길 헤치면서 나아갑니다.
마구잡이로 내려꽂혀 발길이 닿은 곳은 화산양수장.

▲산은, 미쳐야 할 엑기스가 무한히 내장되어 있는 불모의 대지.

▲세상 없어도 꼭 들러보리라던, 산성을 찾아가는 길입니다.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1.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2.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3.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4. 후면에서 바라봄.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5.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6.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7.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8.

▲화산산성 북문터 풍경9.

▲우주의 문이 열리는 길목에 우리는 서 있습니다.

▲계곡 쪽으로 이어진 성터의 흔적.

▲비교적 완전한 형태의 수구문.

▲수구문 클로즈업.

▲화산산성 주변의 계곡암반.

▲내려온 길이 너무 터프했습니다.
해서 돌아가는 길은, 멀지만 쉬운 길을 택합니다.

▲그 돌아가는 길이, 예상을 뛰어넘는 거리와 경사도로 나타납니다.

▲첩첩산자락을 뚫고 기룡산이 살아돌아왔습니다.

▲산은 사람의 마음을 무한정 빨라들이는 블랙홀입니다.

▲마루금으로 회군하는 길목, 고랭지밭이 고개 숙인 조로 가득차 있었습니다.

▲산행은 빠져들기에 충분한 매력덩어리입니다.
'속도'를 담보로 풍경과 여유를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산 감상법의 두가지 뿌리는 '발은 천천히', '눈은 멀리'.
풋내기 시절부터 산에 빠져들게 했던 두가지 조합입니다.

▲화산마을, 옛날에 재건동 또는 개간촌이라 불리던 마을.

▲마을회관 앞에서 즐기는 군위의 산들.

▲조금 더 가깝게, 조금 더 확대해서 즐깁니다.

▲감전당한 기분으로 걸어갑니다.
왼쪽 705봉에서 내려오는 산길을 바라보면서....

▲이 가을, 내 가슴 속으로 따듯한 풍경 하나가 들어왔습니다.

▲까르르 까르르,
온 세상을 밝히던 아이들 웃음소리가 들어와 발바닥까지 다 따듯해집니다.

▲잠수하듯이, 산에서 산속으로 들어갑니다.

▲722.9봉을 오르는 도중, 왼쪽에 펼쳐진 풍경.

▲저 위에 마지막 남은 건 나무 한 그루와 하늘 뿐.
더 이상 오를 곳이 없는 하늘 끝. 완성된 바벨탑!

▲정점에서 돌아보기1.

▲정점에서 돌아보기2.

▲하늘 끝 너머에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질 줄이야.

▲또 다른 정점을 향해, 급한 마음을 다독이며 걸어갑니다.

▲산은 나를 세상으로 이끄는 나침반이며 중심 이데올로기.

▲돌아보는 위치가 달라지니, 고랭지천지가 훨씬 넓어보입니다.

▲오늘 바벨탑의 정점 직전에서 적바람 한 줄 남기고 싶습니다.
「꽃산 華山에 와서 마음 한복판에 花心이 화안하게 피었네.」

▲산불초소가 뚜껑을 벗어제꼈습니다.

▲눈 앞에 펼쳐진 멋진 풍경 앞에 완벽한 영어가 터져나옵니다. 오! 노!

▲아마도 여기가 최고 명당이 아닐까.
금성산-비봉산의 숨막히는 뒤태를 조망할 수 있는.

▲하산길 옆구리 너머로, 억새와 조림산이 환상적인 명화를 그려놓았습니다.

▲올라오면서 열씸히 쌓았던 바벨탑을, 미련없이 허물어버립니다.
허문 그 마음자리에 또 다시 쌓아올릴 터를 야무지게 다집니다.

▲계속 임도를 따라 직진하면 더 많이 걷게 됩니다(헛돌이 주의지점).

▲산이 많이 아파하고 있습니다.

▲헤어졌다가 재회한 두 나무줄기의 케미에, 산속이 달달함으로 물들어갑니다.

▲세상의 중심을 걷고 있는 것 같은, 넘치는 열정이 아름답습니다.

▲구갑령재 부근에서 722.9봉을 돌아봅니다.

▲이제 갑령재로 내려서는 일만 남았겠다 싶은 지점입니다.

▲(조망1). 신녕면 들녁이 물개들로 가득 꿈틀거립니다.
팔공산자락에서 뻗어나온 능선들이 물개처럼 머리를 들이밀고 있네요.

▲(조망2). 치산계곡을 감싸고 있는 투구봉과 시루봉 능선이 어림 잡히고.

▲(조망3). 매봉 뒤 군위삼존석굴도 어림해 봅니다.

▲갑령재가 코 앞.
These are the streets I'll walk forever....
「Those Were The Days」의 선율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어지러운 산자락은 생까면서 내려갈 수밖에.

▲날머리는 언제나 볼매! 볼수록 매력적인 장소입니다.

▲애잔한 떨림 같은 설레임이 마음 밑바닥에 깔립니다.

▲하루가 꿈이었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는 것처럼,
갑령재에 닿자마자 마침내 비가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마운틴 홀릭에 빠진 우리를 축하하는 단비로 기억할 것입니다.

▲다음 구간 들머리.
화산산성 과외산행 통에 오랜 시간 발목이 잡혔던 산님들, 감사합니다.

♡♡♡♡♡♡♡♡ ♡♡♡♡♡♡♡♡ ♡♡♡♡♡♡♡♡ ♡♡♡♡♡♡♡♡
◐ 마무리 말 ◑
물줄기처럼 가닥을 잡고 산줄기를 걷다보면
저편, 환상의 파편으로 쌓여진 바벨탑이 보입니다.
마냥 내빼는 세월은 강물처럼 쉼없이 흐르고,
그 흐름에 역행하려는 바벨탑 쌓기도 계속됩니다.
가을에 취해 무심히 베물었던 웃음기를 거두고서
오래도록 먹먹히 화산의 속살을 들여다 보았습니다.
비로소 깨닫게 됩니다. 마침내 느끼게 됩니다.
결국 달아나는 시간열차의 종점은 내 마음이고
그 마음을 잡아채는 끌림의 본체는 山이라는 사실을.
오르면서 온 힘 쏟아부어 바벨탑을 쌓아 올리고
내려오면서 미련없이 바벨탑 허물기를 반복합니다.
해서 희망의 끈을 움켜잡고 천지간에 聲討합니다.
바벨탑 쌓기가 내남없이 客說에 불과할 지라도
산은 마음소리에 귀 모으게 하는, 덩두렷한 바벨탑이라고.
첫댓글 멋지고 낭만적인 가을 산행기를 통해 다시 한 번 지난 산행을 그려봅니다.
화산 산성을 생각하면서도 가기에 바빠 지나쳤습니다. 여위롭게 가고 싶어도 체력이 감당 못할 것 같아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간 것이 실제로 큰 것을 놓치고 말았으니 후회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풍요로운 한가위를 잘 보내세요
꽃산에서 꽃들의 환영을 받으면서 산행을 하니, 꽃이 된 기분이었습니다.
시작을 같이 하고 마무리는 다른 시각에 했지만, 같은 공간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든든한 하루였습니다.
좋은 가을날의 느낌으로, 쭈욱 멋진 산행이, 건강한 삶이 연결되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웃음 가득한 명절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멋있는 가을 나들이 었습니다.
가을 언덕에서 바라보는 팔공산 조림산 옥녀봉 금성산 유학산 가산 ...금오산은 한폭에 명화로군요.
함께해서 넘 좋았던 산행이었어요.....^^
펼쳐진 군위의 산풍경들 앞에서, 마냥 말줄임표(......)만 남발했던 산행이었습니다.
넘치는 山情, 탄탄한 발걸음, 맛있는 막걸리 등이 어우렁더우렁 잘 섞였던 하루였던 것 같습니다.
같이 발 맞출 수 있슴을 감사드립니다. 다음 산행을 기다립니다.
비록 날은 흐렷지만 시원한 가을바람에 멋 들어진 고랭지 밭의 전경과 화산아래서 탁 틔인 산군들을
조망함에 흥이 절로나는 기억에 남는 멋진 구간이었던것 같습니다.
마루금 산행에서 전혀 생각치 못한 화산 산성으로의 안내에 넘 좋았고 고마웠습니다.
가야할 산군들과 주위 산군들까지 알토란같은 설명에 제 눈과 귀가 번쩍합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땀나게 한바리 한 상태에서도 산성길에 동행해 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능선 너머, 바람 너머, 짧은 생을 노 저어 가는 길섶이 따듯하게 느껴집니다.
산님들의 부담없는 한마디 한마디가 큰 힘이 됩니다.
같이 산을 오르는 순간순간이 너무 소중하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요즘 병원에 자주 들락거리다 보니 산행기를 이제서야 봅니다
짧은 기간이었는데도 뒤돌아 보니 먼길 다녀온 기분인데 조목 조목
길 안내를 잘 해주어서 감회가 새롭습니다~~함께해서 영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