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눈물 남용해도 안구건조증 악화시켜
눈을 자주 비비면 각막염·결막염 걸릴 수도
갑오년(甲午年) 새해가 밝았다. 한해가 갔지만 추위는 여전해
사람들은 온 몸을 꽁꽁 싸매고 다닌다.
추운 날씨에 찬바람이 불면서 눈이 뻑뻑하고 따끔거리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찬바람 부는 밖과 뜨거운 히터가 나오는 건물 안. 어딜 가나 안구가 쉽게 건조해질 수 있는 환경이다.
눈물이 쉽게 마르는 안구건조증은
눈물을 구성하는 지방층, 수액층, 점액층의 균형이 맞지 않아 생기는 질환이다.
눈물이 나오는 눈물샘이 위축되거나 눈물을 공급하는 통로가 막히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안구건조증 증상은 모래알 들어간 것 같은 이물감이 있고, 눈을 감고 있는 것이 편하며,
눈을 뜨면 증상이 더 심해진다. 특히 겨울철 외출시 찬바람에 눈물이 줄줄 흘러서 손수건이 젖을 정도다.
눈물이 마르면 안구 표면이 손상되거나 눈이 시리고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눈물이 부족한 것 뿐 아니라 평소보다 눈물이 더 많이 나는 경우에도 안구건조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눈에 건조한 자극이 왔을 때 눈을 보호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눈물이 더 많이 흐르기 때문이다.
건조한 주변 환경은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키는 가장 대표적 원인이다.
특히, 겨울철 건조한 히터 바람, 시린 겨울바람이 눈에 직접 와 닿으면 눈물은 더 쉽게 증발할 수밖에 없다.
또한 컴퓨터나 스마트폰, 책 등을 오랫동안 보는 것, 콘택트렌즈를 오래 끼고 있거나
잘못된 안약을 사용하는 것도 안구건조의 주범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인공눈물은 수분을 포함해 눈물과 유사한 성분을 제공하기 때문에 눈에 물기를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해
눈의 뻑뻑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
인공눈물을 눈에 넣었을 때 일시적으로 느끼는 ‘청량감’ 때문에 이를 무분별하게 오남용 할 경우,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만약, 피치 못하게 자주 사용해야 할 때에는 방부제가 없는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만약, 인공눈물이나 약물치료로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눈물의 배출로를 차단하거나
실리콘 마개를 눈물관 내로 삽입해 볼 수 있다.
이 방법은 눈물이 배출되는 눈물점을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막아 기존의 눈물이 좀 더 오래 머물도록 돕는다.
안구건조증을 방치하면 항균기능이 떨어져서 작은 충격에도 각막에 상처가 생길 수 있다.
증상이 느껴지면 적절히 치료하도록 하고, 각막염이나 결막염 같은 안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구건조증이 있는 상태에서 눈을 자주 비비지 않도록 주의하자.
겨울철에는 안구건조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생활환경을 꼼꼼히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
실내 습도는 가습기 등을 활용해 40~60% 정도를 유지하고, 컴퓨터나 독서를 할 때는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박이며 눈물이 마르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찬바람이 눈에 직접 닿지 않도록 안경이나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너무 춥다고 히터나 온열기구 등을 얼굴에 직접 향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겠다.
첫댓글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