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료종류와 시비량
하이부시 블루베리에 필요한 각 영양 요소들은 여러 가지의 비료 종류로부터 얻을 수 있는데, 먼저 작물에 적합한가를 살펴보고, 비료값도 비교해본 후에 비료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하이부시 블루베리가 요구하는 각 영양요소들의양은 작물의 크기와 토양의 종류 그리고 관수시설 유무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있다.
비료 종류와 시비량은 전년도의 재배 경험(생장 및 과일수확)과 토양분석을 토대로 결정한다.
질소 (Nitrogen:N)
하이부시 블루베리 재배에 가장 중요한 비료성분은 질소(N)이고, 질소(N)시비량은 나무의 나이와 토양 종류에 따라 다르나 매년 꼭 주어야 한다.
질소(N)를 공급하는 질소(N)질 비료는 암모늄(NH4⁺)태 비료가 질산(NO3⁻)태 보다 좋다. 질산태 비료는 블루베리에 상처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토양산도가 pH5 미만이면 질소질 비료로 요소(Urea)가 좋은데 그 이유는 비료에 질소(N)함량이 46%나 되니 값이 적게 들고, 또한 요소가 토양에서 암모늄(NH4⁺)을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토양 산도가 pH5.0보다 높으면 산도를 내리기 위해서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을 사용하면 좋다. 혹시 블루베리 시비에 복합비료를 사용할 경우는 가능한 대부분의 질소성분이 암모늄형태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현명하다.
질소/질소질 비료시비 추천(kg/10a) |
재식나이 |
질소(N)요구량 |
요소(46%N) |
황산암모늄(21%N) |
일반토양 |
유기질토양 |
일반토양 |
유기질토양 |
일반토양 |
유기질토양 |
2 |
2 |
1 |
4 |
2 |
8 |
5 |
4 |
3 |
2 |
8 |
4 |
17 |
10 |
6 |
5 |
3 |
11 |
7 |
24 |
14 |
8 |
7 |
4 |
17 |
9 |
33 |
19 |
자료출처 : Michigan State Uni. Ext. Bull. E-2011(환산적용)
조직에 질소(N)성분은 생장, 수확, 그리고 다음해 수확할 꽃눈 형성에 중요하지만 지나친 질소질 시비는 지나친 생장으로 꽃눈분화가 부실해지고, 과일성숙을 지연시키고 그리고 늦자란 가지는 동해를 입게 되는 원인도 된다. 작물에 필요한 비료 시비량은 전년도의 작물건강, 수확, 토양분석에 따라서 정하지만, 작물이 자라는 기간 잎을 채취하여 영양상태를 살펴 참고하면 비료시비에 큰 참고가 된다.
블루베리 잎 분석을 통한 질소상태 |
잎 질소(N) % |
블루베리 질소상태 |
<1.50 |
결핍 |
1.51~1.75 |
비정상 |
1.76~2.00 |
정상 |
2.01~2.50 |
정상초과 |
>2.50 |
과다 |
자료출처 : Oregon State Uni. Ext. serv.1997
질소가 부족하면 우선 잘 자라지 않고, 먼저 나온 잎에서 초록색이 약해지고, 가을에 단풍이 먼저 들고 잎도 일찍 떨어진다. 물론 질소부족이면수확도 줄어든다. 지나친 질소는 줄기 성장이 크고, 초록색이 진해지고, 새로 나온 줄기가 2차 생장 이상 일어난다. 그리고 수확이 줄고, 과일 성숙도 늦어진다.
인산 (Phosphorus:P)
하이부시 블루베리를 많이 재배하고 있는 미국 미시간주나 오레곤주에서 인산 결핍현상은 잘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대부분의 블루베리 재배 토양에서 적절한 인산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블루베리에 인산결핍이 생기면 잎이 작아지고 잎 끝과 가장자리에 진한 초록 또는 자주색깔을 나타낸다. 인산 과다현상 증상은 보고되어있지 않으나 철분결핍을 유발 할 수도 있다.
* 0-45-0(triple superphosphate), 11-52-0(ammonium phosphate), 또는
16-20-0-15(ammonium phosphate sulfate)룰 위의 비율로 계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토양 및 잎 분석에 의한 인산 시비량 |
토양 인산(ppm) |
잎 인산(%) |
P2O5시비량(kg/10a) |
0~25 |
<0.20 |
4~7 |
25~50 |
0.21~0.40 |
0~4 |
>50 |
0.41~0.70 |
0 |
자료출처 : Oregon State Uni. Ext. serv, 1997
칼륨 (Potassium :K)
칼륨은 광물질 토양에 많이 들어 있으나, 식물이 직접 이용할 수 있는 K이온은 점토광물에 흡착되어 있거나 토양 용액 속에 들어있다. 북미 블루베리 재배지역에서 블루베리에 칼륨 결핍은 별로 없으나, 칼륨결핍이 일어나면 잎이 오그라들고, 누런 반점이 생긴다.
토양 및 잎 분석에 의한 칼륨 시비량 |
토양 K(ppm) |
잎 K(%) |
K2O시비량(kg/10a) |
0~100 |
<0.20 |
75~100 |
101~150 |
0.21~0.40 |
0~75 |
>150 |
>0.40 |
0 |
자료출처 : Oregon State Uni. Ext. serv, 1997
칼륨은 식물체내에서 자유로 이동하기 때문에 과일생산이 많은 해에는 잎에 결핍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고, 수확 후에는 잎에 칼륨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기도 하니 참고하여야 한다.
과일 수확 후 잎에 칼륨 정상수치는 0.41~0.70%이다. 잎에 칼륨이 정상수치보다 적으면 블루베리 열을 따라서 황산칼륨(K2SO4:0-0-52)을 17kg/10a 율로 뿌려주면 된다.
토양분석을 기준으로 한 칼륨(K)과 인산(P) 추천 시비량 |
토양분석(ppm) |
추천 시비량(kg/10a) |
K2O |
P2O5 |
모든 토양 |
무기질 토양 |
유기질 토양 |
0~10 |
10 |
17 |
11 |
10~20 |
8 |
31 |
8 |
20~30 |
7 |
11 |
6 |
30~40 |
3 |
6 |
0 |
40~50 |
2 |
0 |
0 |
>50 |
0 |
0 |
0 |
자료출처 : Michigan State Uni. Ext. Bull. E-2011, 1996(환산적용)
칼슘 (Calcium: Ca)
블루베리 재배에서 칼슘 결핍 현상은 별로 없으나, 과다한 비료사용이나, 블루베리가 왕성하게 자랄 때 블루베리 잎에서 칼슘 함량이 적어진다. 정상적인 블루베리 잎에서의 칼슘함량은 0.41~0.8%이다.
마그네슘 (Magnesium: Mg)
블루베리에서 마그네슘 결핍현상이 종종 나타난다.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잎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엽맥간이 점점 황색으로 변한다. 블루베리 잎에서 정상적인 마그네슘 함량은 0.13~0.25%이다. 잎에서 과다한 마그네슘 함량이 나타나면 토양 산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미량원소>
블루베리 재배에서 필요한 미량원소는 붕소(B), 철(Fe), 망간(Mn), 아연(Zn), 구리(Cu), 몰리브덴(Mo)이 있는데, 작물생장에 적은 양이 필요하지만, 적정량 범위가 초과되면 과다피해가 발생하기도 하니 주의해야 한다.
붕소 (Boron: B)
붕소결핍은 대체적으로 자주 일어나고 있는데, 자라는 생장점이 생장을 멈추고 결핍증상이 심하면 잎과 꽃눈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않는다. 그리고 붕소가 결핍되면 블루베리가 동해를 받기도 한다. 붕소 함량이 토양에서 0.2%이하, 또는 잎에서 18ppm이하가 되면 붕소 결핍현상이 나타나는데, 붕소 100ppm용액을 작물에 살포도 할 수 있고, 토양에 Borax(11%B) 1~2 kg/10a를 시비하면 된다.
철 (Iron: Fe)
토양산도가 높으면 철분결핍이 자주 생기는데, 결핍증상은 어린 잎이 작고 노랗게 변하는 것이다. 물론 철분 결핍이 심하면 잎도 작아지지만 줄기가 잘 자라지 않는다. 정상적인 블루베리 잎에서의 철분함량은 61~200ppm이다. 엽면 살포를 이용할 수 있는데 iron chelate(10%Fe)를 2.4g/ℓ로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 토양에는 황산철(Ferrous sulfate: 34%Fe)을 1~2kg/10a로 시비하면 된다.
아연 (Zinc: Zn)
아연결핍은 토양산도 pH6이하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블루베리 잎에서 정상적인 잎의 아연함량은 8~30ppm이다. 아연결핍현상은 줄기마디가 짧아지고, 잎이 노래지고, 잎이 위로 올라가며 감아진다.
구리(Copper: Cu)
구리결핍증상은 어린잎 엽맥간이 노래지고, 새순이 자라지 않고, 주로 유기질이 많은 토양에서 잘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