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40 여년간 건설현장에서 내가 감독하고 지은 건물이 많다.
여기에서 얻은 나의 노하우를 하나 하나 나의 수첩에 적어 놓은 것을 간추려 <집짓기 체크포인트>라는 것을 만들어
나의 카페에 게시 하였는데 모두들 내용이 좋은지 퍼가서 자기 카페에 올리니 그 때 부터는 그들의 글이 되어 버려렸다.
그래서 요즘은 나의 게시글 마지막 부분에 아래와 같은 꼬리 글을 달게 되었다.
"(김명환)sowoozee@hanmail.net
무운(無耘)구들연구소ⓒ(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주셔야 저작권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행위가 좀 쪼짠하게 보이지만 나의 글에 자기의 글을 덧붙히거나 표절해서 자기 것으로 만들고
내가 원하고 바라는 글과 거리가 먼 내용으로 된 것을 볼 때는 화가나기도 해서다
각설하고....
나는 집을 지을 때 아래의 <집짓기 체크포인트>의 제목이라도 읽고 작업현장에 임하고
일이 끝나면 다시 확인 차 <집짓기 체크포인트>의 세부사항까지 검토하면서
다음 날의 작업 공정에 맞게 준비하는 버릇이 있다.
이러한 행위가 바쁜 작업 공정 속에서 일의 선 후를 놓쳐 아깝게 다시 띁고 새로 시공하여 재료 손실과 노임 및 작업공정을 더디게 하는 것을 줄여보기 위해서다.
요즘 겨울이라 한가해서 <집짓기 체크포인트>를 옆에 두고 작업공정에 따라 건축자재를 구입중이다.
그래서 날이 풀리면 바로 서성거리지 말고 일의 순서에 따라 최대한 빨리 작업을 마쳐서 금년 여름 피서객을 받아야 한다.
며칠 뒤에는 집터를 돋우는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덤프트럭과 굴삭기를 임대하고 성토 할 부분에 들어갈 흙을 알아보는 중이다.
1, 대지의 향과 주변의 전경은 어떤가?
1, 경계복원 측량은 하였는가?
3, 진입로는 넓고 경사도는 완만한가?
4, 절토나 메우기등 토목공사는?
5, 지하수 개발 상수도는 어떤가?
6, 오수및 하수처리는?
7, 전기인입은 용이한가?
8, 임시 창고는 어디에 어떻게 짓나?
9, 가건물 조례를 알고있나?
10, 돌벽흙집의 설계는 완벽하게 하였는가?
11, 현행법을 이용할 수 있는 설계는 어떤것이 있나?
12, 집뒤 증축을 하면 액운이 따른 다는데?
13, 기준틀매기와 줄처보기는 어떻게 하나?
14, 기초공사는 어떻게 하나?
15, 정화조는 어디에 어떻게 하나?
16, 오수배관은 어디에 어떻게 연결하나?
17, 하수배관및 맨홀은 어디에 어떻게 하나?
18, 상하수도의 배관재는 어떤 것인가?
19, 하수도에 냄새역류를 막는 방법은 없나?
20, 겨울에 물이 얼지않는 탱크와 배관법은 어떻게 하나?
21, 지하수일 경우 세탁기에 모래가 들지않게 하는방법은?
22, 지붕골조는 무엇으로 어떻게 할것인가?
23, 외벽체의 단열은 어떻게 하나?
24, 외벽체의 마감재는 무엇으로 하나?
25, 외벽체의 방수는 무엇으로 어떻게 하나?
26, 외벽체가 지하일 경우 방수는 어떻게 하나?
27, 외벽체를 무너지지 않고 가장 빠른 방법으로 쌓는 방법은?
28, 출입구의 모양새는 어떻게 할 것인가?
29, 무거운 대들보를 혼자서도 올릴 수 있나?
30, 지붕에 사용되는 재료와 절차순위는?
31, 지붕서까래 대용으로 각재를 가장 실용있게 구입사용하는 방법은?
32, 바람에 지붕이 날라가지 않게 하는 방법은?
33, 지붕방수는 어떻게 처리하고 마감하나?
34, 천장단열인가? 지붕단열인가?
35, 천장과 지붕사이의 환기는 어떻게 하나?
36, 처마 빗물받이는 무슨재료로 어떻게 마감하나?
37, 처마 천장은 무엇으로 마감하나?
38, 다락방구조를 할 수 있나?
39, 내부 벽체 방음은 어떻게 하나?
40, 천장 방음은 어덯게 하나?
41, 내벽및 천장의 방화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나?
42, 창호는 어느재료로 하고 무슨종류인가?
43, 이음새 없는 창호틀을 만드는 방법은 무엇인가?
44, 방문및 현관도어는 어떤 종류인가?
45, 난방의 종류는 무엇인가?
46, 화목보일러/벽난로/벽난로 온돌방/구들의 난방비와 노동력 비교는?
47, 기름보일러/심야보일러/태양열의 난방비와 노동력 비교는?
48, 벽난로 온돌방의 허와 실은?
49, 난방배관은 무슨재료인가?
50, 욕실에 라디에타(방열기)는 설치 할 것인가?
51, 전기배선은 어디에 어떻게 할 것인가?
52, 돌벽흙집에 스윗치 매설작업은 어떻게하나?
53, 전화및 인터폰 배선은 어떻게 할 것인가?
54, TV 에어컨 배선은 어디에 할 것인가?
55, 욕실 마감재는 어떻게 할 것인가?
56, 방바닥 마감재는 무엇으로 할 것인가?
57, 내벽의 마감은 무엇으로 할 것인가?
57,알마흙은 어덯게 만드나?
59, 흙방이나 흙벽에 진흙과 모래의 비율은 어덯게 하나?
60, 방바닥 갈라지게 않고 연기 세어나지 않게 하는 방법은?
61, 흙 앙금(수비)만드는 방법은?
62, 흙에 섞을 수 있는 첨가제는 어떤것이 있나?
63, 흙방에 탕이 나지않게 장판 바르는 방법은?
64, 흙방에 종이장판 않떨어지게 바르는 방법은 없나?
65, 전통적인 콩땜하는 방법은?
66, 흙방에 소강을 섞어 바른다던데?
67, 흙벽에 생태염료를 생각해 보았는가?
68, 흙벽에 쎄락으로 바르면 유해하지않는가?
69, 흙벽에 하해탈과 같은 조형물은 어떻게 만들어 부착하나?
70, 흙천장에 회벽 않 떨어지게 바르는 방법은?
71, 외부 흙벽에 방수는 어떻게 하며 알마딘을 바르면 좋은가?
72, 천장의 마감은 어떻게 하나?
73, 주방의 마감재는 무엇으로 할 것인가?
74, 욕실.다용도실.주방.내외벽.현관의 타일은?
75, 위생도기.욕조.세면기.변기는 어떤 종류인가?
76, 욕실의 악세사리는 어떤 종류인가?
77, 씽크대는 어떤종류인가?
78, 신발장 붙박이장은 어디에 어떤 종류로 할 것인가?
79, 마루는 어떻게 만드나?
80, 현관 바닥마무리 턱과 비닐장판과의 이음새의 마무리는?
81, 전등은 어떤 종류인가?
82, 지상아래 기초, 지상 위 기단벽 기단 위의 벽체 마감은 어떻게 할 것인가?
83, 집 주변의 대크는 무엇으로 할 것인가?
84, 초가지붕의 수명 연장으로 사용하는 유산동 생석회 사용법은?
85, 마당 조경은 어떻게 할 것인가?
86, 천하 삼분(원,방,각) 의 구조를 생각 해 보았나?
87, 마당의 빗물처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88, 지하실 구조는 어떻게 할 것인가?
89, 지하실 방의 외습은 어떻게 처리하나?
90, 지하실 채광문제는 어떻게 하나?
91, 지하실 천장 마감은 어떻게 하나?
92, 봉토로 지하실 만드는 종류는 어떤것이 있나?
93, 무거운 돌은 어떻게 운반하는가?
94, 무거운 돌을 올리는 거중기는 어떻게 사용하나?
95, 매듭법은 어떤 것을 알아야 하나?
96, 자연 에어컨 창고는 어떻게 만드나?
97, 토굴파기는 어떻게 하나?
98, 가축사육장의 위치와 냄새가 나지 않는 위치와 방향은?
99, 연못도 가능한지 수생식물은 어떤 것으로 하나?
100, 온실의 구조와 위치는?
101, 채소밭과 마당의 구별은 명확한가?
102, 수직 돌벽 채소밭이란 것은 어떻게 만드나?
103, 주차장 시설은 어디에 어떻게 하나?
104, 조형물의 종류와 설치 장소는?
105, 대문의 위치와 설계는 어떻게?
106, 대문의 방위도 동사택과 서사택이 있다는데?
107, 실내 전통가구의 기획배치도는?
108, 한옥 묵은 떼 볏기는 방법과 사용되는 재료는?
109, 한옥 새로 짓고 고태내는 방법
110, 스레트지붕구조 헌집 수리하는 방법
111, 전통 코쿨 만드는 방법은
112, 전원주택 관련업체의 자료는 보았는가?
113, 황토벽돌(기계)업체의 자료는 보았는가?
114, 목구조 건축장비의 자료는 보았는가?
115, 각종 시공계약서의 자료는 보았는가?
116, 진열대는 어떤 종류로 하나?
117, 축대는 어떤재료로 어떻게 하나?
118, 집에서 간단히 돌 자르는 방법은?
119, 돌 쌓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
120, 석재공장에서 쉽게 구하여 돌벽흙집을 짓는 방법은?
121, 돌 다루는 공구와 구입처는?
122, 무쇠솥 길내는 방법은
123, H빔 대들보에 통나무 형으로 나무 붙이는 방법은?
* <온돌(구들)놓기 체크포인트>는 다음에 게시하기로 하고.........
無耘(토수)sowoozee@hanmail.net
삼륜(三輪)구들연구소ⓒ http://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주셔야 저작권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우리 집 뒤로 보이는 산은 설악산 상봉인 대청봉이고
내가 사는 동네는 바닷가 해양성 기후로 날이 따뜻해서 집 주위는 온통 대나무 밭이다.
첫댓글 멋진 체크 리스트 입니다. 많이 도움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