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 없는 무정 항구 돌아서는 이별 항구
물새도 잠든 바다 깜빡이는 저 등대야
뱃고동 울 적마다 파도소리 칠 적마다
몇 번을 울었더냐 몇 번을 울었더냐
목포의 달밤
목포시(木浦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의 무안반도 남단에 있는 시이다. 영산강 하구에 위치하여 남쪽은 영산강을 경계로 영암군 삼호읍과 마주하고, 북쪽과 동쪽은 무안군 삼향읍에 둘러싸여 있으며, 서쪽으로 황해를 통해 신안군의 여러 섬들과 물길로 연결된다. 1897년에 개항하였고, 일제강점기부터 목포항과 호남선의 목포역을 중심으로 도시가 번성하였다. 면적은 51.58 km2, 인구는 약 22만 명이다. 시청은 용당1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23행정동이다. 명소로는 유달산, 갓바위, 삼학도 등이 있다.
목포시는 1990년대부터 동쪽으로는 하당신도시와 남악신도시(2005년 11월부터 전라남도청 소재지)가, 남쪽으로는 대불국가산업단지(영암군 삼호읍)와 목포신항, 고하도 해상신도시가, 북쪽으로는 북항과 산업단지가 개발되어 도시가 행정구역의 경계에 구애받지 않고 확장 중에 있고, 원도심에서는 서산·온금지구, 대성지구 등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1981년에 영산강하굿둑이 완공되어 시의 동부와 영암군 삼호읍이 직결되었고, 2008년에는 압해대교가 개통되어 시의 북부와 압해도(신안군청 소재지)가 연결되었으며, 2012년에는 목포대교가 개통되어 시의 서부(북항)와 목포신항, 대불산단이 직접 연결되었다.
지명 유래
목포(木浦)라는 이름은 《조선왕조실록》의 태조실록과 《고려사》에 처음으로 문헌상 등장하는데, 이 때문에 목포라는 지명은 적어도 고려 때부터 썼던 것으로 추정된다. 지명의 유래에 관해서는 나무가 많은 포구라 하여 불렀다는 설과 목화가 많이 난다 하여 그렇게 불렀다는 설도 있으나, 서해로부터 영산강을 타고 육지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포구(목개)라는 뜻으로 한자를 차자해 목포라고 썼을 것이라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A%A9%ED%8F%AC%EC%8B%9C
목포시
일찍이 삼한 중 마한에 속해 있었으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물아혜(勿阿兮)군, 남북국시대 신라때에는 무주(武州)에 속했다. 고려 시대 946년에는 물량군(勿良郡)으로 개칭하였고, 995년에는 해양도 나주목 무안현에 속하였다, 목포 앞바다는 곡창지대이자 중국과도 멀지 않은 거리여서 고대부터 영산강 물줄기를 거슬러 나주에 이르는 교역로로 각광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목포는 항구다___________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시. 군산시, 여수시와 함께 호남 3대 항구의 하나로 개항 이후부터 항구 도시로 발전해왔으며, 호남선 철도의 종착역이자 서해안고속도로의 시점으로 호남권 교통의 시발점 역할 또한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만 해도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원산시와 함께 인구 7만으로 조선 4대 항구 중 하나였고, 1950년대 10만을 훌쩍 넘는 인구 증가(11만)로 한때 남한 6대 도시에 속했다. 그러나 목포항은 군산항과 함께 내해 수심이 얕아 현대적 대규모 무역항으로 쓰기에는 입지가 나쁘기도 했고 목포항을 통해주는 교통 인프라의 부실이 영향이 커서, 결국에는 해운 수요가 교통 인프라가 좋은 부산항과 인천항으로 집중되고 목포항은 군산항과 함께 화물 운송량이 급속도로 줄게 되었다.[5] 이 때문에 목포항에 의지하던 목포시의 경제에 큰 타격을 받았고 대도시로 성장하지 못했다. 흔히 목포시가 산업화 시절때 소외되었다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나름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전라남도 서부권 중심도시 역할을 맡고있고 전라남도 행정과 정치의 중심[6]이다. 전라남도의 경제력은 여순광으로 통칭하는 동부권(여수, 순천, 광양 등)이 압도적이며 목포는 공업이라고는 거의 찾아볼 수도 없는 순수 소비도시이니 자체 경제력은 떨어진다. 역내 총생산을 비교해보면 목포시는 45,305억 원이지만 여수 258,706억 원, 순천 61,250억 원, 광양 100,602억 원에 달하며, 2020년 기준 재산세는 목포시는 224억원으로 여수시 507억 원, 순천시 301억 원, 광양시 279억 원에 이어 4번째다. 목포 생활권에 속하는 영암군 삼호읍에 현대삼호중공업과 대불산단이 있고 영암군의 전남 내 수출액 비중은 10.4%다. 하지만 동부권의 수출비중은 80%를 넘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따져보든 목포의 경제력은 도무지 여순광과 비교할 수 없는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도청신도시가 서부권에 올 수 있었던 게 상대적인 낙후지역이라는 점이 작용한 바가 크고, 소비도시 규모로서는 전남의 다른 도시들보다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작은 도시면적과 그에 따른 높은 인구밀도을 바탕으로 도시 인프라의 구축은 여순광에 비해 훨씬 큰 도시로 보이게 만든다. 마천루[7], 대형마트와 아울렛, 영화관 등이 다른 도시에 비하면 많은 편이다.
https://namu.wiki/w/%EB%AA%A9%ED%8F%AC%EC%8B%9C
행정구역같은 경우에는 개항 이후 무안군에 속했던 지역을 야금야금 편입시키기는 하였으나, 그나마도 1987년 옥암리와 대양리를 끝으로 1995년 지방자치제가 본격 실시될 때 도농통합을 이루지 못해 발전의 희망이 끝나 버렸다. 면적이 서울특별시 서초구나 수원시 권선구와 엇비슷하다. 비수도권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시이고, 전국적으로는 경기도 구리시, 과천시, 군포시, 광명시, 오산시에 이은 6번째로 좁은 시이다. 멀리 안 보고 목포 생활권인 영암군 삼호읍 하나가 목포시 전체 면적보다 넓다. 무엇보다 저기 나온 시들은 전부 100% 본토 면적으로 계산을 하는 내륙 도시들인데 목포시는 고하도, 율도, 달리도, 외달도 등 인구가 드문 도서지역까지 포함하고 있는 항구도시다. 즉 목포 본토의 인구 밀도만 따지면 20만 남짓한 규모의 중소도시라는게 무색해지게 수원시나 안양시 수준까지 올라가버리는 셈이다.
목포는 옛날 일제강점기 때부터 커온 도시라서 도시 구획이 잘 되어있다. 대성동과 유달산 아래쪽은 난개발 지역이지만 일제가 도시구획을 잡고 개발해서 그런지 목포역 남쪽과 동쪽 도시구획들이 사각형 형태로 뻗어있다. 옛날엔 목포역 근처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는데 대부분 도시가 바다를 매립한 곳이다. 나머지 구도심과 하당과 남악도 다 바다를 매립하여 이루어진 지역. 인구도 1980년 때의 수준이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유달산(儒達山)은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 목원동, 죽교동에 있는 높이 228미터의 산이다. 목포 8경의 하나로 목포의 자랑이자 상징과도 같고, 목포의 영산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에서 다도해와 목포 시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작은 산임에도 산의 기세가 병풍의 수폭처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병풍처럼 보인다 해서 예로부터 호남의 "개골산"(금강산의 여름 별칭)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일등바위(유달산 정상), 이등바위, 삼등바위와 달성사 등이 있다. 왕자귀나무 자생지이기도 하다.
가수 이난영이 부른 〈목포의 눈물〉 기념비와 이순신 장군의 동상이 서 있다.
유달산아 말해다오 ㅡㅡㅡㅡㅡㅡㅡ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8B%AC%EC%82%B0
대한민국 최초의 조각공원인 목포조각공원이 유달산 어귀에서 생겼으며 조각작품 100점이 전시되어 있다. 밤에는 유달산 정상부터 각 봉우리에 조명이 켜져 경관을 더한다. 비가 오지 않는다면 그 광경을 직접 볼 수 있다. 다만 환경 오염의 소지가 커 광주전남 환경운동연합은 유달산의 야간 조명을 10대 환경 뉴스로 꼽기도 했다.
유달산은 4월에는 유달산 꽃축제(구. 유달산 개나리축제)가 열려 수많은 인파가 몰린다. 유달산의 볼거리는 정상에 올랐을 때 보이는 다도해 절경에 있다. 유달산은 228m로 그 높이가 낮지만 목포시 한가운데서 보는 다도해의 절경이 아름다우며 낙조대로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그 밖에 오목대, 전시관, 난공원, 특정자생식물원 등이 있어 쉼터 겸 탐방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목포
노적봉(露積峯)은 해발 60m의 바위산에 불과하지만 왜적을 물리친 이순신 장군의 호국혼이 담겨있다.
정유재란 때 12척의 배로 불가능해 보였던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끌고 전열을 재정비 하는 동안 조선의 군사와 군량미는 턱없이 부족하여 바로 왜적이 쳐들어온다면 함락 될 수밖에 없는 위기에 놓여 있었다. 이때의 노적봉은 아주 큰 역할을 하였다. 유달산 앞바다에 왜적의 배가 진을 치고 조선군의 정세를 살피고 있을 때 이순신 장군은 노적봉을 이용하여 위장전술을 펼쳤다. 노적봉 바위를 이엉(볏짚)으로 덮어 마치 군량미가 산처럼 많이 보이게 하고 새벽에 바닷물에 백토를 풀어 밥 짓는 쌀뜨물처럼 보이게 하여 왜군들이 군사가 많은 줄 알고 스스로 물러나게 하였다. 이러한 일이 있는 후로 이 봉우리를 노적봉이라 부르게 되었다
https://www.mokpo.go.kr/tour/attraction/area?mode=view&idx=7439
목포는 항구다
삼학도
목포여객터미널
전라남도 목포시의 시청사로 용당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동으로는 용당1동이다.
http://static.mokpo.go.kr/COVID_intro.html?build=f26b1c2791a22f5de6e3e043f28d9bb2
연혁
1910년에 무안부에서 목포부로 개칭되면서 목포시청의 역사는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부 승격은 이보다 이전인 1906년에 마쳤다. 경술국치 이후인 1914년에 기존의 일본 영사관 (현재의 대의동2가)의 영사 업무가 쓸모 없어지자, 이곳을 목포부청을 쓰이게 함과 동시에 첫번째 청사가 되었다. 그러나 부내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각각 무안군, 함평군으로 분할함에 따라서 부내면만을 목포부의 관할 구역으로 설정하였다.
1949년에 목포시로 개칭되어 목포시청으로 개칭되었고, 1974년에 명륜동의 현재 한국은행 부지로 이전하였다. 그 후, 1980년대에 용당동으로 이전하였고 지금에 이른다. 2014년에 일부 조직을 남교동 소재의 남교 트윈스타 행정타운으로 이전하였다.
청사
여기는 목포항구 눈물 많은 남쪽 항구
사공은 간 곳 없고 홀로 잠든 저 목선아
임 싣고 갈 적마다 임 싣고 올 적마다
얼마나 울었더냐 얼마나 울었더냐
목포의 달밤
임 없는 무정 항구 돌아서는 이별 항구
물새도 잠든 바다 깜빡이는 저 등대야
뱃고동 울 적마다 파도소리 칠 적마다
몇 번을 울었더냐 몇 번을 울었더냐
목포의 달밤 _________________
낭주골처녀
https://cafe.daum.net/CRANE1/abDP/22
첫댓글 목포는 얼마나 더 울어야 합니까?
임 없는 무정 항구 돌아서는 이별 항구
물새도 잠든 바다 깜빡이는 저 등대야
뱃고동 울 적마다 파도소리 칠 적마다
몇 번을 울었더냐 몇 번을 울었더냐
목포의 달밤 _________________
https://cafe.daum.net/CRANE1/abDP/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