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혈기(血氣)에 대한 치료(治)를 논(論)하다
비풍(非風)의 구안(口眼)의 와사(:歪斜), 반신(半身)의 불수(不遂) 및 사지(四肢)의 무력(無力), 도요(掉搖: 흔들리다) 구련(拘攣: 경직되다)의 속(屬)은 모두 근골(筋骨)의 병(病)
간(肝)은 근(筋)을 주(主)하고 신(腎)은 골(骨)을 주(主)하며, 간(肝)은 혈(血)을 장(藏)하고 신(腎)은 정(精)을 장(藏)한다. 정혈(精血)의 휴손(虧損)으로 백해(百骸)를 자양(滋養)할 수 없으므로 근(筋)에 완급(緩急)의 병(病)이 있게 되고 골(骨)에 위약(痿弱)의 병(病)이 있게 되니, 이들은 총괄적으로는 정혈(精血)이 패상(敗傷)하여 그런 것이다.
곧 수목(樹木)이 쇠(衰)하는 것과 같으니, 가지(:一枝)에 진액(津液)이 이르지 못하면 그 가지(:一枝)가 고고(枯槁)하여지듯이, 사람의 편폐(偏廢)도 또한 이와 같다.
내경(經)에서 "족(足)은 혈(血)을 얻어야 걸을 수 있고 장(掌)은 혈(血)을 얻어야 쥘 수 있다."
지금 이와 같은 편폐(偏廢)가 어찌 혈기(血氣)의 쇠패(衰敗)로 인한 연고(故)가 아니겠는가?
임천(臨川: 강서성 무주시 소재)의 진자명(:陳先生)은 "풍(風)의 치료(:醫)는 먼저 혈(血)을 치료(:醫)하여야 하니, 혈(血)이 행(行)하면 풍(風)은 저절로 멸(滅)한다."
간사(肝邪)가 나타나는 것은 그 근본(本)이 간혈(肝血)의 허(虛)로 말미암는다는 것을 말한다.
간혈(肝血)이 허(虛)하면 조기(燥氣)가 이를 승(乘)하니, 목(木)이 금(金)을 따라 화(化)하고, 풍(風)이 반드시 이를 따른다.
따라서 이를 치료(治)하려면 다만 마땅히 양혈(養血)하여 조(燥)를 제(除)하면 진음(眞陰)이 회복(復)되고 가풍(假風)이 저절로 산(散)하게 된다.
만약 풍약(風藥)을 사용(用)하게 되면 풍(風)은 습(濕)을 승(勝)할 수 있으니, 혈(血)이 반드시 더 조(燥)하게 되므로, 크게 마땅하지 않다.
一. 편고(偏枯) 구급(拘急) 위약(痿弱)의 류(類)는 그 근본(本)이 음허(陰虛)로 말미암다는 것을 상세히(詳) 말하였다.
그런데 혈기(血氣)는 본래 서로 분리(離)되지 않으므로 음(陰) 속에 기(氣)도 있고 음(陰) 속에 혈(血)도 있다.
이를 어떻게 변별(辨)하는가?
혈(血)은 기(氣)가 아니면 행(行)하지 못하고 기(氣)는 혈(血)이 아니면 화(化)하지 못한다.
혈(血) 속에 기(氣)가 없으면 병(病)으로 종완(縱緩) 폐이(廢弛)하게 되고 기(氣) 속에 혈(血)이 없으면 병(病)으로 추체(抽掣) 구련(拘攣)하게 된다.
왜 그러한가?
기(氣)는 동(動)을 주(主)하니 기(氣)가 없으면 동(動)할 수 없고 동(動)할 수 없으면 거(擧)할 수 없다.
혈(血)은 정(靜)을 주(主)하니 혈(血)이 없으면 정(靜)할 수 없고 정(靜)할 수 없으면 서(舒)할 수 없다.
따라서 근(筋)의 완(緩)은 마땅히 그 기(氣)가 없음을 책(責)하여야 하고, 근(筋)의 급(急)은 마땅히 그 혈(血)이 없음을 책(責)하여야 한다.
혈(血)이 없으면 마땅히 삼음전(三陰煎)이나 대영전(大營煎) 소영전(小營煎)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하고, 기(氣)가 없으면 마땅히 오복음(五福飮) 사군자탕(四君子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이들은 위증(痿證)의 부동(不動)이나 통풍(痛風)의 부정(不靜)의 의미(:義)와는 조금 다르니(:不同), 상세(詳)한 것은 각 본문(本門)에 열거(列)하였다.
첫댓글 비풍(非風)의 구안(口眼)의 와사(:歪斜), 반신(半身)의 불수(不遂) 및 사지(四肢)의 무력(無力), 도요(掉搖: 흔들리다) 구련(拘攣: 경직되다)의 속(屬)은 모두 근골(筋骨)의 병(病)
근골은 간신 곧 정혈의 휴손이나 패상으로 그런 것
편폐(偏廢)가 어찌 혈기(血氣)의 쇠패(衰敗)로 인한 연고(故)가 아니겠는가?
진자명(:陳先生)은 "풍(風)의 치료(:醫)는 먼저 혈(血)을 치료(:醫)"
양혈(養血)하여 조(燥)를 제(除)하면 진음(眞陰)이 회복(復)되고 가풍(假風)이 저절로 산(散)
편고(偏枯) 구급(拘急) 위약(痿弱)의 류(類)는 그 근본(本)이 음허(陰虛)로 말미암다는 것을 상세히(詳) 말하였다.
그런데 혈기(血氣)는 본래 서로 분리(離)되지 않으므로 음(陰) 속에 기(氣)도 있고 음(陰) 속에 혈(血)도 있다.
혈(血) 속에 기(氣)가 없으면 병(病)으로 종완(縱緩) 폐이(廢弛)하게 되고 기(氣) 속에 혈(血)이 없으면 병(病)으로 추체(抽掣) 구련(拘攣)하게 된다.
왜 그러한가?
기(氣)는 동(動)을 주(主)하니 기(氣)가 없으면 동(動)할 수 없고 동(動)할 수 없으면 거(擧)할 수 없다.
혈(血)은 정(靜)을 주(主)하니 혈(血)이 없으면 정(靜)할 수 없고 정(靜)할 수 없으면 서(舒)할 수 없다.
따라서 근(筋)의 완(緩)은 마땅히 그 기(氣)가 없음을 책(責)하여야 하고, 근(筋)의 급(急)은 마땅히 그 혈(血)이 없음을 책(責)하여야 한다.
혈(血)이 없으면 마땅히 삼음전(三陰煎)이나 대영전(大營煎) 소영전(小營煎)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하고, 기(氣)가 없으면 마땅히 오복음(五福飮) 사군자탕(四君子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학습목표
1. 비풍의 근골의 병의 원인
2. 진자명의 견해
3. 기혈의 문제와 처방
◆ 혈기의 치료
구안(口眼)의 와사(:歪斜), 반신(半身)의 불수(不遂) 및 사지(四肢)의 무력(無力), 도요(掉搖: 흔들리다) 구련(拘攣: 경직되다)의 속(屬)은 모두 근골(筋骨)의 병(病)
근(筋)의 완(緩)은 마땅히 그 기(氣)가 없음을 책(責)하여야 하고,
근(筋)의 급(急)은 마땅히 그 혈(血)이 없음을 책(責)하여야 한다.
혈(血)이 없으면 마땅히 삼음전(三陰煎)이나 대영전(大營煎) 소영전(小營煎)의 종류(類)
기(氣)가 없으면 마땅히 오복음(五福飮) 사군자탕(四君子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의 종류(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