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장을 운영하다보면 증발로 인하여 수영장 수위가 점점 줄어듭니다.
또는 OverFlow 방식으로 구축된 수영장에서 Balancing Tank를 두지않고
Trench로 넘어 온 물을 배수구로 물을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이 경우 좋은 사례가 아님
온수 수영장이면, 돈을 버리는 것과 같음)
여러 이유로 처음에 담수된 물이 줄어들어 물을 보충하여 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펜션 등 소형 수영장에선 수동으로 청소하면서 보충을 해 줍니다.
이를 또한 권장하기도 합니다.
수영장 수가 많거나, 대형인 경우, 관리를 편리하게 하기위해
목표로 하는 담수수위 높이를 정해놓고
이 높이보다 수위가 낮아지면 수위가 정해진 높이까지 자동으로 물을 보충하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이 부분을 수영장 수위조절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이를 구축하는 방식은 물이 특정 위치에 오면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방식과
화장실 변기에서 흔히 볼 수있는 부레(Ball TOP 또는 오뚝이)를 이용 부레가 낮아지면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비전기식 구축방법이 있습니다.
전기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전극봉 방식, 수직형 ball top 방식으로 구축합니다.
즉 물수위에 따라 전해오는 신호를 Floatless switch에 전달하고 이것은 Relay switch에 전달되어 전동밸브에
전기를 공급/중단하는 방식으로 물을 공급 합니다.
이의 구축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퀀스 회로도를 아시는 분들을 위해
이 때 주의할 것은 소금염소 전기분해기를 사용하는 경우엔 전극봉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소금물로 인하여 전극봉이 녹이슬어 작동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희도 이 부분을 실수하여 Ball TOP으로 재 구축 하였습니다.
이 방식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신호의 오류가 발생하거나,
전동밸브가 문제가 생기면 문제가 생깁니다.
또한 구축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
따라서 지금은 물리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구축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즉, Water leveler라고 하는 수위조절기를 사용합니다.
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위조절기의 내부구성은 단단합니다.
내부에 Top Ball이 설치되어 있고, Top Ball이 내려앉으면 물이 공급되는
단순한 구조입니다.
화장실 변기의 부레와 같은 원리입니다.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수도물을 공급라는 라인입니다.
바닥 또는 밑부분에 수영장 수위에 따라 물이 들어가는 배관 구멍이 있습니다
이 배관을 통해 수위조절기 내부로 들어오는 물의 높이로 수영장 수위를 알수있습니다.
Top Ball 높이가 수위보다 낮으면 수도물이 공급되면서 수영장으로 보충수가 공급되는 원리입니다
전기적 신호등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한 방식입니다.
구축비용도 저렴하고요...,
이의 구축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